[K-science ‘스타를 만나다’]③ 50여 년 수수께끼 공룡 ‘데이노케이루스’ 비밀을 풀다

입력 2023.04.26 (19:27) 수정 2023.04.26 (20: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대덕특구 출범 50년을 맞아 KBS대전총국이 마련한 '연중기획' K-사이언스 '스타를 만나다' 순서입니다.

대덕특구 과학자들을 통해 과학의 백년대계를 살펴보고 있는데요.

오늘은 50여 년간 수수께끼였던 공룡 '데이노케이루스'의 비밀을 푼 이항재 지질박물관장을 박장훈 기자가 만났습니다.

[리포트]

몸길이 11미터에 무게 6.4톤.

새 부리마냥 입이 길쭉하고 단봉낙타처럼 등이 솟은 이 녀석, '무서운 손' 이란 이름의 공룡 '데이노케이루스'입니다.

1965년 폴란드 탐사팀이 몽골 사막에서 앞발 뼈만 발견한 뒤 50년 가까이 미스터리로 남았었는데요.

2009년, 우리나라 주도의 국제공룡탐사대가 새 화석지와 어깨뼈 등을 발견하면서 오랜 수수께끼가 풀렸습니다.

당시 처음 발견한 대원이 현 이항재 지질박물관장입니다.

[이항재/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장 : "공룡을 찾으러 가는 모든 학자들의 사실상 꿈이었었습니다. 발견한 저뿐만 아니라 거기에 참여했던 모든 분들이 그 현장에 있었다는 것에 대해서 다 모두들 기뻐했었고요."]

하지만 머리뼈와 발가락뼈가 이미 도굴된 걸 알게 됐고, 추적 끝에 벨기에 박물관에서 보관 중인 뼈를 찾았습니다.

[이항재/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장 : "저희가 발견했던 발가락을 가지고 그 나머지 부분에 한 번 맞춰 봤었어요. 그 조각을 딱 맞춰보니까 깨진 부분까지도 정확하게 퍼즐처럼 정확히 맞아 떨어졌습니다."]

앞서 2006년 발견한 등뼈 역시 데이노케이루스인 걸 뒤늦게 알면서 온전한 전체 모습을 복원했고, 2014년 네이처 논문에 발표해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항재/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장 : "거대한 타조 공룡의 일종이란 걸 저희가 알게 됐고요. 물가에 있는 식물들을 걷어 먹고 살고 가끔 가다가 심지어는 물고기들도 잡아먹고 사는 잡식성 공룡이었다는 걸 저희가 알게 됐던 것이죠."]

이후 데이노케이루스의 전신을 3D 디지털 입체 모형으로 만들어 50여 년 만에 완벽하게 구현했습니다.

점토로 귀여운 공룡들을 만드는 게 취미인 이 관장.

[이항재/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장 : "브라키오사우르스 라는 공룡, 이건 니게르사우루스 라는 공룡..."]

자나 깨나 공룡에 빠진 건 연구원 선배였던 '공룡 아빠', 이융남 현 서울대 교수를 만나면섭니다.

[이항재/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장 : "박사님과 같이 일을 하면서 좀 더 이제 공룡에 관심을 가지게 됐었죠. 같이 탐사 다니기도 하고 전시관 바닥에서 진짜 종이 깔고 밤새우면서 작업하고 그랬었습니다."]

아이들에게 인기 만점인 지질박물관.

요즘 이 관장은 새로운 전시 콘텐츠 기획으로 바쁩니다.

코로나 19 이후 중단됐던 공룡 화석 탐사도 다시 할 계획인데, 동료들이 적은 게 아쉬울 뿐입니다.

[이항재/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장 : "공룡을 연구하는 학자들도 국내에는 상당히 적을뿐더러 심지어는 지질학을 하시는 분들도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그래서 아쉬움을 가지고 있고요."]

50년을 지나온 대덕특구.

앞으로 어떤 수수께끼를 풀고 싶냐는 물음에 이렇게 답을 합니다.

[이항재/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장 : "연구소에서 이런 박물관을 만든 사례는 사실상 유일무이하거든요. 과거에 어떤 지구 역사를 거쳐왔는지를 알게 된다면 우리 지구에 대해서 연구하고 싶고 알고 싶고 이런 관심을 많이 가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앵커]

앞선 리포트의 주인공과 우리 고생물학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좀 더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이항재 지질박물관장 나와 있습니다.

'공룡'은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흥미를 느끼는 분야인데 앞선 인터뷰에선 후학 양성에 대한 고민을 말씀하셨어요.

현재 학계 상황이 좋지 않습니까?

[앵커]

유능한 후배들이 뒤를 이으려면 어떤 유인책이 필요할까요?

[앵커]

관장께선 박물관 운영도 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계십니다.

관장님께서 생각하시는 박물관은 어떤 모습일까요?

