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전남] 목포수협 북항 이전…선창엔 ‘여객선 접안 시설 확충’

입력 2023.05.11 (19:20) 수정 2023.05.11 (19: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목포시 여객선 터미널 인근에 자리한 목포수협이 80여 년 만에 선창 시대를 마감하고 목포 북항으로 이전했습니다.

목포수협이 떠난 자리에는 목포와 제주를 오가는 여객선 접안 시설 등이 확충될 예정입니다.

김광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북항에 새로 문을 연 목포수협이 웅장한 모습을 드러냅니다.

1937년 일제 강점기 목포어업조합으로 출발한 목포수협이 80여 년 만에 옮긴 것입니다.

국비와 지방비 등 750억 원가량이 투입된 목포수협은 냉장과 냉동 시설은 물론 전남 최대 규모의 위생적인 위판장을 갖췄습니다.

목포 북항은 이로써 해양 관광과 수산물 가공유통 등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다기능 어항으로 탈바꿈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김청룡/목포수협 조합장 : "낙후된 수산업의 경쟁력이 크게 확보되고 여러 가지 판로 개척이나 수산물 유통·물류에 큰 전환점을 맞이하게 될 것 같습니다."]

특히 얼음이나 면세유 공급 시설 등 뿔뿔이 흩어진 설비를 한 곳에 모아 어민들의 유통비용 감소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목포수협이 떠난 선창에는 여객선 접안시설이 확충됩니다.

해양수산부는 오는 2030년까지 구 수협위판장 앞바다를 길이 270m, 폭 60m로 매립해 여객선 접안 부두를 건설할 계획입니다.

또한, 옛 목포수협 건물 부지에는 민간 자본을 투입해 항만 재개발을 추진한다는 방침입니다.

[김경균/목포지방해양수산청 항만건설과 : "민간사업자 제안이라든지 모집 같은 경우는 해양수산부 본부에서 하기 때문에 사업자가 선정돼서 내려오면 구체적인 실시계획부터는 저희 청에서 추진하게 되거든요."]

목포수협이 이전되고 선창의 항만 재개발이 추진되면서 목포의 상징인 해안 경관에도 큰 변화가 예상됩니다.

KBS 뉴스 김광진입니다.

촬영기자:김강용/영상편집:유도한

내일부터 완도서 ‘전라남도 체육대회’

제62회 전라남도 체육대회가 내일부터 나흘간 완도군 일대에서 개최됩니다.

완도군은 오늘(11일) 장도 청해진 유적지에서 성화 채화를 하고, 12개 읍면, 총 261.4km 구간에 걸친 성화 봉송에 나섰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체육대회는 내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완도군 공설운동장과 종목별 경기장에서 도내 22개 시군 선수와 임원 등 7천 2백여 명이 24개 종목을 두고 경쟁을 펼치게 됩니다.

전복 양식장 ‘고수온·적조’…“첨단기술로 대응”

전라남도 해양수산과학원이 고수온과 적조 등 자연 재해에 대응하기 위한 시험연구에 착수했습니다.

전남 해양수산과학원은 완도군 보길면의 전복 가두리 양식장에 스마트폰 원격 제어로 산소를 수시 공급할 수 있는 고수온·적조 방제시스템을 설치하고 실험에 들어갔습니다.

해양수산과학원은 어장 환경 분석과 전복 성장도, 질병, 폐사율 조사 등을 통해 방제 시스템 효과를 검증해나갈 계획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기는 전남] 목포수협 북항 이전…선창엔 ‘여객선 접안 시설 확충’
    • 입력 2023-05-11 19:20:55
    • 수정2023-05-11 19:28:10
    뉴스7(광주)
[앵커]

목포시 여객선 터미널 인근에 자리한 목포수협이 80여 년 만에 선창 시대를 마감하고 목포 북항으로 이전했습니다.

목포수협이 떠난 자리에는 목포와 제주를 오가는 여객선 접안 시설 등이 확충될 예정입니다.

김광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북항에 새로 문을 연 목포수협이 웅장한 모습을 드러냅니다.

1937년 일제 강점기 목포어업조합으로 출발한 목포수협이 80여 년 만에 옮긴 것입니다.

국비와 지방비 등 750억 원가량이 투입된 목포수협은 냉장과 냉동 시설은 물론 전남 최대 규모의 위생적인 위판장을 갖췄습니다.

목포 북항은 이로써 해양 관광과 수산물 가공유통 등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다기능 어항으로 탈바꿈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김청룡/목포수협 조합장 : "낙후된 수산업의 경쟁력이 크게 확보되고 여러 가지 판로 개척이나 수산물 유통·물류에 큰 전환점을 맞이하게 될 것 같습니다."]

특히 얼음이나 면세유 공급 시설 등 뿔뿔이 흩어진 설비를 한 곳에 모아 어민들의 유통비용 감소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목포수협이 떠난 선창에는 여객선 접안시설이 확충됩니다.

해양수산부는 오는 2030년까지 구 수협위판장 앞바다를 길이 270m, 폭 60m로 매립해 여객선 접안 부두를 건설할 계획입니다.

또한, 옛 목포수협 건물 부지에는 민간 자본을 투입해 항만 재개발을 추진한다는 방침입니다.

[김경균/목포지방해양수산청 항만건설과 : "민간사업자 제안이라든지 모집 같은 경우는 해양수산부 본부에서 하기 때문에 사업자가 선정돼서 내려오면 구체적인 실시계획부터는 저희 청에서 추진하게 되거든요."]

목포수협이 이전되고 선창의 항만 재개발이 추진되면서 목포의 상징인 해안 경관에도 큰 변화가 예상됩니다.

KBS 뉴스 김광진입니다.

촬영기자:김강용/영상편집:유도한

내일부터 완도서 ‘전라남도 체육대회’

제62회 전라남도 체육대회가 내일부터 나흘간 완도군 일대에서 개최됩니다.

완도군은 오늘(11일) 장도 청해진 유적지에서 성화 채화를 하고, 12개 읍면, 총 261.4km 구간에 걸친 성화 봉송에 나섰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체육대회는 내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완도군 공설운동장과 종목별 경기장에서 도내 22개 시군 선수와 임원 등 7천 2백여 명이 24개 종목을 두고 경쟁을 펼치게 됩니다.

전복 양식장 ‘고수온·적조’…“첨단기술로 대응”

전라남도 해양수산과학원이 고수온과 적조 등 자연 재해에 대응하기 위한 시험연구에 착수했습니다.

전남 해양수산과학원은 완도군 보길면의 전복 가두리 양식장에 스마트폰 원격 제어로 산소를 수시 공급할 수 있는 고수온·적조 방제시스템을 설치하고 실험에 들어갔습니다.

해양수산과학원은 어장 환경 분석과 전복 성장도, 질병, 폐사율 조사 등을 통해 방제 시스템 효과를 검증해나갈 계획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