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앞두고 “오염수 방류 반대”…“한·일 연대도 본격화”

입력 2023.05.16 (21:21) 수정 2023.06.12 (14: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바닷물에는 국적이 없습니다"

지난주 국회에서는 제주 가파도에서 물질하는 해녀와 일본 후쿠시마에서 고기를 잡는 어민이 나란히 섰습니다.

바다가 일터인 동시에 삶 그 자체인 두 사람은, 사람은 물론 물고기와 바다생물, 즉 생명의 입장에서 오염수 문제를 생각해달라고 부탁했죠.

이렇게, 국적을 떠나 바다를 먼저 생각하자는 움직임은 일본에서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오늘(16일) 도쿄전력 본사 앞에서도 한국과 일본의 시민들이 함께 목소리를 모았습니다.

도쿄 지종익 특파원의 보돕니다.

[리포트]

후쿠시마 원전 부지에 빼곡히 들어찬 대형 탱크, 오염수 130만여 톤이 담겨있습니다.

도쿄전력은 오염수 방류를 위한 해저터널 굴착을 최근 끝냈습니다.

["오염수를 방류하지 마라!"]

일본 시민들이 방류 계획 중단을 촉구하며 도쿄전력 본사 앞에 모였습니다.

직접적으로 관련된 후쿠시마 주민들도 목청껏 외쳤습니다.

[집회 참가자 : "이대로 30년 동안 대량의 방사성 물질을 바다에 흘려보낼 생각입니까? 아직 늦지 않았습니다."]

히로시마 주요 7개국 정상회의를 사흘 앞둔 상황에서 오염수 방류 반대 메시지를 전 세계에 알리려는 목적도 컸습니다.

오염수 방류 반대 집회는 종종 있었지만, 이번엔 참가 인원도 늘고, 특히 외신들의 관심이 부쩍 커진 모습입니다.

이들은 2015년 정부가 후쿠시마 어업인 등 "관계자의 양해 없이는 어떤 처분도 하지 않는다"고 약속했는데 이를 깼다고 비판했습니다.

한국의 환경단체도 뜻을 함께했습니다.

또 한국 정부가 양국 관계 개선을 내세우며 오염수 방류를 용인하려 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최경숙/시민방사능감시센터 활동가 : "시찰단 파견이라는 요식행위를 통해 일본 정부의 오염수 해양방류에 명분을 주려는 한국 정부 역시 (오염수 방류라는) 국가폭력의 공범이라고 생각합니다."]

집회 주최 측은 바다 방류가 아닌 오염수 관리의 근본 대책을 세운 뒤, 국민적 논의를 거치라며 도쿄전력과 일본 정부에 요청서를 제출했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지종익입니다.

촬영:안병욱/영상편집:서삼현/자료조사:조영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G7 앞두고 “오염수 방류 반대”…“한·일 연대도 본격화”
    • 입력 2023-05-16 21:21:30
    • 수정2023-06-12 14:07:43
    뉴스 9
[앵커]

"바닷물에는 국적이 없습니다"

지난주 국회에서는 제주 가파도에서 물질하는 해녀와 일본 후쿠시마에서 고기를 잡는 어민이 나란히 섰습니다.

바다가 일터인 동시에 삶 그 자체인 두 사람은, 사람은 물론 물고기와 바다생물, 즉 생명의 입장에서 오염수 문제를 생각해달라고 부탁했죠.

이렇게, 국적을 떠나 바다를 먼저 생각하자는 움직임은 일본에서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오늘(16일) 도쿄전력 본사 앞에서도 한국과 일본의 시민들이 함께 목소리를 모았습니다.

도쿄 지종익 특파원의 보돕니다.

[리포트]

후쿠시마 원전 부지에 빼곡히 들어찬 대형 탱크, 오염수 130만여 톤이 담겨있습니다.

도쿄전력은 오염수 방류를 위한 해저터널 굴착을 최근 끝냈습니다.

["오염수를 방류하지 마라!"]

일본 시민들이 방류 계획 중단을 촉구하며 도쿄전력 본사 앞에 모였습니다.

직접적으로 관련된 후쿠시마 주민들도 목청껏 외쳤습니다.

[집회 참가자 : "이대로 30년 동안 대량의 방사성 물질을 바다에 흘려보낼 생각입니까? 아직 늦지 않았습니다."]

히로시마 주요 7개국 정상회의를 사흘 앞둔 상황에서 오염수 방류 반대 메시지를 전 세계에 알리려는 목적도 컸습니다.

오염수 방류 반대 집회는 종종 있었지만, 이번엔 참가 인원도 늘고, 특히 외신들의 관심이 부쩍 커진 모습입니다.

이들은 2015년 정부가 후쿠시마 어업인 등 "관계자의 양해 없이는 어떤 처분도 하지 않는다"고 약속했는데 이를 깼다고 비판했습니다.

한국의 환경단체도 뜻을 함께했습니다.

또 한국 정부가 양국 관계 개선을 내세우며 오염수 방류를 용인하려 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최경숙/시민방사능감시센터 활동가 : "시찰단 파견이라는 요식행위를 통해 일본 정부의 오염수 해양방류에 명분을 주려는 한국 정부 역시 (오염수 방류라는) 국가폭력의 공범이라고 생각합니다."]

집회 주최 측은 바다 방류가 아닌 오염수 관리의 근본 대책을 세운 뒤, 국민적 논의를 거치라며 도쿄전력과 일본 정부에 요청서를 제출했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지종익입니다.

촬영:안병욱/영상편집:서삼현/자료조사:조영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