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박진 “핵협의그룹, 일본 참여 협의 가능하지만 한미간 운영이 최우선”
입력 2023.05.23 (11:42) 수정 2023.05.23 (11:45) 정치
박진 외교부 장관은 신설되는 한미 간 확장억제협의체인 ‘핵협의그룹’(NCG)에 일본이 참여할 가능성과 관련해 “협의해 볼 수 있는 문제”라고 말했습니다.

박 장관은 오늘(23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초청 조찬 포럼에 참석해 “일본도 역시 미국과 동맹을 맺고 있고 북한의 핵과 미사일에 대해 안보적인 불안을 느끼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다만 “한미가 핵협의그룹을 충실히 구축하고 운영해 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라고 강조했습니다.

박 장관은 조 바이든 대통령 초청으로 이르면 올여름 개최가 예상되는 워싱턴 한미일 정상회담 의제와 관련해선 “북한 미사일 도발 경보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것을 어떻게 실현해나갈지 3국 국방 당국의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 3국 공유가 결국에는 미국의 미사일방어(MD) 체계 내 한국 편입을 의미하는 것 아니냐는 질의에 “MD 편입과는 전혀 다른 부분”이라며 “우리는 한국형 미사일방어(KAMD) 체계를 갖추고 있다”고 부인했습니다.

박 장관은 윤석열 정부가 미일 밀착 행보를 가속하면서 대 중국 외교는 소홀하다는 지적엔 “중국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는 물론이고 국제사회에서 책임있는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소통하고 각급에서 대화를 가짐으로써 중국과의 관계를 원만히 잘 끌고 나가야겠다고 생각한다”고 답했습니다.

그러면서 어제 한중 외교당국 간 국장급 협의가 서울에서 진행된 점을 거론하며 “4시간에 걸쳐 솔직하고 생산적인 대화가 있었다”고 소개했습니다.

박 장관은 지난해 말 취임한 친강 중국 외교부장과 대면 협의가 이뤄지고 있지 않은 것에 대해 “기회가 있는 대로 이른 시일 내 만나 이야기를 나누려고 한다”고 했습니다.

박 장관은 미중 관계가 해빙되면 미일 공조에 적극적인 한국이 어색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는 의견에 동의하지 않았습니다.

박 장관은 “어제 한국을 찾은 유럽연합(EU) 지도부도 중국과 ‘디커플링’(decoupling·탈동조화) 하자는 것이 아니라 리스크를 줄여나가겠다는 ‘디리스킹’을 이야기했다”며 “우리가 생각하는 ‘중국과 조화를 추구하며 서로 다른 점을 인정해 나간다’는 것도 전부 같은 시각에서, 중국을 어떻게 상대해 나갈 것인가 하는 고민 끝에 나온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중국과의 관계에서 오는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불필요한 마찰을 피하면서 우리의 국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현명한 외교를 펼쳐 나가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박진 “핵협의그룹, 일본 참여 협의 가능하지만 한미간 운영이 최우선”
    • 입력 2023-05-23 11:42:33
    • 수정2023-05-23 11:45:14
    정치
박진 외교부 장관은 신설되는 한미 간 확장억제협의체인 ‘핵협의그룹’(NCG)에 일본이 참여할 가능성과 관련해 “협의해 볼 수 있는 문제”라고 말했습니다.

박 장관은 오늘(23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초청 조찬 포럼에 참석해 “일본도 역시 미국과 동맹을 맺고 있고 북한의 핵과 미사일에 대해 안보적인 불안을 느끼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다만 “한미가 핵협의그룹을 충실히 구축하고 운영해 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라고 강조했습니다.

박 장관은 조 바이든 대통령 초청으로 이르면 올여름 개최가 예상되는 워싱턴 한미일 정상회담 의제와 관련해선 “북한 미사일 도발 경보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것을 어떻게 실현해나갈지 3국 국방 당국의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 3국 공유가 결국에는 미국의 미사일방어(MD) 체계 내 한국 편입을 의미하는 것 아니냐는 질의에 “MD 편입과는 전혀 다른 부분”이라며 “우리는 한국형 미사일방어(KAMD) 체계를 갖추고 있다”고 부인했습니다.

박 장관은 윤석열 정부가 미일 밀착 행보를 가속하면서 대 중국 외교는 소홀하다는 지적엔 “중국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는 물론이고 국제사회에서 책임있는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소통하고 각급에서 대화를 가짐으로써 중국과의 관계를 원만히 잘 끌고 나가야겠다고 생각한다”고 답했습니다.

그러면서 어제 한중 외교당국 간 국장급 협의가 서울에서 진행된 점을 거론하며 “4시간에 걸쳐 솔직하고 생산적인 대화가 있었다”고 소개했습니다.

박 장관은 지난해 말 취임한 친강 중국 외교부장과 대면 협의가 이뤄지고 있지 않은 것에 대해 “기회가 있는 대로 이른 시일 내 만나 이야기를 나누려고 한다”고 했습니다.

박 장관은 미중 관계가 해빙되면 미일 공조에 적극적인 한국이 어색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는 의견에 동의하지 않았습니다.

박 장관은 “어제 한국을 찾은 유럽연합(EU) 지도부도 중국과 ‘디커플링’(decoupling·탈동조화) 하자는 것이 아니라 리스크를 줄여나가겠다는 ‘디리스킹’을 이야기했다”며 “우리가 생각하는 ‘중국과 조화를 추구하며 서로 다른 점을 인정해 나간다’는 것도 전부 같은 시각에서, 중국을 어떻게 상대해 나갈 것인가 하는 고민 끝에 나온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중국과의 관계에서 오는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불필요한 마찰을 피하면서 우리의 국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현명한 외교를 펼쳐 나가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기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