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 방사능 감시기’ 잦은 고장…올해도 13일 만에 복구

입력 2023.07.02 (12:04) 수정 2023.07.02 (12: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가 임박하면서 여러 논란이 이어지고 있지만, 우리 해역에서 기준치가 넘는 방사성 물질이 감지될 경우 즉각 대처하자는 데는 이견이 없을 겁니다.

그런데 바닷물 속 방사성 물질을 감시하는 기계가 종종 고장 나는 것으로 확인돼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해 보입니다.

김영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수심 5 미터 이내 바닷물 속에 설치된 해수 방사능 감시기입니다.

센서가 방사성 물질을 측정한 뒤 원자력안전위원회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2018년부터 전국 21곳 해역에서 이런 감시망이 운영돼 왔습니다.

[원자력안전위원회 홍보영상 : "해양 방사능 감시 활동이 매우 중요해진 상황입니다."]

정부 측은 최근 방사성 물질 감시 체계가 잘 갖춰져 있다며 안심하라고 했습니다.

[허균영/범부처 TF 기술검토위원장/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 : "수십 년간 방사성 물질들은 모니터링되고 건강상에 문제가 없는지 지속적으로 확인돼 왔습니다."]

문제는 기계가 바다에 설치돼 있다 보니, 종종 고장이 난다는 점입니다.

21곳의 해역에 설치된 해수 방사능 감시기는 최근 5년 동안 41차례 고장이 났습니다.

고장을 이유로 감시하지 못한 날을 다 더해 보니, 389일이나 됐습니다.

감시기 고장 원인은 시스템 장애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전원 장애와 통신 장애였습니다.

고장이 가장 잦았던 건 원전이 있는 부산 기장군 고리 근처의 감시기로, 올해도 전력 공급이 끊겨 13일 동안 물속 방사성 물질을 측정하지 못했습니다.

[양기대/국회 기획재정위원/더불어민주당 : "해수 방사능 감시체계의 실효성을 다시 점검하고, 중첩감시·예비 감시 확보 등 추가적인 대책을 강력히 강구해야 합니다."]

원안위는 감시기를 고치려면 배를 타고 나가야 하는데, 해상 상황에 따라 시간이 오래 걸릴 때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향후 복구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원자력 안전기술원과 대응 절차를 점검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영은입니다.

촬영기자:고영민/영상편집:김유진/그래픽:김지혜 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해수 방사능 감시기’ 잦은 고장…올해도 13일 만에 복구
    • 입력 2023-07-02 12:04:35
    • 수정2023-07-02 12:12:44
    뉴스 12
[앵커]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가 임박하면서 여러 논란이 이어지고 있지만, 우리 해역에서 기준치가 넘는 방사성 물질이 감지될 경우 즉각 대처하자는 데는 이견이 없을 겁니다.

그런데 바닷물 속 방사성 물질을 감시하는 기계가 종종 고장 나는 것으로 확인돼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해 보입니다.

김영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수심 5 미터 이내 바닷물 속에 설치된 해수 방사능 감시기입니다.

센서가 방사성 물질을 측정한 뒤 원자력안전위원회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2018년부터 전국 21곳 해역에서 이런 감시망이 운영돼 왔습니다.

[원자력안전위원회 홍보영상 : "해양 방사능 감시 활동이 매우 중요해진 상황입니다."]

정부 측은 최근 방사성 물질 감시 체계가 잘 갖춰져 있다며 안심하라고 했습니다.

[허균영/범부처 TF 기술검토위원장/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 : "수십 년간 방사성 물질들은 모니터링되고 건강상에 문제가 없는지 지속적으로 확인돼 왔습니다."]

문제는 기계가 바다에 설치돼 있다 보니, 종종 고장이 난다는 점입니다.

21곳의 해역에 설치된 해수 방사능 감시기는 최근 5년 동안 41차례 고장이 났습니다.

고장을 이유로 감시하지 못한 날을 다 더해 보니, 389일이나 됐습니다.

감시기 고장 원인은 시스템 장애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전원 장애와 통신 장애였습니다.

고장이 가장 잦았던 건 원전이 있는 부산 기장군 고리 근처의 감시기로, 올해도 전력 공급이 끊겨 13일 동안 물속 방사성 물질을 측정하지 못했습니다.

[양기대/국회 기획재정위원/더불어민주당 : "해수 방사능 감시체계의 실효성을 다시 점검하고, 중첩감시·예비 감시 확보 등 추가적인 대책을 강력히 강구해야 합니다."]

원안위는 감시기를 고치려면 배를 타고 나가야 하는데, 해상 상황에 따라 시간이 오래 걸릴 때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향후 복구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원자력 안전기술원과 대응 절차를 점검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영은입니다.

촬영기자:고영민/영상편집:김유진/그래픽:김지혜 박미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