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51개 초광역권 협력사업 추진

입력 2023.05.12 (19:32) 수정 2023.05.12 (19: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역소멸 위기 속에 광역 지방자치단체들의 합종연횡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지난해엔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이 개정되면서 협력사업에 대한 지원도 가능해졌는데요.

강원도도 다른 시도와 초광역권 협력사업에 주력하겠다는 구상을 내놨습니다.

임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토 최북단에 있어 생활권을 공유할 시도가 없는 강원도.

부산울산경남 메가시티, 충청권 메가시티 등 시도별 연합 구상이 잇따르고 있는데도 강원도는 소외돼 왔습니다.

이 때문에 강원도가 다른 광역자치단체와 손을 잡는 초광역권 협력 구상을 내놨습니다.

강원도가 이번에 제시한 핵심 사업안은 모두 51개, 사업비는 25조 원에 달합니다.

국가균형발전 특별법 개정으로 법적 근거도 마련됐습니다.

[김진태/강원도지사 : "큰 테마들이 대부분 국정 과제와 다 연결이 돼 있다는 겁니다. 우리가 여기 정말 달려들어야 됩니다."]

먼저, 산업 분야입니다.

그린수소에너지 경제권은 전북과, 디지털헬스케어 분야에선 충북, 대구와 협력합니다.

반도체 산업생태계 조성에도 힘을 모읍니다.

관광 분야에선 강호축과 동해안권, 두 축을 중심으로 관광 활성화에 나섭니다.

7개 사업에 2조 1,000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경기와 충북 등을 1,300km 도로와 철도로 촘촘하게 잇습니다.

국비 등 21조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전체 사업비의 85%에 이릅니다.

또, 제주나 전북 등 같은 특별자치도와는 우수산업 인력 유치와 교류 등으로 힘을 모으기로 했습니다.

강원도가 밝힌 구상 가운데는 디지털헬스케어처럼 협의가 진행 중인 분야도 있습니다.

[김광수/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원장 : "대구라든지 경북 오송 이쪽이 이제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시도하고, 큰 틀에서 지금 협의를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밖에 사업 상당수는 강원도의 구상 수준입니다.

이 때문에 실제 맞손을 잡아야 하는 자치단체들과 지리적· 내용적으로 멀다는 한계점을 어떻게 극복할지는 과제가 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임서영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강원도, 51개 초광역권 협력사업 추진
    • 입력 2023-05-12 19:32:23
    • 수정2023-05-12 19:45:40
    뉴스7(춘천)
[앵커]

지역소멸 위기 속에 광역 지방자치단체들의 합종연횡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지난해엔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이 개정되면서 협력사업에 대한 지원도 가능해졌는데요.

강원도도 다른 시도와 초광역권 협력사업에 주력하겠다는 구상을 내놨습니다.

임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토 최북단에 있어 생활권을 공유할 시도가 없는 강원도.

부산울산경남 메가시티, 충청권 메가시티 등 시도별 연합 구상이 잇따르고 있는데도 강원도는 소외돼 왔습니다.

이 때문에 강원도가 다른 광역자치단체와 손을 잡는 초광역권 협력 구상을 내놨습니다.

강원도가 이번에 제시한 핵심 사업안은 모두 51개, 사업비는 25조 원에 달합니다.

국가균형발전 특별법 개정으로 법적 근거도 마련됐습니다.

[김진태/강원도지사 : "큰 테마들이 대부분 국정 과제와 다 연결이 돼 있다는 겁니다. 우리가 여기 정말 달려들어야 됩니다."]

먼저, 산업 분야입니다.

그린수소에너지 경제권은 전북과, 디지털헬스케어 분야에선 충북, 대구와 협력합니다.

반도체 산업생태계 조성에도 힘을 모읍니다.

관광 분야에선 강호축과 동해안권, 두 축을 중심으로 관광 활성화에 나섭니다.

7개 사업에 2조 1,000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경기와 충북 등을 1,300km 도로와 철도로 촘촘하게 잇습니다.

국비 등 21조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전체 사업비의 85%에 이릅니다.

또, 제주나 전북 등 같은 특별자치도와는 우수산업 인력 유치와 교류 등으로 힘을 모으기로 했습니다.

강원도가 밝힌 구상 가운데는 디지털헬스케어처럼 협의가 진행 중인 분야도 있습니다.

[김광수/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원장 : "대구라든지 경북 오송 이쪽이 이제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시도하고, 큰 틀에서 지금 협의를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밖에 사업 상당수는 강원도의 구상 수준입니다.

이 때문에 실제 맞손을 잡아야 하는 자치단체들과 지리적· 내용적으로 멀다는 한계점을 어떻게 극복할지는 과제가 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임서영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춘천-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