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 “간호법 재의 요구 건의하기로”…‘집단행동’ 예고

입력 2023.05.14 (21:07) 수정 2023.05.15 (07: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얼마 전 국회를 통과한 간호법 제정안에 대해, 정부 여당이 윤석열 대통령에게 거부권 행사, 즉 '재의 요구권' 행사를 건의하기로 했습니다.

대통령실은 고심에 들어갔고, 관련 단체들은 '집단 행동'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화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간호사 업무 규정을 별도로 분리해 자격·처우 개선 등을 담은 간호법 제정안.

지난달 27일 야당 주도로 국회에서 통과됐습니다.

그러나 간호사의 단독 개원 가능성 등을 놓고 의사협회 등이 반발하며 직역 간 갈등이 불거졌습니다.

국민의힘과 정부는 오늘(14일) 윤 대통령에게 재의요구권 행사를 건의하기로 했습니다.

[강민국/국민의힘 수석 대변인 : "국민의 생명을 볼모로 하는 입법 독주법으로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의 몫이 될 것이라는 점에 공감하였습니다."]

간호사 처우 개선 필요성엔 공감하지만, 법률적 근거가 필요하진 않다면서, "간호법은 간호조무사의 학력을 차별하는 이기주의법"이고, "간호법과 의료법 분리는 어느 나라에도 없다"고 밝혔습니다.

간호법 공포를 촉구해온 대한간호협회는 당정의 주장이 모두 허위라며 강력한 정책 투쟁에 나서겠다는 입장입니다.

동시에, 의사와 간호조무사협회 등으로 구성된 보건복지의료연대도 오는 17일 총파업을 예고한 상태입니다.

국민의힘은 대통령 거부권이 행사되더라도 법안 재상정까지 민주당과 대안을 더 논의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민주당은 "대통령이 약속했던 공약을 거부하는 건 윤석열 정부의 자기부정"이며 "잇단 거부권 행사는 입법권 무시"라고 맞받았습니다.

모레(16일) 국무회의가 예정된 가운데, 대통령실은 당정의 요구를 받아들일지 고심하는 분위기입니다.

"사회적 갈등이 있는 법안을 모른 척 할 수 없다"면서도 "법안 보완책 등을 심도있게 검토하는 등 고민이 더 필요하다"고 대통령실 관계자가 전했습니다.

KBS 뉴스 이화진입니다.

촬영기자:박상욱/영상편집:이진이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당정 “간호법 재의 요구 건의하기로”…‘집단행동’ 예고
    • 입력 2023-05-14 21:07:05
    • 수정2023-05-15 07:56:50
    뉴스 9
[앵커]

얼마 전 국회를 통과한 간호법 제정안에 대해, 정부 여당이 윤석열 대통령에게 거부권 행사, 즉 '재의 요구권' 행사를 건의하기로 했습니다.

대통령실은 고심에 들어갔고, 관련 단체들은 '집단 행동'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화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간호사 업무 규정을 별도로 분리해 자격·처우 개선 등을 담은 간호법 제정안.

지난달 27일 야당 주도로 국회에서 통과됐습니다.

그러나 간호사의 단독 개원 가능성 등을 놓고 의사협회 등이 반발하며 직역 간 갈등이 불거졌습니다.

국민의힘과 정부는 오늘(14일) 윤 대통령에게 재의요구권 행사를 건의하기로 했습니다.

[강민국/국민의힘 수석 대변인 : "국민의 생명을 볼모로 하는 입법 독주법으로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의 몫이 될 것이라는 점에 공감하였습니다."]

간호사 처우 개선 필요성엔 공감하지만, 법률적 근거가 필요하진 않다면서, "간호법은 간호조무사의 학력을 차별하는 이기주의법"이고, "간호법과 의료법 분리는 어느 나라에도 없다"고 밝혔습니다.

간호법 공포를 촉구해온 대한간호협회는 당정의 주장이 모두 허위라며 강력한 정책 투쟁에 나서겠다는 입장입니다.

동시에, 의사와 간호조무사협회 등으로 구성된 보건복지의료연대도 오는 17일 총파업을 예고한 상태입니다.

국민의힘은 대통령 거부권이 행사되더라도 법안 재상정까지 민주당과 대안을 더 논의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민주당은 "대통령이 약속했던 공약을 거부하는 건 윤석열 정부의 자기부정"이며 "잇단 거부권 행사는 입법권 무시"라고 맞받았습니다.

모레(16일) 국무회의가 예정된 가운데, 대통령실은 당정의 요구를 받아들일지 고심하는 분위기입니다.

"사회적 갈등이 있는 법안을 모른 척 할 수 없다"면서도 "법안 보완책 등을 심도있게 검토하는 등 고민이 더 필요하다"고 대통령실 관계자가 전했습니다.

KBS 뉴스 이화진입니다.

촬영기자:박상욱/영상편집:이진이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