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1인 가구·고독사…마지막 존엄 지켜주는 ‘공영장례’

입력 2023.05.07 (21:28) 수정 2023.05.07 (21: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우리 주변에는 가족과 단절된 채 빈곤으로 어려움을 겪다가 홀로 죽음을 맞는 이웃들이 적지 않습니다.

이들의 마지막 가는 길이라도 쓸쓸하지 않도록 일부 지자체에서 대신 장례를 치러주고 있는데요.

1인 가구가 늘고, 고독사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만큼 공영장례를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조경모 기자입니다.

[리포트]

군산의 한 장례식장.

빈소에는 영정사진도 없이 이름만 적힌 위패들이 나란히 놓였습니다.

유족들의 이름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홀로 생을 마감한 70대와 60대 남성들로, 가족들이 시신 인도를 거부하자 지자체가 나서 장례를 치르는 겁니다.

[조연희/군산시 기초생활계 주무관 : "가족관계가 단절되고 또 경제적인 문제로 장례를 치를 수 없다는 문제로 (유족들이) 저희한테 무연고 시신처리를 하는 경우여서..."]

장례를 마치면 이들의 시신은 화장돼 일반 공공 납골당에 안치됩니다.

쓸쓸한 죽음을 외면하지 않고, 고인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를 갖추도록 한 지역사회의 배려입니다.

[안재영/군산시 장묘시설계장 : "무연고 사망자에 대한 협조요청이 있으면요. 승화원에서 화장하고, 납골당에 안치해 모시고 있습니다."]

군산시는 지난해부터 기초생활수급자이면서 무연고 사망자를 대상으로 이른바 공영장례를 치러 지금까지 19명의 장례를 진행했습니다.

예산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라 정부가 지원하는 80만 원이 전부지만, 장례식장과 용품 등은 이웃들의 기부와 종교단체 도움을 받아왔습니다.

[홍용승/군산 은파장례식장 대표 : "고인에 대한 예의를 갖추고 싶어도 못 갖추고, 장례식장에서 쓸쓸하게 나가는 뒷모습을 보면, 어떻게 보면 슬프기도 하고..."]

전북에서 공영장례를 도입한 지자체는 군산과 익산, 정읍, 고창 등 모두 4곳.

1인 가구가 늘고, 홀로 죽음을 맞는 고독사가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만큼, 고인의 마지막 존엄을 지켜주는 공영장례를 확대할 필요성 또한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경모입니다.

촬영기자:안광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늘어나는 1인 가구·고독사…마지막 존엄 지켜주는 ‘공영장례’
    • 입력 2023-05-07 21:28:48
    • 수정2023-05-07 21:50:16
    뉴스9(전주)
[앵커]

우리 주변에는 가족과 단절된 채 빈곤으로 어려움을 겪다가 홀로 죽음을 맞는 이웃들이 적지 않습니다.

이들의 마지막 가는 길이라도 쓸쓸하지 않도록 일부 지자체에서 대신 장례를 치러주고 있는데요.

1인 가구가 늘고, 고독사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만큼 공영장례를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조경모 기자입니다.

[리포트]

군산의 한 장례식장.

빈소에는 영정사진도 없이 이름만 적힌 위패들이 나란히 놓였습니다.

유족들의 이름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홀로 생을 마감한 70대와 60대 남성들로, 가족들이 시신 인도를 거부하자 지자체가 나서 장례를 치르는 겁니다.

[조연희/군산시 기초생활계 주무관 : "가족관계가 단절되고 또 경제적인 문제로 장례를 치를 수 없다는 문제로 (유족들이) 저희한테 무연고 시신처리를 하는 경우여서..."]

장례를 마치면 이들의 시신은 화장돼 일반 공공 납골당에 안치됩니다.

쓸쓸한 죽음을 외면하지 않고, 고인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를 갖추도록 한 지역사회의 배려입니다.

[안재영/군산시 장묘시설계장 : "무연고 사망자에 대한 협조요청이 있으면요. 승화원에서 화장하고, 납골당에 안치해 모시고 있습니다."]

군산시는 지난해부터 기초생활수급자이면서 무연고 사망자를 대상으로 이른바 공영장례를 치러 지금까지 19명의 장례를 진행했습니다.

예산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라 정부가 지원하는 80만 원이 전부지만, 장례식장과 용품 등은 이웃들의 기부와 종교단체 도움을 받아왔습니다.

[홍용승/군산 은파장례식장 대표 : "고인에 대한 예의를 갖추고 싶어도 못 갖추고, 장례식장에서 쓸쓸하게 나가는 뒷모습을 보면, 어떻게 보면 슬프기도 하고..."]

전북에서 공영장례를 도입한 지자체는 군산과 익산, 정읍, 고창 등 모두 4곳.

1인 가구가 늘고, 홀로 죽음을 맞는 고독사가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만큼, 고인의 마지막 존엄을 지켜주는 공영장례를 확대할 필요성 또한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경모입니다.

촬영기자:안광석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전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