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천 ‘붉은귀거북’ 조사도 포획도 손놔

입력 2023.05.01 (23:36) 수정 2023.05.01 (23: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춘천 도심 하천에서 생태계교란종인 붉은귀거북의 집단 서식은 지난해 처음 알려졌습니다.

이후 1년이 지났는데, 춘천시에서는 실태 조사조차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조휴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춘천 공지천입니다.

쓰러진 통나무에 거북이 무리가 매달려 있습니다.

큰 것은 크기가 수박만합니다.

생태교란종인 '붉은귀거북'입니다.

붕어 등 물고기 치어를 먹어 치우는데, 국내 생태계에선 천적이 없습니다.

도심 하천변에 만들어진 산책로입니다.

오전 시간대에 해가 나면 일광욕하는 거북이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시민들은 이런 거북이가 하천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조광규/춘천시 근화동 : "(공지천 이디오피아집) 오리배 타는 데도 있고. 레고랜드 작업장 하던 지금 저기 숲 조성사업하는 데. 아이들 손바닥 만한 것도 있고 어른 손바닥 만한 것도 있고…."]

하지만 춘천시는 1년이 넘도록 서식 실태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내수면 어업 등 당장 눈에 보이는 피해가 적다는 이유 때문입니다.

[오상일/춘천시 환경정책과 환경정책팀장 : "피해가 많은 곳에 우선 집중해서 제거작업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고요. 그 외(종까지) 한 번에 다 접근하기엔 현실적으로 좀 어려움이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물속에서 일어나는 생태계 변화는 가늠하기 힘든 만큼, 실태 조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최우진/강원대학교 양서파충류연구실 박사 : "그냥 무조건 제거작업만 하게 되면 개체 수 감소보다는 그냥 저희가 눈에 띄는 애들만 제거하는 것이기 때문에 인력이나 아니면 시간, 아니면 예산 낭비가 될 수 있습니다."]

춘천시는 올해도 붉은귀거북 포획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생태계교란종 퇴치예산 6억 원 가운데 관련 예산은 전혀 없어 실제 조치가 이뤄질지는 미지수입니다.

KBS 뉴스 조휴연입니다.

촬영기자:이장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지천 ‘붉은귀거북’ 조사도 포획도 손놔
    • 입력 2023-05-01 23:36:47
    • 수정2023-05-01 23:49:55
    뉴스9(강릉)
[앵커]

춘천 도심 하천에서 생태계교란종인 붉은귀거북의 집단 서식은 지난해 처음 알려졌습니다.

이후 1년이 지났는데, 춘천시에서는 실태 조사조차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조휴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춘천 공지천입니다.

쓰러진 통나무에 거북이 무리가 매달려 있습니다.

큰 것은 크기가 수박만합니다.

생태교란종인 '붉은귀거북'입니다.

붕어 등 물고기 치어를 먹어 치우는데, 국내 생태계에선 천적이 없습니다.

도심 하천변에 만들어진 산책로입니다.

오전 시간대에 해가 나면 일광욕하는 거북이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시민들은 이런 거북이가 하천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조광규/춘천시 근화동 : "(공지천 이디오피아집) 오리배 타는 데도 있고. 레고랜드 작업장 하던 지금 저기 숲 조성사업하는 데. 아이들 손바닥 만한 것도 있고 어른 손바닥 만한 것도 있고…."]

하지만 춘천시는 1년이 넘도록 서식 실태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내수면 어업 등 당장 눈에 보이는 피해가 적다는 이유 때문입니다.

[오상일/춘천시 환경정책과 환경정책팀장 : "피해가 많은 곳에 우선 집중해서 제거작업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고요. 그 외(종까지) 한 번에 다 접근하기엔 현실적으로 좀 어려움이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물속에서 일어나는 생태계 변화는 가늠하기 힘든 만큼, 실태 조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최우진/강원대학교 양서파충류연구실 박사 : "그냥 무조건 제거작업만 하게 되면 개체 수 감소보다는 그냥 저희가 눈에 띄는 애들만 제거하는 것이기 때문에 인력이나 아니면 시간, 아니면 예산 낭비가 될 수 있습니다."]

춘천시는 올해도 붉은귀거북 포획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생태계교란종 퇴치예산 6억 원 가운데 관련 예산은 전혀 없어 실제 조치가 이뤄질지는 미지수입니다.

KBS 뉴스 조휴연입니다.

촬영기자:이장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강릉-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