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CFD 매매 차단…‘줄하한가 사태’ 진정 국면?

입력 2023.04.28 (21:23) 수정 2023.04.29 (07: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 사태로 연일 하한가까지 떨어졌던 일부 종목들이 오늘(28일)은 일제히 반등하면서 한숨 돌리는 모습입니다.

증권업계와 금융당국은 이번 사태 원인으로 의심되는 특정 거래 방식에 대해 위험 관리에 들어갔습니다.

이 소식은 김화영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특정 종목의 폭락 사태는 오늘 하루 잠시 숨을 돌렸습니다.

나흘 연속 하한가를 기록하던 세 종목은 모두 상승 마감했고, 삼천리도 20% 넘게 급등했습니다.

주가가 싸졌다고 판단한 일부 투자자가 단기차익을 노리고 매수에 나섰다는 분석입니다.

[황세운/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 "그동안에 가격 급락이 너무 과도했던 게 아닌가라고 판단하는 투자자들도 상당히 지금 많아지고 있는 게 사실이거든요."]

그러나 완전하게 진정국면에 접어들었는지는 아직 불투명합니다.

이번 폭락 사태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CFD, 즉 차액결제거래의 특성 때문입니다,

주식이 없이도 소액의 증거금만으로 투자를 할 수 있는 데, 담보 격인 증거금의 2.5배까지 투자가 가능합니다.

문제는 손실이 생겨 증거금이 부족해지면 증권사가 강제로 주식을 팔아 주가가 급락합니다.

이 물량이 다시 시장에 풀리면 언제든 폭락 사태가 재연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

결국, 일부 증권사는 CFD 신규 가입 등을 중단했고, 금융감독원도 증권사 사장단을 급히 불러 투자 위험성을 경고했습니다.

[함용일/금융감독원 부원장 : 레버리지(차입 투자) 거래는 과도한 투기적 거래 수단으로 활용되어 시장 전체의 변동성을 가중시킬 수 있고 과도한 레버리지(차입 투자)로 인한 투자자 손실이 확대될 위험이 있어..."]

증시를 뒤흔들었던 폭락사태가 일단 멈췄다지만, 이번 주 급락세를 보였던 8개 종목에서만 사라진 시가총액이 7조 8천억 원을 넘습니다.

KBS 뉴스 김화영입니다.

촬영기자:김태석 이상구/영상편집:박은주/그래픽:서수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증권사 CFD 매매 차단…‘줄하한가 사태’ 진정 국면?
    • 입력 2023-04-28 21:23:54
    • 수정2023-04-29 07:59:21
    뉴스 9
[앵커]

이번 사태로 연일 하한가까지 떨어졌던 일부 종목들이 오늘(28일)은 일제히 반등하면서 한숨 돌리는 모습입니다.

증권업계와 금융당국은 이번 사태 원인으로 의심되는 특정 거래 방식에 대해 위험 관리에 들어갔습니다.

이 소식은 김화영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특정 종목의 폭락 사태는 오늘 하루 잠시 숨을 돌렸습니다.

나흘 연속 하한가를 기록하던 세 종목은 모두 상승 마감했고, 삼천리도 20% 넘게 급등했습니다.

주가가 싸졌다고 판단한 일부 투자자가 단기차익을 노리고 매수에 나섰다는 분석입니다.

[황세운/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 "그동안에 가격 급락이 너무 과도했던 게 아닌가라고 판단하는 투자자들도 상당히 지금 많아지고 있는 게 사실이거든요."]

그러나 완전하게 진정국면에 접어들었는지는 아직 불투명합니다.

이번 폭락 사태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CFD, 즉 차액결제거래의 특성 때문입니다,

주식이 없이도 소액의 증거금만으로 투자를 할 수 있는 데, 담보 격인 증거금의 2.5배까지 투자가 가능합니다.

문제는 손실이 생겨 증거금이 부족해지면 증권사가 강제로 주식을 팔아 주가가 급락합니다.

이 물량이 다시 시장에 풀리면 언제든 폭락 사태가 재연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

결국, 일부 증권사는 CFD 신규 가입 등을 중단했고, 금융감독원도 증권사 사장단을 급히 불러 투자 위험성을 경고했습니다.

[함용일/금융감독원 부원장 : 레버리지(차입 투자) 거래는 과도한 투기적 거래 수단으로 활용되어 시장 전체의 변동성을 가중시킬 수 있고 과도한 레버리지(차입 투자)로 인한 투자자 손실이 확대될 위험이 있어..."]

증시를 뒤흔들었던 폭락사태가 일단 멈췄다지만, 이번 주 급락세를 보였던 8개 종목에서만 사라진 시가총액이 7조 8천억 원을 넘습니다.

KBS 뉴스 김화영입니다.

촬영기자:김태석 이상구/영상편집:박은주/그래픽:서수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