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전기요금 인상에 중소기업 시름…“지원책 마련돼야”
입력 2023.05.17 (12:12) 수정 2023.05.17 (13:04) 뉴스 12
[앵커]
어제(16일)부터 킬로와트시당 8원 오른 전기요금이 적용됐습니다.
가정용과 산업용 요금이 같은 폭으로 올랐는데, 고물가와 불경기 속에 늘어난 생산 비용까지 감내해야 하는 중소기업들은 지원책 마련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장덕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기로에서 철을 녹여 각종 금속 모형을 만드는 주물공장.
공정 특성상 전기를 많이 사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한 달 전기요금만 6천만 원, 에너지 효율 장치까지 설치했지만 계속 오르는 전기요금을 감당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안규/주조주물업체 대표 : "철값이 지금 모든 (재료비의) 거의 30% 정도까지 차지하는데 (전기 요금이) 그 선을 넘어가지 않을까 그게 걱정이 됩니다."]
전기요금이 올랐어도 제품 가격에 반영하기 어렵습니다.
[정명효/염색업체 대표 : "(발주업체에) 생산 단가를 높여달라고 소리를 할 수 없거든요. 생산량을 늘려야 월급이라든지 올라간 것들을 보충할 수 있는 여건이 되는데 실질적으로 그러면 그럴수록 직접 비용은 또 더 들어가니까…"]
올해 초 중소기업중앙회 조사 결과, "전기요금이 부담"이라고 답한 업체는 무려 95%.
"전기요금 인상분을 납품 단가에 반영하고 있다"는 업체는 10곳 중 1곳에 불과했습니다.
특히 전기요금이 전체 생산원가의 30%에 이르는 주물이나 금형, 용접 등 이른바 뿌리업종의 부담이 큽니다.
중소기업계에선 전용 전기요금제 도입 등 지원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강형덕/중소기업중앙회 제조혁신실장 : "전기 사용량의 3.7% 정도를 전력기반부담금을 부과하고 있는데 이 부분은 전기요금 원가와 전혀 상관없는 부분이기 때문에 감면을 해야 된다."]
당장 다음 달부터는 봄, 가을철보다 비싼 여름철 전기요금이 적용될 예정이어서, 중소기업들의 시름은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장덕수입니다.
촬영기자:최경원/영상편집:김지영/그래픽:김석훈
어제(16일)부터 킬로와트시당 8원 오른 전기요금이 적용됐습니다.
가정용과 산업용 요금이 같은 폭으로 올랐는데, 고물가와 불경기 속에 늘어난 생산 비용까지 감내해야 하는 중소기업들은 지원책 마련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장덕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기로에서 철을 녹여 각종 금속 모형을 만드는 주물공장.
공정 특성상 전기를 많이 사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한 달 전기요금만 6천만 원, 에너지 효율 장치까지 설치했지만 계속 오르는 전기요금을 감당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안규/주조주물업체 대표 : "철값이 지금 모든 (재료비의) 거의 30% 정도까지 차지하는데 (전기 요금이) 그 선을 넘어가지 않을까 그게 걱정이 됩니다."]
전기요금이 올랐어도 제품 가격에 반영하기 어렵습니다.
[정명효/염색업체 대표 : "(발주업체에) 생산 단가를 높여달라고 소리를 할 수 없거든요. 생산량을 늘려야 월급이라든지 올라간 것들을 보충할 수 있는 여건이 되는데 실질적으로 그러면 그럴수록 직접 비용은 또 더 들어가니까…"]
올해 초 중소기업중앙회 조사 결과, "전기요금이 부담"이라고 답한 업체는 무려 95%.
"전기요금 인상분을 납품 단가에 반영하고 있다"는 업체는 10곳 중 1곳에 불과했습니다.
특히 전기요금이 전체 생산원가의 30%에 이르는 주물이나 금형, 용접 등 이른바 뿌리업종의 부담이 큽니다.
중소기업계에선 전용 전기요금제 도입 등 지원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강형덕/중소기업중앙회 제조혁신실장 : "전기 사용량의 3.7% 정도를 전력기반부담금을 부과하고 있는데 이 부분은 전기요금 원가와 전혀 상관없는 부분이기 때문에 감면을 해야 된다."]
당장 다음 달부터는 봄, 가을철보다 비싼 여름철 전기요금이 적용될 예정이어서, 중소기업들의 시름은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장덕수입니다.
