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스트레스 심한 직장인 비율 2년째 최고…한국 40%”

입력 2023.06.14 (16:15) 수정 2023.06.14 (16: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 세계 직장인들이 받는 스트레스가 2년째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고 미국 CBS 뉴스 등이 현지 시각 13일 CBS뉴스 등이 보도했습니다.

여론조사기관 갤럽의 ‘2023 세계 직장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전 세계 직장인의 44%가 ‘(전날) 많은 스트레스를 겪었다’고 답했습니다.

2018년 37%에서 꾸준히 상승하다 2021년 사상 최고치인 44%를 기록한 데 이어 지난해에도 같은 수준에 머무른 것입니다.

한국 직장인의 경우 많은 스트레스를 겪었다는 응답이 40%로 집계됐습니다. 일을 하면서 ‘화가 많이 났다’고 답한 한국 직장인은 17%였습니다.

직장인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지역은 북미(미국·캐나다) 지역과 동아시아 지역으로 전체의 52%가 스트레스를 겪고 있었습니다.

튀르키예는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는 답변이 68%로 조사 대상 가운데 가장 높았고, 일본은 42%였습니다.

우즈베키스탄과 키르기스스탄은 각각 15%만이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답해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직장 생활과 업무에 얼마나 열심히 임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직원 몰입도’(employee engagement) 조사에서는 전 세계에서 ‘몰입하고 있다’고 답한 직장인이 전체의 23%에 불과했습니다.

몰입도가 높다는 건 맡은 업무를 의미 있다고 느낄 뿐 아니라 다른 직원들과도 유대감을 형성하고 있다는 뜻으로, 직장인들의 생산성과도 직결돼 있습니다.

특히 한국 직장인은 ‘몰입하고 있다’는 응답이 12%로, 평균 17%를 기록한 동아시아 지역에서도 유독 낮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북미는 몰입도가 31%, 유럽은 13% 수준이었습니다.

반대로 일을 하고는 있으나 심리적으로는 일에 몰입하지 않는 ‘조용한 사직’(quiet quitting) 유형, 즉 ‘비몰입’ 직장인은 전 세계 직장인의 59%로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이 유형 속하는 직장인들은 맡은 업무 중 최소한만 소화하려 하고 동료들과도 심리적 거리감을 느낍니다.

직장의 요구를 충족하지 못한 채 불만을 퍼뜨리는 ‘시끄러운 사직’(Loud quitting) 유형의 ‘적극적 비몰입’ 직장인은 18%였습니다.

갤럽은 저조한 몰입도는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9%에 달하는 8조 8천 달러(약 1경 232조 원)의 비용을 발생시킨다고 분석했습니다.

직장인들의 스트레스에도 ‘직원 몰입도’가 ‘근무 장소’보다 약 3.8배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밖에 지금이 ‘사는 곳에서 일자리를 찾기 좋은 시기’인지에 묻는 항목에는 전 세계 직장인의 53%가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한국 직장인은 단 20%가 같은 답변을 내놨습니다.

전 세계 직장인의 51%는 새로운 직장이 생기기를 기다리고 있거나 적극적으로 찾아 나서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세계 스트레스 심한 직장인 비율 2년째 최고…한국 40%”
    • 입력 2023-06-14 16:15:31
    • 수정2023-06-14 16:16:48
    국제
전 세계 직장인들이 받는 스트레스가 2년째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고 미국 CBS 뉴스 등이 현지 시각 13일 CBS뉴스 등이 보도했습니다.

여론조사기관 갤럽의 ‘2023 세계 직장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전 세계 직장인의 44%가 ‘(전날) 많은 스트레스를 겪었다’고 답했습니다.

2018년 37%에서 꾸준히 상승하다 2021년 사상 최고치인 44%를 기록한 데 이어 지난해에도 같은 수준에 머무른 것입니다.

한국 직장인의 경우 많은 스트레스를 겪었다는 응답이 40%로 집계됐습니다. 일을 하면서 ‘화가 많이 났다’고 답한 한국 직장인은 17%였습니다.

직장인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지역은 북미(미국·캐나다) 지역과 동아시아 지역으로 전체의 52%가 스트레스를 겪고 있었습니다.

튀르키예는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는 답변이 68%로 조사 대상 가운데 가장 높았고, 일본은 42%였습니다.

우즈베키스탄과 키르기스스탄은 각각 15%만이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답해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직장 생활과 업무에 얼마나 열심히 임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직원 몰입도’(employee engagement) 조사에서는 전 세계에서 ‘몰입하고 있다’고 답한 직장인이 전체의 23%에 불과했습니다.

몰입도가 높다는 건 맡은 업무를 의미 있다고 느낄 뿐 아니라 다른 직원들과도 유대감을 형성하고 있다는 뜻으로, 직장인들의 생산성과도 직결돼 있습니다.

특히 한국 직장인은 ‘몰입하고 있다’는 응답이 12%로, 평균 17%를 기록한 동아시아 지역에서도 유독 낮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북미는 몰입도가 31%, 유럽은 13% 수준이었습니다.

반대로 일을 하고는 있으나 심리적으로는 일에 몰입하지 않는 ‘조용한 사직’(quiet quitting) 유형, 즉 ‘비몰입’ 직장인은 전 세계 직장인의 59%로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이 유형 속하는 직장인들은 맡은 업무 중 최소한만 소화하려 하고 동료들과도 심리적 거리감을 느낍니다.

직장의 요구를 충족하지 못한 채 불만을 퍼뜨리는 ‘시끄러운 사직’(Loud quitting) 유형의 ‘적극적 비몰입’ 직장인은 18%였습니다.

갤럽은 저조한 몰입도는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9%에 달하는 8조 8천 달러(약 1경 232조 원)의 비용을 발생시킨다고 분석했습니다.

직장인들의 스트레스에도 ‘직원 몰입도’가 ‘근무 장소’보다 약 3.8배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밖에 지금이 ‘사는 곳에서 일자리를 찾기 좋은 시기’인지에 묻는 항목에는 전 세계 직장인의 53%가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한국 직장인은 단 20%가 같은 답변을 내놨습니다.

전 세계 직장인의 51%는 새로운 직장이 생기기를 기다리고 있거나 적극적으로 찾아 나서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