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장 쌈짓돈·구멍 숭숭 관리’…검찰 특수활동비 열어보니

입력 2023.07.06 (19:35) 수정 2023.07.06 (20: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깜깜이 예산, 쌈짓돈으로 불리는 검찰 특수활동비가 지난 달 처음으로 일부 공개됐죠.

세부 내역을 분석해보니 현찰로 쓴 게 태반인 데다 영수증 한 장에 1억 5천만 원을 쓰는 등 불투명한 자금 집행이 확인됐습니다.

자료를 공개한 시민단체와 뉴스타파는 회계 부정 의혹도 제기했습니다.

강병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번에 공개된 자료는 2017년 5월부터 2019년 9월까지, 29개월 간 검찰 특수활동비 집행 내역과 영수증 6천8백 장입니다.

이 기간 검찰총장은 김수남, 문무일, 윤석열.

전체 특활비 금액은 292억여 원입니다.

이 가운데 54%인 156억 원은 이른바 '정기 지급분'.

80억여 원은 매달 전국 검찰청들에 이체됐는데 45억여 원은 이름이 공개되지 않은 15명가량에게 매달 현금으로 지급됐습니다.

특정 직위 간부들에게 월급처럼 준 걸로 추정됩니다.

[하승수/세금도둑잡아라 공동 대표 : "특정한 사건 수사에 필요해서 받아가는 그런 형태로 볼 수가 없기 때문에 이건 특수활동비 용도에 걸맞는 지출인지 굉장히 의문이고..."]

기밀이 필요한 수사 지원비라며 특활비 내역 공개를 거부해왔는데 수사 목적으로 볼 수가 없단 겁니다.

나머지 특활비 136억 원은 '수시 사용분'으로 이른바 검찰총장 '쌈짓돈'입니다.

이 돈을 쓸 때는 한 번에 많게는 1억 5천만 원을 영수증 한 장에 지출하기도 했습니다.

일부 금액은 별도 계좌로 옮겨서 총장 비서실이 관리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도 검찰총장 시절, 2개월 동안 이런 식으로 8억여 원을 집행한 걸로 파악됐습니다.

검찰 특수활동비는 그동안 한 번도 공개되거나 검증을 받아본 적 없고, 현금 지출이 많다보니 불투명한 회계 처리도 포착됐습니다.

문무일 검찰총장 시절에는 2억 원 가까운 총장 몫 특활비가 아무런 증빙자료 없이 지출된 걸로 파악됐습니다.

특히 2017년엔 연말을 앞두고 일선 검찰청들에 4억여 원을 나눠줬는데, 마치 '13월의 보너스'처럼 남는 돈을 뿌린 걸로 보인다고 시민단체 측은 분석했습니다.

[임선응/뉴스타파 기자 : "회계가 얼마나 부실하게 관리 됐는지, 문무일 총장의 경우 23개월치 장부 중에 합계액이 일치하는 경우가 3개월 밖에 없다..."]

시민단체와 뉴스타파는 검찰이 일부 자료는 폐기됐다면서 공개하지 않았다며 특활비 사용 지침을 공개하라고 거듭 촉구했습니다.

KBS 뉴스 강병수입니다.

촬영기자:조세준/영상편집:최정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총장 쌈짓돈·구멍 숭숭 관리’…검찰 특수활동비 열어보니
    • 입력 2023-07-06 19:35:20
    • 수정2023-07-06 20:18:31
    뉴스 7
[앵커]

깜깜이 예산, 쌈짓돈으로 불리는 검찰 특수활동비가 지난 달 처음으로 일부 공개됐죠.

세부 내역을 분석해보니 현찰로 쓴 게 태반인 데다 영수증 한 장에 1억 5천만 원을 쓰는 등 불투명한 자금 집행이 확인됐습니다.

자료를 공개한 시민단체와 뉴스타파는 회계 부정 의혹도 제기했습니다.

강병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번에 공개된 자료는 2017년 5월부터 2019년 9월까지, 29개월 간 검찰 특수활동비 집행 내역과 영수증 6천8백 장입니다.

이 기간 검찰총장은 김수남, 문무일, 윤석열.

전체 특활비 금액은 292억여 원입니다.

이 가운데 54%인 156억 원은 이른바 '정기 지급분'.

80억여 원은 매달 전국 검찰청들에 이체됐는데 45억여 원은 이름이 공개되지 않은 15명가량에게 매달 현금으로 지급됐습니다.

특정 직위 간부들에게 월급처럼 준 걸로 추정됩니다.

[하승수/세금도둑잡아라 공동 대표 : "특정한 사건 수사에 필요해서 받아가는 그런 형태로 볼 수가 없기 때문에 이건 특수활동비 용도에 걸맞는 지출인지 굉장히 의문이고..."]

기밀이 필요한 수사 지원비라며 특활비 내역 공개를 거부해왔는데 수사 목적으로 볼 수가 없단 겁니다.

나머지 특활비 136억 원은 '수시 사용분'으로 이른바 검찰총장 '쌈짓돈'입니다.

이 돈을 쓸 때는 한 번에 많게는 1억 5천만 원을 영수증 한 장에 지출하기도 했습니다.

일부 금액은 별도 계좌로 옮겨서 총장 비서실이 관리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도 검찰총장 시절, 2개월 동안 이런 식으로 8억여 원을 집행한 걸로 파악됐습니다.

검찰 특수활동비는 그동안 한 번도 공개되거나 검증을 받아본 적 없고, 현금 지출이 많다보니 불투명한 회계 처리도 포착됐습니다.

문무일 검찰총장 시절에는 2억 원 가까운 총장 몫 특활비가 아무런 증빙자료 없이 지출된 걸로 파악됐습니다.

특히 2017년엔 연말을 앞두고 일선 검찰청들에 4억여 원을 나눠줬는데, 마치 '13월의 보너스'처럼 남는 돈을 뿌린 걸로 보인다고 시민단체 측은 분석했습니다.

[임선응/뉴스타파 기자 : "회계가 얼마나 부실하게 관리 됐는지, 문무일 총장의 경우 23개월치 장부 중에 합계액이 일치하는 경우가 3개월 밖에 없다..."]

시민단체와 뉴스타파는 검찰이 일부 자료는 폐기됐다면서 공개하지 않았다며 특활비 사용 지침을 공개하라고 거듭 촉구했습니다.

KBS 뉴스 강병수입니다.

촬영기자:조세준/영상편집:최정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