[앵커]

오는 8월 새로운 탐사를 계획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어떤 연구일까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K-science ‘스타를 만나다’]③ 50여 년 수수께끼 공룡 ‘데이노케이루스’ 비밀을 풀다
    • 입력 2023-04-26 19:27:15
    • 수정2023-04-26 20:04:07
    뉴스7(대전)
[앵커]

대덕특구 출범 50년을 맞아 KBS대전총국이 마련한 '연중기획' K-사이언스 '스타를 만나다' 순서입니다.

대덕특구 과학자들을 통해 과학의 백년대계를 살펴보고 있는데요.

오늘은 50여 년간 수수께끼였던 공룡 '데이노케이루스'의 비밀을 푼 이항재 지질박물관장을 박장훈 기자가 만났습니다.

[리포트]

몸길이 11미터에 무게 6.4톤.

새 부리마냥 입이 길쭉하고 단봉낙타처럼 등이 솟은 이 녀석, '무서운 손' 이란 이름의 공룡 '데이노케이루스'입니다.

1965년 폴란드 탐사팀이 몽골 사막에서 앞발 뼈만 발견한 뒤 50년 가까이 미스터리로 남았었는데요.

2009년, 우리나라 주도의 국제공룡탐사대가 새 화석지와 어깨뼈 등을 발견하면서 오랜 수수께끼가 풀렸습니다.

당시 처음 발견한 대원이 현 이항재 지질박물관장입니다.

[이항재/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장 : "공룡을 찾으러 가는 모든 학자들의 사실상 꿈이었었습니다. 발견한 저뿐만 아니라 거기에 참여했던 모든 분들이 그 현장에 있었다는 것에 대해서 다 모두들 기뻐했었고요."]

하지만 머리뼈와 발가락뼈가 이미 도굴된 걸 알게 됐고, 추적 끝에 벨기에 박물관에서 보관 중인 뼈를 찾았습니다.

[이항재/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장 : "저희가 발견했던 발가락을 가지고 그 나머지 부분에 한 번 맞춰 봤었어요. 그 조각을 딱 맞춰보니까 깨진 부분까지도 정확하게 퍼즐처럼 정확히 맞아 떨어졌습니다."]

앞서 2006년 발견한 등뼈 역시 데이노케이루스인 걸 뒤늦게 알면서 온전한 전체 모습을 복원했고, 2014년 네이처 논문에 발표해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항재/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장 : "거대한 타조 공룡의 일종이란 걸 저희가 알게 됐고요. 물가에 있는 식물들을 걷어 먹고 살고 가끔 가다가 심지어는 물고기들도 잡아먹고 사는 잡식성 공룡이었다는 걸 저희가 알게 됐던 것이죠."]

이후 데이노케이루스의 전신을 3D 디지털 입체 모형으로 만들어 50여 년 만에 완벽하게 구현했습니다.

점토로 귀여운 공룡들을 만드는 게 취미인 이 관장.

[이항재/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장 : "브라키오사우르스 라는 공룡, 이건 니게르사우루스 라는 공룡..."]

자나 깨나 공룡에 빠진 건 연구원 선배였던 '공룡 아빠', 이융남 현 서울대 교수를 만나면섭니다.

[이항재/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장 : "박사님과 같이 일을 하면서 좀 더 이제 공룡에 관심을 가지게 됐었죠. 같이 탐사 다니기도 하고 전시관 바닥에서 진짜 종이 깔고 밤새우면서 작업하고 그랬었습니다."]

아이들에게 인기 만점인 지질박물관.

요즘 이 관장은 새로운 전시 콘텐츠 기획으로 바쁩니다.

코로나 19 이후 중단됐던 공룡 화석 탐사도 다시 할 계획인데, 동료들이 적은 게 아쉬울 뿐입니다.

[이항재/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장 : "공룡을 연구하는 학자들도 국내에는 상당히 적을뿐더러 심지어는 지질학을 하시는 분들도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그래서 아쉬움을 가지고 있고요."]

50년을 지나온 대덕특구.

앞으로 어떤 수수께끼를 풀고 싶냐는 물음에 이렇게 답을 합니다.

[이항재/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장 : "연구소에서 이런 박물관을 만든 사례는 사실상 유일무이하거든요. 과거에 어떤 지구 역사를 거쳐왔는지를 알게 된다면 우리 지구에 대해서 연구하고 싶고 알고 싶고 이런 관심을 많이 가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앵커]

앞선 리포트의 주인공과 우리 고생물학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좀 더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이항재 지질박물관장 나와 있습니다.

'공룡'은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흥미를 느끼는 분야인데 앞선 인터뷰에선 후학 양성에 대한 고민을 말씀하셨어요.

현재 학계 상황이 좋지 않습니까?

[앵커]

유능한 후배들이 뒤를 이으려면 어떤 유인책이 필요할까요?

[앵커]

관장께선 박물관 운영도 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계십니다.

관장님께서 생각하시는 박물관은 어떤 모습일까요?

[앵커]

오는 8월 새로운 탐사를 계획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어떤 연구일까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