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의 캔디] ‘제2공항 예정지 클링커층…지하수 고속도로’
입력 2023.05.08 (19:47)
수정 2023.05.08 (19: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 주 유튜브 채널 KBS제주 뉴스에서 관심을 모았던 콘텐츠를 소개하는 '화제의 캔디' 순서입니다.
오늘은 제주 2공항 예정지에 산재한 클링커층의 중요성을 조명한 '제2공항 예정지 클링커층…지하수 고속도로'를 소개해드립니다.
클링커 층이란 화산송이의 일종으로 화산 폭발로 생성된 제주도의 독특한 지질구조인데요,
국토교통부 지반조사에서 두께 2미터에서 최고 9미터가 넘는 클링커층 17곳이 발견됐습니다.
두꺼운 클링커층은 지하수 통로로 알려진 숨골 이상의 기능을 갖고 있으며 지하수 이동에 고속도로 역할을 한다는 전문가 의견을 이 뉴스를 통해 보도했는데요,
지난 달 19일 이 보도가 나갔을 때는 온라인에서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지난 주부터 누리꾼들의 주목 속에 지금까지 조회수 60만 회, 댓글 600여 개가 달리며 큰 관심을 모았습니다.
누리꾼들은 환경 영향에 대한 전면 재조사가 필요하다, 제주의 자연이 가장 소중한 자원이다 등 환경 훼손에 대한 많은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오늘은 제주 2공항 예정지에 산재한 클링커층의 중요성을 조명한 '제2공항 예정지 클링커층…지하수 고속도로'를 소개해드립니다.
클링커 층이란 화산송이의 일종으로 화산 폭발로 생성된 제주도의 독특한 지질구조인데요,
국토교통부 지반조사에서 두께 2미터에서 최고 9미터가 넘는 클링커층 17곳이 발견됐습니다.
두꺼운 클링커층은 지하수 통로로 알려진 숨골 이상의 기능을 갖고 있으며 지하수 이동에 고속도로 역할을 한다는 전문가 의견을 이 뉴스를 통해 보도했는데요,
지난 달 19일 이 보도가 나갔을 때는 온라인에서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지난 주부터 누리꾼들의 주목 속에 지금까지 조회수 60만 회, 댓글 600여 개가 달리며 큰 관심을 모았습니다.
누리꾼들은 환경 영향에 대한 전면 재조사가 필요하다, 제주의 자연이 가장 소중한 자원이다 등 환경 훼손에 대한 많은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화제의 캔디] ‘제2공항 예정지 클링커층…지하수 고속도로’
-
- 입력 2023-05-08 19:47:36
- 수정2023-05-08 19:54:07

지난 주 유튜브 채널 KBS제주 뉴스에서 관심을 모았던 콘텐츠를 소개하는 '화제의 캔디' 순서입니다.
오늘은 제주 2공항 예정지에 산재한 클링커층의 중요성을 조명한 '제2공항 예정지 클링커층…지하수 고속도로'를 소개해드립니다.
클링커 층이란 화산송이의 일종으로 화산 폭발로 생성된 제주도의 독특한 지질구조인데요,
국토교통부 지반조사에서 두께 2미터에서 최고 9미터가 넘는 클링커층 17곳이 발견됐습니다.
두꺼운 클링커층은 지하수 통로로 알려진 숨골 이상의 기능을 갖고 있으며 지하수 이동에 고속도로 역할을 한다는 전문가 의견을 이 뉴스를 통해 보도했는데요,
지난 달 19일 이 보도가 나갔을 때는 온라인에서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지난 주부터 누리꾼들의 주목 속에 지금까지 조회수 60만 회, 댓글 600여 개가 달리며 큰 관심을 모았습니다.
누리꾼들은 환경 영향에 대한 전면 재조사가 필요하다, 제주의 자연이 가장 소중한 자원이다 등 환경 훼손에 대한 많은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오늘은 제주 2공항 예정지에 산재한 클링커층의 중요성을 조명한 '제2공항 예정지 클링커층…지하수 고속도로'를 소개해드립니다.
클링커 층이란 화산송이의 일종으로 화산 폭발로 생성된 제주도의 독특한 지질구조인데요,
국토교통부 지반조사에서 두께 2미터에서 최고 9미터가 넘는 클링커층 17곳이 발견됐습니다.
두꺼운 클링커층은 지하수 통로로 알려진 숨골 이상의 기능을 갖고 있으며 지하수 이동에 고속도로 역할을 한다는 전문가 의견을 이 뉴스를 통해 보도했는데요,
지난 달 19일 이 보도가 나갔을 때는 온라인에서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지난 주부터 누리꾼들의 주목 속에 지금까지 조회수 60만 회, 댓글 600여 개가 달리며 큰 관심을 모았습니다.
누리꾼들은 환경 영향에 대한 전면 재조사가 필요하다, 제주의 자연이 가장 소중한 자원이다 등 환경 훼손에 대한 많은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