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동·홍대 상점 70% 문열고 냉방…‘냉방비 폭탄’ 우려에 에너지 절약 유도
입력 2023.06.27 (13:26)
수정 2023.06.27 (13: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발·화장품·의류 가게가 많은 서울 명동과 홍대 상권 가게의 70% 가까이가 문을 연 채 에어컨을 틀고 영업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여름철 상점들이 문을 연 채 에어컨을 틀고 영업하면 전기요금이 30% 이상 오르는 ‘냉방비 폭탄’을 맞을 수 있다면서 상점들의 자발적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기로 했습니다.
산업부는 오늘(27일) 김포 현대프리미엄아울렛에서 ‘여름철 유통 매장 에너지 절약 자율 실천 간담회’를 열고 한국에너지공단이 최근 진행한 전국 주요 상권 개문냉방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지난 20∼21일 서울 명동·홍대, 부산 롯데백화점·동래역, 대구 동성로·계명대 등 전국 13개 도시 26개 상권 상점 5,298개를 대상으로 진행한 실태 조사에서 12%가 문을 연 채 에어컨을 틀고 영업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업종별로는 신발 가게가 47%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화장품(36%), 의류(28%), 휴대전화(19%) 등 순이었습니다. 반면 음식점·카페·편의점은 개문냉방 비율이 10% 이하로 업종별 편차가 컸습니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개문냉방 비율이 69%로 가장 높았습니다. 충북(38%), 대구(26%), 대전(17%), 경기(16%)도 상대적으로 개문냉방 비율이 높았습니다.
지난 22일 전국 4개 프리미엄 아웃렛을 대상으로 진행된 별도 조사에서는 입점 681개 사업장 중 29%가 개문냉방을 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반 상권과 비슷하게 프리미엄아울렛에서도 신발(55%), 식품(33%), 의류(32%) 순으로 개문냉방 영업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에너지공단이 에너지 소비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 문을 연 채 에어컨을 틀고 영업하면 전기요금은 약 3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3㎡ 넓이 매장의 여름철 월평균 전기요금이 81만 3천 원(4,466kWh 사용)이었을 때 문을 열고 에어컨을 틀면 전기요금이 108만 원(6,088kWh)으로 33% 더 나옵니다.
산업부는 프랜차이즈산업협회, 패션산업협회, 편의점산업협회 등 유통 산업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번 간담회에서 여름철을 맞아 업계의 자율적인 에너지 절약 참여를 요청했습니다.
강경성 2차관은 “개문냉방 때 전기요금이 크게 늘어날 수 있어 대형 유통 매장 입점 업체부터 문 닫고 냉방 하기 등 에너지 절약에 솔선수범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산업통상자원부는 여름철 상점들이 문을 연 채 에어컨을 틀고 영업하면 전기요금이 30% 이상 오르는 ‘냉방비 폭탄’을 맞을 수 있다면서 상점들의 자발적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기로 했습니다.
산업부는 오늘(27일) 김포 현대프리미엄아울렛에서 ‘여름철 유통 매장 에너지 절약 자율 실천 간담회’를 열고 한국에너지공단이 최근 진행한 전국 주요 상권 개문냉방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지난 20∼21일 서울 명동·홍대, 부산 롯데백화점·동래역, 대구 동성로·계명대 등 전국 13개 도시 26개 상권 상점 5,298개를 대상으로 진행한 실태 조사에서 12%가 문을 연 채 에어컨을 틀고 영업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업종별로는 신발 가게가 47%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화장품(36%), 의류(28%), 휴대전화(19%) 등 순이었습니다. 반면 음식점·카페·편의점은 개문냉방 비율이 10% 이하로 업종별 편차가 컸습니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개문냉방 비율이 69%로 가장 높았습니다. 충북(38%), 대구(26%), 대전(17%), 경기(16%)도 상대적으로 개문냉방 비율이 높았습니다.
지난 22일 전국 4개 프리미엄 아웃렛을 대상으로 진행된 별도 조사에서는 입점 681개 사업장 중 29%가 개문냉방을 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반 상권과 비슷하게 프리미엄아울렛에서도 신발(55%), 식품(33%), 의류(32%) 순으로 개문냉방 영업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에너지공단이 에너지 소비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 문을 연 채 에어컨을 틀고 영업하면 전기요금은 약 3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3㎡ 넓이 매장의 여름철 월평균 전기요금이 81만 3천 원(4,466kWh 사용)이었을 때 문을 열고 에어컨을 틀면 전기요금이 108만 원(6,088kWh)으로 33% 더 나옵니다.
산업부는 프랜차이즈산업협회, 패션산업협회, 편의점산업협회 등 유통 산업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번 간담회에서 여름철을 맞아 업계의 자율적인 에너지 절약 참여를 요청했습니다.
