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용 분야 무궁무진…‘그린 수소’ 확보가 관건

입력 2023.07.03 (06:31) 수정 2023.07.03 (07: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수소 활용이 가능한 분야는 한층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인 탄소배출 규제 움직임 속에 청정 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커지면서, 수소 확보가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장덕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발전소에서 사용하는 80 메가와트급 중형 가스 터빈입니다.

LNG와 함께 수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개조됐습니다.

수소는 연소하면 물이 되기 때문에 오염물질 배출 걱정이 없습니다.

발전 연료에서 수소와 LNG를 6대 4 비율로 활용할 경우, LNG만 쓸 때보다 이산화탄소는 22%, 질소산화물은 66%가량 배출량이 줄어듭니다.

[손영창/한화파워시스템 대표 : "지금 60%의 수소 혼소율을 100%, 즉 수소 만을 연료로 활용하는 가스 터빈까지 여기서 실증을 한 이후 상업화를 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봐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수소 활용 분야는 교통과 운송은 물론, 에너지 발전, 철강, 화학 등으로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국제에너지기구에 따르면 2020년 9천만 톤이던 수소 수요는 2050년 5억 톤 이상으로 크게 늘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직까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해 물을 전기분해하는 방식으로 수소를 생산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재생에너지로 만든 청정 수소, '그린 수소'로 진화할 전망입니다.

[김창희/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에너지공학부 교수 : "아직은 도달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린 수소) 기술도 개발하고 있는 단계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상용화된 '그레이 수소'를 활용할 수밖에 없는 거거든요. '그린 수소'가 완전히 만들어질 때까지 기다릴 수는 없거든요."]

특히 10월부턴 유럽에 이른바 '탄소국경세'가 도입되는 만큼, 청정 수소 에너지 확보가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최근 포스코홀딩스가 태양광과 바람이 풍부한 중동 국가 오만에서 연간 22만 톤의 수소 생산권을 따내는 등 우리 기업들은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는 국내에서 그린 수소를 만들어내기 위한 기술 개발 노력이 필요한 상황.

생산한 수소를 들여오는 운반선 역시 신산업으로 주목 받으면서 우리 조선업에 또다른 기회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장덕수입니다.

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활용 분야 무궁무진…‘그린 수소’ 확보가 관건
    • 입력 2023-07-03 06:31:54
    • 수정2023-07-03 07:52:33
    뉴스광장 1부
[앵커]

수소 활용이 가능한 분야는 한층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인 탄소배출 규제 움직임 속에 청정 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커지면서, 수소 확보가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장덕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발전소에서 사용하는 80 메가와트급 중형 가스 터빈입니다.

LNG와 함께 수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개조됐습니다.

수소는 연소하면 물이 되기 때문에 오염물질 배출 걱정이 없습니다.

발전 연료에서 수소와 LNG를 6대 4 비율로 활용할 경우, LNG만 쓸 때보다 이산화탄소는 22%, 질소산화물은 66%가량 배출량이 줄어듭니다.

[손영창/한화파워시스템 대표 : "지금 60%의 수소 혼소율을 100%, 즉 수소 만을 연료로 활용하는 가스 터빈까지 여기서 실증을 한 이후 상업화를 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봐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수소 활용 분야는 교통과 운송은 물론, 에너지 발전, 철강, 화학 등으로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국제에너지기구에 따르면 2020년 9천만 톤이던 수소 수요는 2050년 5억 톤 이상으로 크게 늘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직까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해 물을 전기분해하는 방식으로 수소를 생산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재생에너지로 만든 청정 수소, '그린 수소'로 진화할 전망입니다.

[김창희/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에너지공학부 교수 : "아직은 도달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린 수소) 기술도 개발하고 있는 단계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상용화된 '그레이 수소'를 활용할 수밖에 없는 거거든요. '그린 수소'가 완전히 만들어질 때까지 기다릴 수는 없거든요."]

특히 10월부턴 유럽에 이른바 '탄소국경세'가 도입되는 만큼, 청정 수소 에너지 확보가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최근 포스코홀딩스가 태양광과 바람이 풍부한 중동 국가 오만에서 연간 22만 톤의 수소 생산권을 따내는 등 우리 기업들은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는 국내에서 그린 수소를 만들어내기 위한 기술 개발 노력이 필요한 상황.

생산한 수소를 들여오는 운반선 역시 신산업으로 주목 받으면서 우리 조선업에 또다른 기회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장덕수입니다.

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박미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패럴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