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해킹 지난해보다 49% 증가…“AI 이용 해킹 주의”
입력 2023.06.20 (12:00)
수정 2023.06.20 (1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안 전문 기업 SK쉴더스는 올해 상반기 해킹 공격 비율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9.33%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SK쉴더스는 오늘(20일) ‘2023년도 상반기 보안 트렌드 분석 및 인공지능(AI) 보안 위협 전망’ 미디어 세미나를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분석 결과, 확인된 해킹 유형 중에는 기업이나 개인의 정보를 탈취하는 정보 유출이 30%로 가장 많았고, 랜섬웨어 공격 등 악성코드 감염은 28%를 차지했습니다.
다음으로는 피해자를 속여 개인정보나 금융거래 정보를 요구하거나 금전을 이체하도록 하는 피싱이나 산업 분야 등에서 상대를 속여 돈을 갈취하는 범죄인 스캠 18%, 시스템 장악 유형이 12%로 뒤를 이었습니다.
SK쉴더스는 올해 하반기 주요 보안 위협으로 확장된 소프트웨어 공급망 공격, 랜섬웨어 시장 변화, 북한발 해킹, 소프트웨어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 피싱 패턴의 다양화 등을 꼽았습니다.
또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에 악의적인 질문을 하는 방식으로 인공지능 서비스 지침 등을 우회해 목적 이외의 답변을 이끌어내는 ‘프롬프트 인젝션’이나 상대방의 목소리와 얼굴 등을 모방하는 수법의 ‘딥 페이크’ 등도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SK쉴더스는 오늘(20일) ‘2023년도 상반기 보안 트렌드 분석 및 인공지능(AI) 보안 위협 전망’ 미디어 세미나를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분석 결과, 확인된 해킹 유형 중에는 기업이나 개인의 정보를 탈취하는 정보 유출이 30%로 가장 많았고, 랜섬웨어 공격 등 악성코드 감염은 28%를 차지했습니다.
다음으로는 피해자를 속여 개인정보나 금융거래 정보를 요구하거나 금전을 이체하도록 하는 피싱이나 산업 분야 등에서 상대를 속여 돈을 갈취하는 범죄인 스캠 18%, 시스템 장악 유형이 12%로 뒤를 이었습니다.
SK쉴더스는 올해 하반기 주요 보안 위협으로 확장된 소프트웨어 공급망 공격, 랜섬웨어 시장 변화, 북한발 해킹, 소프트웨어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 피싱 패턴의 다양화 등을 꼽았습니다.
또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에 악의적인 질문을 하는 방식으로 인공지능 서비스 지침 등을 우회해 목적 이외의 답변을 이끌어내는 ‘프롬프트 인젝션’이나 상대방의 목소리와 얼굴 등을 모방하는 수법의 ‘딥 페이크’ 등도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올 상반기 해킹 지난해보다 49% 증가…“AI 이용 해킹 주의”
-
- 입력 2023-06-20 12:00:21
- 수정2023-06-20 12:04:53

보안 전문 기업 SK쉴더스는 올해 상반기 해킹 공격 비율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9.33%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SK쉴더스는 오늘(20일) ‘2023년도 상반기 보안 트렌드 분석 및 인공지능(AI) 보안 위협 전망’ 미디어 세미나를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분석 결과, 확인된 해킹 유형 중에는 기업이나 개인의 정보를 탈취하는 정보 유출이 30%로 가장 많았고, 랜섬웨어 공격 등 악성코드 감염은 28%를 차지했습니다.
다음으로는 피해자를 속여 개인정보나 금융거래 정보를 요구하거나 금전을 이체하도록 하는 피싱이나 산업 분야 등에서 상대를 속여 돈을 갈취하는 범죄인 스캠 18%, 시스템 장악 유형이 12%로 뒤를 이었습니다.
SK쉴더스는 올해 하반기 주요 보안 위협으로 확장된 소프트웨어 공급망 공격, 랜섬웨어 시장 변화, 북한발 해킹, 소프트웨어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 피싱 패턴의 다양화 등을 꼽았습니다.
또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에 악의적인 질문을 하는 방식으로 인공지능 서비스 지침 등을 우회해 목적 이외의 답변을 이끌어내는 ‘프롬프트 인젝션’이나 상대방의 목소리와 얼굴 등을 모방하는 수법의 ‘딥 페이크’ 등도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SK쉴더스는 오늘(20일) ‘2023년도 상반기 보안 트렌드 분석 및 인공지능(AI) 보안 위협 전망’ 미디어 세미나를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분석 결과, 확인된 해킹 유형 중에는 기업이나 개인의 정보를 탈취하는 정보 유출이 30%로 가장 많았고, 랜섬웨어 공격 등 악성코드 감염은 28%를 차지했습니다.
다음으로는 피해자를 속여 개인정보나 금융거래 정보를 요구하거나 금전을 이체하도록 하는 피싱이나 산업 분야 등에서 상대를 속여 돈을 갈취하는 범죄인 스캠 18%, 시스템 장악 유형이 12%로 뒤를 이었습니다.
SK쉴더스는 올해 하반기 주요 보안 위협으로 확장된 소프트웨어 공급망 공격, 랜섬웨어 시장 변화, 북한발 해킹, 소프트웨어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 피싱 패턴의 다양화 등을 꼽았습니다.
또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에 악의적인 질문을 하는 방식으로 인공지능 서비스 지침 등을 우회해 목적 이외의 답변을 이끌어내는 ‘프롬프트 인젝션’이나 상대방의 목소리와 얼굴 등을 모방하는 수법의 ‘딥 페이크’ 등도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
전현우 기자 kbsni@kbs.co.kr
전현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