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독감에 수족구까지…계절 뛰어넘은 바이러스
입력 2023.05.23 (10:30) 수정 2023.05.23 (11:01) 930뉴스(대전)
[앵커]
여름이 코앞으로 다가왔지만 겨울철 유행했던 독감이 좀처럼 줄지 않고 있습니다.
영유아 사이에서는 주로 여름철 유행하는 수족구가 확산하는 등 계절을 무시한 바이러스 질환이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김예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전의 한 소아과, 아침부터 진료를 보려는 아이와 부모들로 대기실 의자가 꽉 찼습니다.
[박건주/보호자 : "주말에는 거의 1시간 이상 정도 기다린 것 같고요. 아무래도 지금 환절기이고 아기들이 바이러스가 유행이잖아요."]
발열과 기침, 콧물 증상을 보이는 환자가 대부분입니다.
이달 둘째 주 기준, 독감 의심 환자 수는 외래 환자 천 명에 23.4명, 올해 유행 기준보다 5배 많습니다.
통상 독감 환자는 봄이 되면서 줄어들기 마련이지만 올해는 예년보다 석 달 이상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주로 여름철 유행하는 수족구도 한 달 새 3배 이상 급증하는 등 영유아 사이에서 급속히 번지고 있습니다.
[이은진/보호자 : "입안에 수포가 생겨서 (아이가) 밥을 못 먹었어요, 너무 힘들어서…. 병원에 왔는데 수족구라고 해서…."]
후두염을 동반하는 파라 인플루엔자와 '눈곱 감기'로 불리는 아데노 바이러스도 기승입니다.
큰 일교차 속에 봄철 활동량이 늘어난데다 코로나19 방역조치가 대부분 해제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변상현/소아청소년과 전문의 : "(코로나19로) 그 병이 안 돌았기 때문에 그 연령대에 해당하는 아이들이 그 병을 겪을 경험이 없었죠. 그러니까 항체 형성이 잘 안 돼서…."]
방역당국은 여러 호흡기 바이러스가 동시에 검출되고 있다며 손 씻기와 같은 개인 위생 수칙을 철저히 지켜달라고 부탁했습니다.
KBS 뉴스 김예은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여름이 코앞으로 다가왔지만 겨울철 유행했던 독감이 좀처럼 줄지 않고 있습니다.
영유아 사이에서는 주로 여름철 유행하는 수족구가 확산하는 등 계절을 무시한 바이러스 질환이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김예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전의 한 소아과, 아침부터 진료를 보려는 아이와 부모들로 대기실 의자가 꽉 찼습니다.
[박건주/보호자 : "주말에는 거의 1시간 이상 정도 기다린 것 같고요. 아무래도 지금 환절기이고 아기들이 바이러스가 유행이잖아요."]
발열과 기침, 콧물 증상을 보이는 환자가 대부분입니다.
이달 둘째 주 기준, 독감 의심 환자 수는 외래 환자 천 명에 23.4명, 올해 유행 기준보다 5배 많습니다.
통상 독감 환자는 봄이 되면서 줄어들기 마련이지만 올해는 예년보다 석 달 이상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주로 여름철 유행하는 수족구도 한 달 새 3배 이상 급증하는 등 영유아 사이에서 급속히 번지고 있습니다.
[이은진/보호자 : "입안에 수포가 생겨서 (아이가) 밥을 못 먹었어요, 너무 힘들어서…. 병원에 왔는데 수족구라고 해서…."]
후두염을 동반하는 파라 인플루엔자와 '눈곱 감기'로 불리는 아데노 바이러스도 기승입니다.
큰 일교차 속에 봄철 활동량이 늘어난데다 코로나19 방역조치가 대부분 해제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변상현/소아청소년과 전문의 : "(코로나19로) 그 병이 안 돌았기 때문에 그 연령대에 해당하는 아이들이 그 병을 겪을 경험이 없었죠. 그러니까 항체 형성이 잘 안 돼서…."]
방역당국은 여러 호흡기 바이러스가 동시에 검출되고 있다며 손 씻기와 같은 개인 위생 수칙을 철저히 지켜달라고 부탁했습니다.
