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금투협 “채권전문가 89%, 5월 금통위 기준금리 동결 전망”
입력 2023.05.23 (11:30) 수정 2023.05.23 (11:30) 경제
채권전문가 10명 가운데 9명은 이달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금융투자협회가 지난 12일부터 17일까지 채권 보유·운용 관련 종사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89%는 이달 금통위에서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응답자의 11%는 0.25%p 인상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금투협은 “이달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긴축 종료 신호가 확인된 가운데 우리나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4개월 만에 3%대로 내려오는 등 물가 둔화세가 이어지자 기준금리 동결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다음 달 국내 채권시장의 금리와 관련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58%가 보합세를 예상했습니다.
채권 금리상승과 채권 금리하락 응답자 비율은 각각 27%, 15%로 모두 전달 대비 줄었습니다.
다음 달 물가가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는 전체의 75%로 전달보다 21%p 늘었습니다.
물가가 하락할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 비율은 18%로 전달 대비 15%p 줄었습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를 기록하는 등 최근 물가 둔화 흐름이 뚜렷해지면서 물가 안정 흐름이 지속 될 거란 기대감이 커졌지만, 공공요금 인상 등으로 인한 물가 상승 우려가 완전히 해소되지는 못한 점이 물가하락 전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됩니다.
환율의 경우 다음 달 보합을 예상한 경우가 73%로 전달보다 5%p 줄었습니다.
환율상승과 환율하락 응답자 비율은 각각 18%, 9%로 전달 대비 모두 소폭 상승했습니다.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산출한 6월 채권시장 종합 지표(BSMI)는 97.3으로 전달보다 상승했습니다.
금투협은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로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 종료에 대한 기대감이 확산되며 채권시장 심리가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금융투자협회가 지난 12일부터 17일까지 채권 보유·운용 관련 종사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89%는 이달 금통위에서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응답자의 11%는 0.25%p 인상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금투협은 “이달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긴축 종료 신호가 확인된 가운데 우리나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4개월 만에 3%대로 내려오는 등 물가 둔화세가 이어지자 기준금리 동결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다음 달 국내 채권시장의 금리와 관련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58%가 보합세를 예상했습니다.
채권 금리상승과 채권 금리하락 응답자 비율은 각각 27%, 15%로 모두 전달 대비 줄었습니다.
다음 달 물가가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는 전체의 75%로 전달보다 21%p 늘었습니다.
물가가 하락할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 비율은 18%로 전달 대비 15%p 줄었습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를 기록하는 등 최근 물가 둔화 흐름이 뚜렷해지면서 물가 안정 흐름이 지속 될 거란 기대감이 커졌지만, 공공요금 인상 등으로 인한 물가 상승 우려가 완전히 해소되지는 못한 점이 물가하락 전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됩니다.
환율의 경우 다음 달 보합을 예상한 경우가 73%로 전달보다 5%p 줄었습니다.
환율상승과 환율하락 응답자 비율은 각각 18%, 9%로 전달 대비 모두 소폭 상승했습니다.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산출한 6월 채권시장 종합 지표(BSMI)는 97.3으로 전달보다 상승했습니다.
금투협은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로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 종료에 대한 기대감이 확산되며 채권시장 심리가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 금투협 “채권전문가 89%, 5월 금통위 기준금리 동결 전망”
-
- 입력 2023-05-23 11:30:30
- 수정2023-05-23 11:30:54

채권전문가 10명 가운데 9명은 이달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금융투자협회가 지난 12일부터 17일까지 채권 보유·운용 관련 종사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89%는 이달 금통위에서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응답자의 11%는 0.25%p 인상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금투협은 “이달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긴축 종료 신호가 확인된 가운데 우리나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4개월 만에 3%대로 내려오는 등 물가 둔화세가 이어지자 기준금리 동결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다음 달 국내 채권시장의 금리와 관련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58%가 보합세를 예상했습니다.
채권 금리상승과 채권 금리하락 응답자 비율은 각각 27%, 15%로 모두 전달 대비 줄었습니다.
다음 달 물가가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는 전체의 75%로 전달보다 21%p 늘었습니다.
물가가 하락할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 비율은 18%로 전달 대비 15%p 줄었습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를 기록하는 등 최근 물가 둔화 흐름이 뚜렷해지면서 물가 안정 흐름이 지속 될 거란 기대감이 커졌지만, 공공요금 인상 등으로 인한 물가 상승 우려가 완전히 해소되지는 못한 점이 물가하락 전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됩니다.
환율의 경우 다음 달 보합을 예상한 경우가 73%로 전달보다 5%p 줄었습니다.
환율상승과 환율하락 응답자 비율은 각각 18%, 9%로 전달 대비 모두 소폭 상승했습니다.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산출한 6월 채권시장 종합 지표(BSMI)는 97.3으로 전달보다 상승했습니다.
금투협은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로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 종료에 대한 기대감이 확산되며 채권시장 심리가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금융투자협회가 지난 12일부터 17일까지 채권 보유·운용 관련 종사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89%는 이달 금통위에서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응답자의 11%는 0.25%p 인상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금투협은 “이달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긴축 종료 신호가 확인된 가운데 우리나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4개월 만에 3%대로 내려오는 등 물가 둔화세가 이어지자 기준금리 동결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다음 달 국내 채권시장의 금리와 관련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58%가 보합세를 예상했습니다.
채권 금리상승과 채권 금리하락 응답자 비율은 각각 27%, 15%로 모두 전달 대비 줄었습니다.
다음 달 물가가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는 전체의 75%로 전달보다 21%p 늘었습니다.
물가가 하락할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 비율은 18%로 전달 대비 15%p 줄었습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를 기록하는 등 최근 물가 둔화 흐름이 뚜렷해지면서 물가 안정 흐름이 지속 될 거란 기대감이 커졌지만, 공공요금 인상 등으로 인한 물가 상승 우려가 완전히 해소되지는 못한 점이 물가하락 전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됩니다.
환율의 경우 다음 달 보합을 예상한 경우가 73%로 전달보다 5%p 줄었습니다.
환율상승과 환율하락 응답자 비율은 각각 18%, 9%로 전달 대비 모두 소폭 상승했습니다.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산출한 6월 채권시장 종합 지표(BSMI)는 97.3으로 전달보다 상승했습니다.
금투협은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로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 종료에 대한 기대감이 확산되며 채권시장 심리가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자 정보
-
-
손서영 기자 bellesy@kbs.co.kr
손서영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