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3%대로 ‘안정세’…외식물가·전기 요금 어쩌나

입력 2023.05.02 (21:41) 수정 2023.05.02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달 소비자 물가, 여전히 오르긴 했지만 오름폭은 14개월 만에 가장 작습니다.

하지만 외식물가는 계속 크게 뛰어서 물가 상승이 주춤하다는 걸 피부로 느끼긴 쉽지 않습니다.

이윤우 기자가 식당과 시장에 나가봤습니다.

[리포트]

한 장에 5천 원인 빈대떡 가격을 20년째 고수하고 있는 이 식당, 최근 기본 빈대떡만 그대로 두고 나머지 메뉴 가격을 올렸습니다.

[박금순/식당 사장 : "이것도(고기 빈대떡) 8천 원 했었어요, 처음에는. 그런데 고기가 오르고 난 다음에는 이제 1만 원으로 된 거예요. 다른 데는 만 2천 원까지 받더라고요."]

인근 만둣집도 재료비 부담에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합니다.

[조윤선/노점상 사장 : "밀가루뿐만 아니라 모든, 모든 재료비가 많이 올랐죠. 만두에 들어가는 것도 역시나, 채소 같은 것도 어마어마 많이 올랐죠."]

이런 상황은 물가지표에도 반영됐는데, 지난달 외식비는 7.6% 상승했습니다.

재료비, 인건비 등이 시차를 두고 반영되는 외식비 같은 개인서비스물가의 오름세가 쉽게 꺾이지 않는 겁니다.

다만 지난달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7%로 지난해 7월의 정점에서 둔화하고 있습니다.

물가 상승률이 3%대를 기록한 건 1년 2개월 만입니다.

기름값이 16% 넘게 떨어졌고, 농축수산물 물가도 1% 상승에 그친 영향입니다.

[김금자/강원도 강릉시 : "집에서 보통 많이 해 먹는 편이죠 이제. 재래시장을 좀 찾는 편이죠. 그래도 재래시장은 조금 그래도 마트보다는 조금 저렴하니까."]

한국은행은 당분간 물가가 뚜렷한 둔화 흐름을 보일 거라고 진단했습니다.

물가가 안정세를 보이면서 이번 달 기준금리 인상 압력은 다소 줄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그러나, 조만간 전기·가스요금이 인상될 수 있고, 국제유가 흐름도 불확실해 물가를 또 자극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이윤우입니다.

촬영기자:왕인흡/영상편집:이웅/그래픽:박미주 서수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소비자물가 3%대로 ‘안정세’…외식물가·전기 요금 어쩌나
    • 입력 2023-05-02 21:41:09
    • 수정2023-05-02 22:04:11
    뉴스 9
[앵커]

지난달 소비자 물가, 여전히 오르긴 했지만 오름폭은 14개월 만에 가장 작습니다.

하지만 외식물가는 계속 크게 뛰어서 물가 상승이 주춤하다는 걸 피부로 느끼긴 쉽지 않습니다.

이윤우 기자가 식당과 시장에 나가봤습니다.

[리포트]

한 장에 5천 원인 빈대떡 가격을 20년째 고수하고 있는 이 식당, 최근 기본 빈대떡만 그대로 두고 나머지 메뉴 가격을 올렸습니다.

[박금순/식당 사장 : "이것도(고기 빈대떡) 8천 원 했었어요, 처음에는. 그런데 고기가 오르고 난 다음에는 이제 1만 원으로 된 거예요. 다른 데는 만 2천 원까지 받더라고요."]

인근 만둣집도 재료비 부담에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합니다.

[조윤선/노점상 사장 : "밀가루뿐만 아니라 모든, 모든 재료비가 많이 올랐죠. 만두에 들어가는 것도 역시나, 채소 같은 것도 어마어마 많이 올랐죠."]

이런 상황은 물가지표에도 반영됐는데, 지난달 외식비는 7.6% 상승했습니다.

재료비, 인건비 등이 시차를 두고 반영되는 외식비 같은 개인서비스물가의 오름세가 쉽게 꺾이지 않는 겁니다.

다만 지난달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7%로 지난해 7월의 정점에서 둔화하고 있습니다.

물가 상승률이 3%대를 기록한 건 1년 2개월 만입니다.

기름값이 16% 넘게 떨어졌고, 농축수산물 물가도 1% 상승에 그친 영향입니다.

[김금자/강원도 강릉시 : "집에서 보통 많이 해 먹는 편이죠 이제. 재래시장을 좀 찾는 편이죠. 그래도 재래시장은 조금 그래도 마트보다는 조금 저렴하니까."]

한국은행은 당분간 물가가 뚜렷한 둔화 흐름을 보일 거라고 진단했습니다.

물가가 안정세를 보이면서 이번 달 기준금리 인상 압력은 다소 줄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그러나, 조만간 전기·가스요금이 인상될 수 있고, 국제유가 흐름도 불확실해 물가를 또 자극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이윤우입니다.

촬영기자:왕인흡/영상편집:이웅/그래픽:박미주 서수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