강경성 2차관은 “개문냉방 때 전기요금이 크게 늘어날 수 있어 대형 유통 매장 입점 업체부터 문 닫고 냉방 하기 등 에너지 절약에 솔선수범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명동·홍대 상점 70% 문열고 냉방…‘냉방비 폭탄’ 우려에 에너지 절약 유도
-
- 입력 2023-06-27 13:26:20
- 수정2023-06-27 13:27:48

신발·화장품·의류 가게가 많은 서울 명동과 홍대 상권 가게의 70% 가까이가 문을 연 채 에어컨을 틀고 영업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여름철 상점들이 문을 연 채 에어컨을 틀고 영업하면 전기요금이 30% 이상 오르는 ‘냉방비 폭탄’을 맞을 수 있다면서 상점들의 자발적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기로 했습니다.
산업부는 오늘(27일) 김포 현대프리미엄아울렛에서 ‘여름철 유통 매장 에너지 절약 자율 실천 간담회’를 열고 한국에너지공단이 최근 진행한 전국 주요 상권 개문냉방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지난 20∼21일 서울 명동·홍대, 부산 롯데백화점·동래역, 대구 동성로·계명대 등 전국 13개 도시 26개 상권 상점 5,298개를 대상으로 진행한 실태 조사에서 12%가 문을 연 채 에어컨을 틀고 영업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업종별로는 신발 가게가 47%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화장품(36%), 의류(28%), 휴대전화(19%) 등 순이었습니다. 반면 음식점·카페·편의점은 개문냉방 비율이 10% 이하로 업종별 편차가 컸습니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개문냉방 비율이 69%로 가장 높았습니다. 충북(38%), 대구(26%), 대전(17%), 경기(16%)도 상대적으로 개문냉방 비율이 높았습니다.
지난 22일 전국 4개 프리미엄 아웃렛을 대상으로 진행된 별도 조사에서는 입점 681개 사업장 중 29%가 개문냉방을 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반 상권과 비슷하게 프리미엄아울렛에서도 신발(55%), 식품(33%), 의류(32%) 순으로 개문냉방 영업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에너지공단이 에너지 소비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 문을 연 채 에어컨을 틀고 영업하면 전기요금은 약 3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3㎡ 넓이 매장의 여름철 월평균 전기요금이 81만 3천 원(4,466kWh 사용)이었을 때 문을 열고 에어컨을 틀면 전기요금이 108만 원(6,088kWh)으로 33% 더 나옵니다.
산업부는 프랜차이즈산업협회, 패션산업협회, 편의점산업협회 등 유통 산업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번 간담회에서 여름철을 맞아 업계의 자율적인 에너지 절약 참여를 요청했습니다.
강경성 2차관은 “개문냉방 때 전기요금이 크게 늘어날 수 있어 대형 유통 매장 입점 업체부터 문 닫고 냉방 하기 등 에너지 절약에 솔선수범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산업통상자원부는 여름철 상점들이 문을 연 채 에어컨을 틀고 영업하면 전기요금이 30% 이상 오르는 ‘냉방비 폭탄’을 맞을 수 있다면서 상점들의 자발적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기로 했습니다.
산업부는 오늘(27일) 김포 현대프리미엄아울렛에서 ‘여름철 유통 매장 에너지 절약 자율 실천 간담회’를 열고 한국에너지공단이 최근 진행한 전국 주요 상권 개문냉방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지난 20∼21일 서울 명동·홍대, 부산 롯데백화점·동래역, 대구 동성로·계명대 등 전국 13개 도시 26개 상권 상점 5,298개를 대상으로 진행한 실태 조사에서 12%가 문을 연 채 에어컨을 틀고 영업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업종별로는 신발 가게가 47%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화장품(36%), 의류(28%), 휴대전화(19%) 등 순이었습니다. 반면 음식점·카페·편의점은 개문냉방 비율이 10% 이하로 업종별 편차가 컸습니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개문냉방 비율이 69%로 가장 높았습니다. 충북(38%), 대구(26%), 대전(17%), 경기(16%)도 상대적으로 개문냉방 비율이 높았습니다.
지난 22일 전국 4개 프리미엄 아웃렛을 대상으로 진행된 별도 조사에서는 입점 681개 사업장 중 29%가 개문냉방을 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반 상권과 비슷하게 프리미엄아울렛에서도 신발(55%), 식품(33%), 의류(32%) 순으로 개문냉방 영업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에너지공단이 에너지 소비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 문을 연 채 에어컨을 틀고 영업하면 전기요금은 약 3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3㎡ 넓이 매장의 여름철 월평균 전기요금이 81만 3천 원(4,466kWh 사용)이었을 때 문을 열고 에어컨을 틀면 전기요금이 108만 원(6,088kWh)으로 33% 더 나옵니다.
산업부는 프랜차이즈산업협회, 패션산업협회, 편의점산업협회 등 유통 산업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번 간담회에서 여름철을 맞아 업계의 자율적인 에너지 절약 참여를 요청했습니다.
강경성 2차관은 “개문냉방 때 전기요금이 크게 늘어날 수 있어 대형 유통 매장 입점 업체부터 문 닫고 냉방 하기 등 에너지 절약에 솔선수범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조정인 기자 rower@kbs.co.kr
조정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