촬영기자:최경원/영상편집:김지영/그래픽:김석훈
- 전기요금 인상에 중소기업 시름…“지원책 마련돼야”
-
- 입력 2023-05-17 12:12:34
- 수정2023-05-17 13:04:26

[앵커]
어제(16일)부터 킬로와트시당 8원 오른 전기요금이 적용됐습니다.
가정용과 산업용 요금이 같은 폭으로 올랐는데, 고물가와 불경기 속에 늘어난 생산 비용까지 감내해야 하는 중소기업들은 지원책 마련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장덕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기로에서 철을 녹여 각종 금속 모형을 만드는 주물공장.
공정 특성상 전기를 많이 사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한 달 전기요금만 6천만 원, 에너지 효율 장치까지 설치했지만 계속 오르는 전기요금을 감당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안규/주조주물업체 대표 : "철값이 지금 모든 (재료비의) 거의 30% 정도까지 차지하는데 (전기 요금이) 그 선을 넘어가지 않을까 그게 걱정이 됩니다."]
전기요금이 올랐어도 제품 가격에 반영하기 어렵습니다.
[정명효/염색업체 대표 : "(발주업체에) 생산 단가를 높여달라고 소리를 할 수 없거든요. 생산량을 늘려야 월급이라든지 올라간 것들을 보충할 수 있는 여건이 되는데 실질적으로 그러면 그럴수록 직접 비용은 또 더 들어가니까…"]
올해 초 중소기업중앙회 조사 결과, "전기요금이 부담"이라고 답한 업체는 무려 95%.
"전기요금 인상분을 납품 단가에 반영하고 있다"는 업체는 10곳 중 1곳에 불과했습니다.
특히 전기요금이 전체 생산원가의 30%에 이르는 주물이나 금형, 용접 등 이른바 뿌리업종의 부담이 큽니다.
중소기업계에선 전용 전기요금제 도입 등 지원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강형덕/중소기업중앙회 제조혁신실장 : "전기 사용량의 3.7% 정도를 전력기반부담금을 부과하고 있는데 이 부분은 전기요금 원가와 전혀 상관없는 부분이기 때문에 감면을 해야 된다."]
당장 다음 달부터는 봄, 가을철보다 비싼 여름철 전기요금이 적용될 예정이어서, 중소기업들의 시름은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장덕수입니다.
촬영기자:최경원/영상편집:김지영/그래픽:김석훈
어제(16일)부터 킬로와트시당 8원 오른 전기요금이 적용됐습니다.
가정용과 산업용 요금이 같은 폭으로 올랐는데, 고물가와 불경기 속에 늘어난 생산 비용까지 감내해야 하는 중소기업들은 지원책 마련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장덕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기로에서 철을 녹여 각종 금속 모형을 만드는 주물공장.
공정 특성상 전기를 많이 사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한 달 전기요금만 6천만 원, 에너지 효율 장치까지 설치했지만 계속 오르는 전기요금을 감당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안규/주조주물업체 대표 : "철값이 지금 모든 (재료비의) 거의 30% 정도까지 차지하는데 (전기 요금이) 그 선을 넘어가지 않을까 그게 걱정이 됩니다."]
전기요금이 올랐어도 제품 가격에 반영하기 어렵습니다.
[정명효/염색업체 대표 : "(발주업체에) 생산 단가를 높여달라고 소리를 할 수 없거든요. 생산량을 늘려야 월급이라든지 올라간 것들을 보충할 수 있는 여건이 되는데 실질적으로 그러면 그럴수록 직접 비용은 또 더 들어가니까…"]
올해 초 중소기업중앙회 조사 결과, "전기요금이 부담"이라고 답한 업체는 무려 95%.
"전기요금 인상분을 납품 단가에 반영하고 있다"는 업체는 10곳 중 1곳에 불과했습니다.
특히 전기요금이 전체 생산원가의 30%에 이르는 주물이나 금형, 용접 등 이른바 뿌리업종의 부담이 큽니다.
중소기업계에선 전용 전기요금제 도입 등 지원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강형덕/중소기업중앙회 제조혁신실장 : "전기 사용량의 3.7% 정도를 전력기반부담금을 부과하고 있는데 이 부분은 전기요금 원가와 전혀 상관없는 부분이기 때문에 감면을 해야 된다."]
당장 다음 달부터는 봄, 가을철보다 비싼 여름철 전기요금이 적용될 예정이어서, 중소기업들의 시름은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장덕수입니다.
촬영기자:최경원/영상편집:김지영/그래픽:김석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 12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장덕수 기자 joannes@kbs.co.kr
장덕수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