KBS 뉴스 김예은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 독감에 수족구까지…계절 뛰어넘은 바이러스
-
- 입력 2023-05-23 10:30:34
- 수정2023-05-23 11:01:51

[앵커]
여름이 코앞으로 다가왔지만 겨울철 유행했던 독감이 좀처럼 줄지 않고 있습니다.
영유아 사이에서는 주로 여름철 유행하는 수족구가 확산하는 등 계절을 무시한 바이러스 질환이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김예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전의 한 소아과, 아침부터 진료를 보려는 아이와 부모들로 대기실 의자가 꽉 찼습니다.
[박건주/보호자 : "주말에는 거의 1시간 이상 정도 기다린 것 같고요. 아무래도 지금 환절기이고 아기들이 바이러스가 유행이잖아요."]
발열과 기침, 콧물 증상을 보이는 환자가 대부분입니다.
이달 둘째 주 기준, 독감 의심 환자 수는 외래 환자 천 명에 23.4명, 올해 유행 기준보다 5배 많습니다.
통상 독감 환자는 봄이 되면서 줄어들기 마련이지만 올해는 예년보다 석 달 이상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주로 여름철 유행하는 수족구도 한 달 새 3배 이상 급증하는 등 영유아 사이에서 급속히 번지고 있습니다.
[이은진/보호자 : "입안에 수포가 생겨서 (아이가) 밥을 못 먹었어요, 너무 힘들어서…. 병원에 왔는데 수족구라고 해서…."]
후두염을 동반하는 파라 인플루엔자와 '눈곱 감기'로 불리는 아데노 바이러스도 기승입니다.
큰 일교차 속에 봄철 활동량이 늘어난데다 코로나19 방역조치가 대부분 해제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변상현/소아청소년과 전문의 : "(코로나19로) 그 병이 안 돌았기 때문에 그 연령대에 해당하는 아이들이 그 병을 겪을 경험이 없었죠. 그러니까 항체 형성이 잘 안 돼서…."]
방역당국은 여러 호흡기 바이러스가 동시에 검출되고 있다며 손 씻기와 같은 개인 위생 수칙을 철저히 지켜달라고 부탁했습니다.
KBS 뉴스 김예은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여름이 코앞으로 다가왔지만 겨울철 유행했던 독감이 좀처럼 줄지 않고 있습니다.
영유아 사이에서는 주로 여름철 유행하는 수족구가 확산하는 등 계절을 무시한 바이러스 질환이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김예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전의 한 소아과, 아침부터 진료를 보려는 아이와 부모들로 대기실 의자가 꽉 찼습니다.
[박건주/보호자 : "주말에는 거의 1시간 이상 정도 기다린 것 같고요. 아무래도 지금 환절기이고 아기들이 바이러스가 유행이잖아요."]
발열과 기침, 콧물 증상을 보이는 환자가 대부분입니다.
이달 둘째 주 기준, 독감 의심 환자 수는 외래 환자 천 명에 23.4명, 올해 유행 기준보다 5배 많습니다.
통상 독감 환자는 봄이 되면서 줄어들기 마련이지만 올해는 예년보다 석 달 이상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주로 여름철 유행하는 수족구도 한 달 새 3배 이상 급증하는 등 영유아 사이에서 급속히 번지고 있습니다.
[이은진/보호자 : "입안에 수포가 생겨서 (아이가) 밥을 못 먹었어요, 너무 힘들어서…. 병원에 왔는데 수족구라고 해서…."]
후두염을 동반하는 파라 인플루엔자와 '눈곱 감기'로 불리는 아데노 바이러스도 기승입니다.
큰 일교차 속에 봄철 활동량이 늘어난데다 코로나19 방역조치가 대부분 해제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변상현/소아청소년과 전문의 : "(코로나19로) 그 병이 안 돌았기 때문에 그 연령대에 해당하는 아이들이 그 병을 겪을 경험이 없었죠. 그러니까 항체 형성이 잘 안 돼서…."]
방역당국은 여러 호흡기 바이러스가 동시에 검출되고 있다며 손 씻기와 같은 개인 위생 수칙을 철저히 지켜달라고 부탁했습니다.
KBS 뉴스 김예은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930뉴스(대전)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예은 기자 yes24@kbs.co.kr
김예은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