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전세 52%가 ‘역전세’…한은 “주택시장 하방 압력”
입력 2023.06.04 (12:00)
수정 2023.06.04 (14: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택시장 하락세 영향으로 전세 시세가 기존 전세보증금보다 낮은 이른바 '역전세' 위험 가구가 전국 전세 주택의 절반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4일) 발표한 '6월 금융·경제 이슈분석'에 따르면 역전세 위험 가구 비중은 지난해 1월 25.9%(51.7만 호)에서 올해 4월 52.4%(102.6만 호)로 크게 높아졌습니다.
역전세 주택의 경우 기존 보증금 대비 현재 전세금이 평균 7,000만 원 정도 낮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또 기존 보증금과 현재 전세가 격차가 큰 순서로 봤을 때 상위 1%는 3억 6,000만 원이 넘는다고 한은은 분석했습니다.
지역별로는 서울(48.3%)보다 경기·인천(56.5%), 비수도권(50.9%)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은은 매매가가 전세가보다 낮은 이른바 '깡통전세' 위험 가구도 지난해 1월 2.8%(5.6만 호)에서 올해 4월 8.3%(16.3만 호)로 크게 늘었다고 덧붙였습니다.
깡통전세 주택의 경우 기존 보증금 대비 매매가가 평균 2,000만 원 정도 낮고, 보증금과 매매가 격차 상위 1%는 1억 원 이상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한은은 역전세와 깡통전세 비중이 높아진 건 최근 몇 년간 주택시장 변동성이 높았기 때문이라면서, 올해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 대부분 전세 계약 만기가 도래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역전세와 깡통전세 증가 추세는 전세보증금 미반환 리스크를 확대 시킬 뿐 아니라 주택시장, 매매가 하방 압력을 높일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오늘(4일) 발표한 '6월 금융·경제 이슈분석'에 따르면 역전세 위험 가구 비중은 지난해 1월 25.9%(51.7만 호)에서 올해 4월 52.4%(102.6만 호)로 크게 높아졌습니다.
역전세 주택의 경우 기존 보증금 대비 현재 전세금이 평균 7,000만 원 정도 낮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또 기존 보증금과 현재 전세가 격차가 큰 순서로 봤을 때 상위 1%는 3억 6,000만 원이 넘는다고 한은은 분석했습니다.
지역별로는 서울(48.3%)보다 경기·인천(56.5%), 비수도권(50.9%)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은은 매매가가 전세가보다 낮은 이른바 '깡통전세' 위험 가구도 지난해 1월 2.8%(5.6만 호)에서 올해 4월 8.3%(16.3만 호)로 크게 늘었다고 덧붙였습니다.
깡통전세 주택의 경우 기존 보증금 대비 매매가가 평균 2,000만 원 정도 낮고, 보증금과 매매가 격차 상위 1%는 1억 원 이상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한은은 역전세와 깡통전세 비중이 높아진 건 최근 몇 년간 주택시장 변동성이 높았기 때문이라면서, 올해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 대부분 전세 계약 만기가 도래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역전세와 깡통전세 증가 추세는 전세보증금 미반환 리스크를 확대 시킬 뿐 아니라 주택시장, 매매가 하방 압력을 높일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국 전세 52%가 ‘역전세’…한은 “주택시장 하방 압력”
-
- 입력 2023-06-04 12:00:47
- 수정2023-06-04 14:53:57
주택시장 하락세 영향으로 전세 시세가 기존 전세보증금보다 낮은 이른바 '역전세' 위험 가구가 전국 전세 주택의 절반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4일) 발표한 '6월 금융·경제 이슈분석'에 따르면 역전세 위험 가구 비중은 지난해 1월 25.9%(51.7만 호)에서 올해 4월 52.4%(102.6만 호)로 크게 높아졌습니다.
역전세 주택의 경우 기존 보증금 대비 현재 전세금이 평균 7,000만 원 정도 낮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또 기존 보증금과 현재 전세가 격차가 큰 순서로 봤을 때 상위 1%는 3억 6,000만 원이 넘는다고 한은은 분석했습니다.
지역별로는 서울(48.3%)보다 경기·인천(56.5%), 비수도권(50.9%)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은은 매매가가 전세가보다 낮은 이른바 '깡통전세' 위험 가구도 지난해 1월 2.8%(5.6만 호)에서 올해 4월 8.3%(16.3만 호)로 크게 늘었다고 덧붙였습니다.
깡통전세 주택의 경우 기존 보증금 대비 매매가가 평균 2,000만 원 정도 낮고, 보증금과 매매가 격차 상위 1%는 1억 원 이상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한은은 역전세와 깡통전세 비중이 높아진 건 최근 몇 년간 주택시장 변동성이 높았기 때문이라면서, 올해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 대부분 전세 계약 만기가 도래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역전세와 깡통전세 증가 추세는 전세보증금 미반환 리스크를 확대 시킬 뿐 아니라 주택시장, 매매가 하방 압력을 높일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오늘(4일) 발표한 '6월 금융·경제 이슈분석'에 따르면 역전세 위험 가구 비중은 지난해 1월 25.9%(51.7만 호)에서 올해 4월 52.4%(102.6만 호)로 크게 높아졌습니다.
역전세 주택의 경우 기존 보증금 대비 현재 전세금이 평균 7,000만 원 정도 낮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또 기존 보증금과 현재 전세가 격차가 큰 순서로 봤을 때 상위 1%는 3억 6,000만 원이 넘는다고 한은은 분석했습니다.
지역별로는 서울(48.3%)보다 경기·인천(56.5%), 비수도권(50.9%)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은은 매매가가 전세가보다 낮은 이른바 '깡통전세' 위험 가구도 지난해 1월 2.8%(5.6만 호)에서 올해 4월 8.3%(16.3만 호)로 크게 늘었다고 덧붙였습니다.
깡통전세 주택의 경우 기존 보증금 대비 매매가가 평균 2,000만 원 정도 낮고, 보증금과 매매가 격차 상위 1%는 1억 원 이상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한은은 역전세와 깡통전세 비중이 높아진 건 최근 몇 년간 주택시장 변동성이 높았기 때문이라면서, 올해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 대부분 전세 계약 만기가 도래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역전세와 깡통전세 증가 추세는 전세보증금 미반환 리스크를 확대 시킬 뿐 아니라 주택시장, 매매가 하방 압력을 높일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장혁진 기자 analogue@kbs.co.kr
장혁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