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전남] 목포역 대개조 토론회…“선로위 목포역사 신축해야”

입력 2023.04.27 (19:20) 수정 2023.04.27 (20: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에는 전남 동부와 서부권 소식 알아봅니다.

먼저 목포 연결합니다.

김예은 앵커, 원도심에 자리한 목포역 시설 개선을 위한 토론회가 열렸군요?

[답변]

서울에서 출발하는 열차 호남선의 종착역은 바로 목포역입니다.

그런데 이 목포역이 1979년에 지어진 뒤 30년 넘게 큰 변화가 없어 비좁고 노후화가 빨라지고 있는데요,

철도역 변화를 통해 원도심을 살리고 관광 자원으로도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김광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목포역은 호남선 개통일인 1914년 11월 1일에 함께 들어섰습니다.

이후 구 목포역사는 1979년 현재와 같은 철근 콘크리트 건물로 신축됐고 이후 소규모 증·개축을 거치면서 지금껏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KTX 개통과 철도 이용객 증가로 많은 문제에 봉착했습니다.

우선 대형화된 기차 규모에 비해 목포역과 주변 경내가 너무 비좁다는 것입니다.

[권태삼/송원대 철도운전관제시스템학과 교수 : "제일 길게 다니는 기차가 KTX인데 이 차량이 388미터입니다. 지금 현재 목포는 열차를 수용할 수 있는 거리가 대략 400미터 정도밖에 안돼요."]

또한 주변 주차장과 시민들이 쉴 수 있는 휴게 공간, 여기에 코레일 직원들의 업무 공간도 부족한 것으로 지적됐습니다.

특히 목포역이 도시를 가르고 있어 양쪽을 연결하는 도로와 육교 등의 신설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됐습니다.

전문가들은 목포역이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유라시아 철도의 종착역인 만큼 랜드마크로 건설해 지역 관광의 허브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특히 이들은 도시숲을 주변에 배치하고 현재 기차 선로 위에 목포 역사를 신축하는 방안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습니다.

[박대현/세한대학교 교수 : "목포역 개발은 관광 허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복합시설로서의 개발과 시민의 소통과 유라시아 횡단열차 시작 역으로서의 상징적인 공간으로서의 개발이 필요합니다."]

국토부도 1억 5천만원을 들여 목포역 철도시설 재배치 등 개선 사업에 대한 용역을 진행중이어서 올해 말쯤 최종 결과가 나올 예정입니다.

목포역 대개조 사업이 하나의 철도역 개선 사업에 그치지 않고 쇠퇴하는 도심과 지역 관광을 활성화하는 기폭제가 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광진입니다.

촬영기자:김강용/영상편집:유도한

전남 보훈단체, ‘국립의과대학 설립’ 촉구

전남지역 15개 보훈단체는 성명을 내고 전남은 의료 수요는 높지만 전국에서 유일하게 의과대학과 상급종합병원이 없고 공공의료 기반 시설도 열악하다면서 전남에 국립의과대학 설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보훈단체는 또 매년 70만 명의 전남도민이 다른 지역으로 원정 진료를 떠나면서 의료비 유출만 1조 5천억 원에 이른다면서 사회적 비용 경감 차원에서라도 국립의과대학이 존재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신안군 임자도 주민 ‘신재생에너지 연금’ 수령

신안군 임자도 주민 3천여 명이 태양광발전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연금 이른바 햇빛 연금을 1인당 10만원에서 40만원까지 지급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연금을 지급한 신재생 협동조합은 지난해 10월 임자도에 완공된 99MW급 태양광발전사업체로 주민 참여에 따라 1분기에 해당하는 주민이익배당금을 지급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기는 전남] 목포역 대개조 토론회…“선로위 목포역사 신축해야”
    • 입력 2023-04-27 19:20:05
    • 수정2023-04-27 20:02:57
    뉴스7(광주)
[앵커]

이번에는 전남 동부와 서부권 소식 알아봅니다.

먼저 목포 연결합니다.

김예은 앵커, 원도심에 자리한 목포역 시설 개선을 위한 토론회가 열렸군요?

[답변]

서울에서 출발하는 열차 호남선의 종착역은 바로 목포역입니다.

그런데 이 목포역이 1979년에 지어진 뒤 30년 넘게 큰 변화가 없어 비좁고 노후화가 빨라지고 있는데요,

철도역 변화를 통해 원도심을 살리고 관광 자원으로도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김광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목포역은 호남선 개통일인 1914년 11월 1일에 함께 들어섰습니다.

이후 구 목포역사는 1979년 현재와 같은 철근 콘크리트 건물로 신축됐고 이후 소규모 증·개축을 거치면서 지금껏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KTX 개통과 철도 이용객 증가로 많은 문제에 봉착했습니다.

우선 대형화된 기차 규모에 비해 목포역과 주변 경내가 너무 비좁다는 것입니다.

[권태삼/송원대 철도운전관제시스템학과 교수 : "제일 길게 다니는 기차가 KTX인데 이 차량이 388미터입니다. 지금 현재 목포는 열차를 수용할 수 있는 거리가 대략 400미터 정도밖에 안돼요."]

또한 주변 주차장과 시민들이 쉴 수 있는 휴게 공간, 여기에 코레일 직원들의 업무 공간도 부족한 것으로 지적됐습니다.

특히 목포역이 도시를 가르고 있어 양쪽을 연결하는 도로와 육교 등의 신설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됐습니다.

전문가들은 목포역이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유라시아 철도의 종착역인 만큼 랜드마크로 건설해 지역 관광의 허브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특히 이들은 도시숲을 주변에 배치하고 현재 기차 선로 위에 목포 역사를 신축하는 방안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습니다.

[박대현/세한대학교 교수 : "목포역 개발은 관광 허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복합시설로서의 개발과 시민의 소통과 유라시아 횡단열차 시작 역으로서의 상징적인 공간으로서의 개발이 필요합니다."]

국토부도 1억 5천만원을 들여 목포역 철도시설 재배치 등 개선 사업에 대한 용역을 진행중이어서 올해 말쯤 최종 결과가 나올 예정입니다.

목포역 대개조 사업이 하나의 철도역 개선 사업에 그치지 않고 쇠퇴하는 도심과 지역 관광을 활성화하는 기폭제가 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광진입니다.

촬영기자:김강용/영상편집:유도한

전남 보훈단체, ‘국립의과대학 설립’ 촉구

전남지역 15개 보훈단체는 성명을 내고 전남은 의료 수요는 높지만 전국에서 유일하게 의과대학과 상급종합병원이 없고 공공의료 기반 시설도 열악하다면서 전남에 국립의과대학 설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보훈단체는 또 매년 70만 명의 전남도민이 다른 지역으로 원정 진료를 떠나면서 의료비 유출만 1조 5천억 원에 이른다면서 사회적 비용 경감 차원에서라도 국립의과대학이 존재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신안군 임자도 주민 ‘신재생에너지 연금’ 수령

신안군 임자도 주민 3천여 명이 태양광발전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연금 이른바 햇빛 연금을 1인당 10만원에서 40만원까지 지급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연금을 지급한 신재생 협동조합은 지난해 10월 임자도에 완공된 99MW급 태양광발전사업체로 주민 참여에 따라 1분기에 해당하는 주민이익배당금을 지급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