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국내 첫 금성 탐사 초소형위성 띄운다

입력 2023.06.23 (15:17) 수정 2023.06.23 (15: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성 탐사용 초소형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띄우는 국내 첫 금성 탐사 프로젝트가 올해부터 시작됩니다.

이연주 기초과학연구원(IBS) 행성대기그룹 CI 연구단장은 오늘(23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한국과학기자협회 과학미디어아카데미에서 ‘금성 장기 관측 프로젝트(CLOVE)’ 계획을 공개했습니다.

연구원은 3년마다 지구 저궤도에 금성 반사도와 편광률을 관측할 탑재체를 실은 초소형위성을 띄워 10년 이상 금성을 관측할 계획입니다.

첫 위성은 2026년 궤도에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 단장은 프로젝트에 우선 30억 원을 투입하고 다음 달 중 초소형위성 제작기업을 결정해 설계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단장은 “수천억 원 이상 투입되는 외국의 금성 탐사선 임무와 달리 저예산으로 진행된다”며 “탐사선 임무 사이 발생하는 기간 공백을 메울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단장은 국내 유일한 금성 연구자로 지난해 IBS에 합류했습니다. 그는 유럽우주국(ESA) 비너스 익스프레스,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아카츠키, ESA와 JAXA가 공동 개발한 벱피콜롬보 등 다양한 금성 탐사선 프로젝트에도 참여했습니다.

그는 금성을 탐사하는 이유로 지구와 같은 암석형 행성에 크기, 질량, 중력, 태양과 거리 등이 모두 비슷해 초기엔 물의 양도 비슷했을 것으로 전망되지만, 지금은 대기에 이산화탄소가 가득 들어차고 황산 구름이 존재하는 등 너무 다른 환경인 점을 들었습니다.

생명체가 있을 수 있다는 기대로 1970년대 옛소련과 미국이 적극적으로 금성 탐사에 나서면서 어느 정도 정보가 쌓였지만, 여전히 미지로 남아있는 부분이 많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최근 금성 연구의 화두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양과 자외선을 흡수하는 미지의 물질인 ‘미확인 흡수체’의 양, 대기 바람의 속도 변화가 시간에 따라 급격히 일어나는 원인을 알아내는 것을 꼽았습니다.

이 단장은 “화산 폭발 등 다양한 원인이 제기되는데 이런 의문을 해소하면 금성 대기를 모형화하는 연구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금성 탐사 연구를 통해 장기적으로는 지구와 비슷한 외계행성을 찾아내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이 단장은 설명했습니다.

최근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2021년 금성 탐사를 30년 만에 재개하고, 유럽과 러시아, 인도, 중국 등도 최근 새로운 금성 탐사계획을 공개하는 것도 이런 맥락과 맞닿아 있다는 설명입니다.

이 단장은 “최근 외계행성 관측 능력이 발전하며 더 많은 수의 암석형 외계행성을 찾게 될 것”이라며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해비터블 존’에 존재하는 행성이 금성과 비슷한지, 지구와 비슷한지를 구별하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026년 국내 첫 금성 탐사 초소형위성 띄운다
    • 입력 2023-06-23 15:17:05
    • 수정2023-06-23 15:18:13
    IT·과학
금성 탐사용 초소형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띄우는 국내 첫 금성 탐사 프로젝트가 올해부터 시작됩니다.

이연주 기초과학연구원(IBS) 행성대기그룹 CI 연구단장은 오늘(23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한국과학기자협회 과학미디어아카데미에서 ‘금성 장기 관측 프로젝트(CLOVE)’ 계획을 공개했습니다.

연구원은 3년마다 지구 저궤도에 금성 반사도와 편광률을 관측할 탑재체를 실은 초소형위성을 띄워 10년 이상 금성을 관측할 계획입니다.

첫 위성은 2026년 궤도에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 단장은 프로젝트에 우선 30억 원을 투입하고 다음 달 중 초소형위성 제작기업을 결정해 설계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단장은 “수천억 원 이상 투입되는 외국의 금성 탐사선 임무와 달리 저예산으로 진행된다”며 “탐사선 임무 사이 발생하는 기간 공백을 메울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단장은 국내 유일한 금성 연구자로 지난해 IBS에 합류했습니다. 그는 유럽우주국(ESA) 비너스 익스프레스,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아카츠키, ESA와 JAXA가 공동 개발한 벱피콜롬보 등 다양한 금성 탐사선 프로젝트에도 참여했습니다.

그는 금성을 탐사하는 이유로 지구와 같은 암석형 행성에 크기, 질량, 중력, 태양과 거리 등이 모두 비슷해 초기엔 물의 양도 비슷했을 것으로 전망되지만, 지금은 대기에 이산화탄소가 가득 들어차고 황산 구름이 존재하는 등 너무 다른 환경인 점을 들었습니다.

생명체가 있을 수 있다는 기대로 1970년대 옛소련과 미국이 적극적으로 금성 탐사에 나서면서 어느 정도 정보가 쌓였지만, 여전히 미지로 남아있는 부분이 많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최근 금성 연구의 화두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양과 자외선을 흡수하는 미지의 물질인 ‘미확인 흡수체’의 양, 대기 바람의 속도 변화가 시간에 따라 급격히 일어나는 원인을 알아내는 것을 꼽았습니다.

이 단장은 “화산 폭발 등 다양한 원인이 제기되는데 이런 의문을 해소하면 금성 대기를 모형화하는 연구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금성 탐사 연구를 통해 장기적으로는 지구와 비슷한 외계행성을 찾아내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이 단장은 설명했습니다.

최근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2021년 금성 탐사를 30년 만에 재개하고, 유럽과 러시아, 인도, 중국 등도 최근 새로운 금성 탐사계획을 공개하는 것도 이런 맥락과 맞닿아 있다는 설명입니다.

이 단장은 “최근 외계행성 관측 능력이 발전하며 더 많은 수의 암석형 외계행성을 찾게 될 것”이라며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해비터블 존’에 존재하는 행성이 금성과 비슷한지, 지구와 비슷한지를 구별하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