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이주노동자 집단 폭행한 10대들…외면 당한 구조 요청

입력 2023.07.07 (19:18) 수정 2023.07.07 (21: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경기도 포천시에서 10대 청소년 네 명이 이주 노동자를 집단 폭행한 일이 발생했습니다.

경찰 출동 뒤에야 폭행은 멈췄는데, 이주 노동자는 막무가내 폭행을 당하고도 오히려 쫓겨날 위기에 처하게 됐습니다.

KBS가 당시 상황이 담긴 CCTV 단독 입수하고 사고 당시 함께 있던 이주 노동자의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신현욱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달리던 오토바이에 따라 붙은 또 다른 오토바이가 마치 경찰이나 된 듯 멈추라 손짓합니다.

한 대가 더 따라붙더니 앞선 운전자를 길가로 몰아 세웁니다.

가해자들은 도망치는 피해자를 걷어차는가 하면, 질질 끌고다니는 등 막무가내 폭행을 계속합니다.

피해자는 이주 노동자 A 씨.

가해자들은 10대 청소년 네 명이었습니다.

오토바이에 번호판이 없는 걸 본 청소년들은 이주 노동자를 멈춰 세우고 협박을 시작했습니다.

지갑을 내놓으라 요구하더니, 한국말을 잘 못 하자 "불법체류자 아니냐, 신고하겠다"고 겁박한 겁니다.

[B 씨/당시 오토바이 동승자 : "청소년들이 지갑이 있냐고 물어봤어요. 그리고 지갑이 없으면 경찰에 신고한다고 그랬어요."]

겨우 도망친 B 씨와 달리 붙잡힌 A 씨는 막무가내 폭행의 피해자가 됐습니다.

민가로 도망치려 했지만 집주인은 문을 열어주지 않았고 지나는 차에 손을 뻗어도 1시간여 동안 도와준 운전자가 없었습니다.

[B 씨 : "한국어를 못하기도 하고, 본국에 돌아갈까 봐 무서워서 신고도 못 했어요."]

이후 경찰이 오고 나서야 폭행은 멈췄지만, 더 큰 걱정이 생겼습니다.

가해 청소년들이 조사 뒤 귀가 조치된 것과 달리, 경찰이 '미등록 외국인'이라며 A 씨를 출입국관리소로 인계해 구금 신세가 된 겁니다.

[최정규/피해자 측 변호사 : "강도 상해나 이런 중범죄 피해자의 경우에는 통보 의무가 면제되어 있는데, 출입국에 바로 인계를 한 부분도 적절치 않았다."]

급한 대로 외국인 범죄 피해자의 단기 체류 허용 비자를 추가 신청했지만, 발급 여부는 불확실한 상태.

[최정규/피해자 측 변호사 : "범죄 피해자는 구금되어 있고 가해자들은 결국 집으로 돌아간 상황인데 이게 과연 상식에 맞는지..."]

비자가 발급되지 않을 경우 A 씨는 강제 출국 대상이 됩니다.

KBS 뉴스 신현욱입니다.

촬영기자:송혜성/영상편집:전유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독] 이주노동자 집단 폭행한 10대들…외면 당한 구조 요청
    • 입력 2023-07-07 19:18:47
    • 수정2023-07-07 21:44:18
    뉴스 7
[앵커]

경기도 포천시에서 10대 청소년 네 명이 이주 노동자를 집단 폭행한 일이 발생했습니다.

경찰 출동 뒤에야 폭행은 멈췄는데, 이주 노동자는 막무가내 폭행을 당하고도 오히려 쫓겨날 위기에 처하게 됐습니다.

KBS가 당시 상황이 담긴 CCTV 단독 입수하고 사고 당시 함께 있던 이주 노동자의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신현욱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달리던 오토바이에 따라 붙은 또 다른 오토바이가 마치 경찰이나 된 듯 멈추라 손짓합니다.

한 대가 더 따라붙더니 앞선 운전자를 길가로 몰아 세웁니다.

가해자들은 도망치는 피해자를 걷어차는가 하면, 질질 끌고다니는 등 막무가내 폭행을 계속합니다.

피해자는 이주 노동자 A 씨.

가해자들은 10대 청소년 네 명이었습니다.

오토바이에 번호판이 없는 걸 본 청소년들은 이주 노동자를 멈춰 세우고 협박을 시작했습니다.

지갑을 내놓으라 요구하더니, 한국말을 잘 못 하자 "불법체류자 아니냐, 신고하겠다"고 겁박한 겁니다.

[B 씨/당시 오토바이 동승자 : "청소년들이 지갑이 있냐고 물어봤어요. 그리고 지갑이 없으면 경찰에 신고한다고 그랬어요."]

겨우 도망친 B 씨와 달리 붙잡힌 A 씨는 막무가내 폭행의 피해자가 됐습니다.

민가로 도망치려 했지만 집주인은 문을 열어주지 않았고 지나는 차에 손을 뻗어도 1시간여 동안 도와준 운전자가 없었습니다.

[B 씨 : "한국어를 못하기도 하고, 본국에 돌아갈까 봐 무서워서 신고도 못 했어요."]

이후 경찰이 오고 나서야 폭행은 멈췄지만, 더 큰 걱정이 생겼습니다.

가해 청소년들이 조사 뒤 귀가 조치된 것과 달리, 경찰이 '미등록 외국인'이라며 A 씨를 출입국관리소로 인계해 구금 신세가 된 겁니다.

[최정규/피해자 측 변호사 : "강도 상해나 이런 중범죄 피해자의 경우에는 통보 의무가 면제되어 있는데, 출입국에 바로 인계를 한 부분도 적절치 않았다."]

급한 대로 외국인 범죄 피해자의 단기 체류 허용 비자를 추가 신청했지만, 발급 여부는 불확실한 상태.

[최정규/피해자 측 변호사 : "범죄 피해자는 구금되어 있고 가해자들은 결국 집으로 돌아간 상황인데 이게 과연 상식에 맞는지..."]

비자가 발급되지 않을 경우 A 씨는 강제 출국 대상이 됩니다.

KBS 뉴스 신현욱입니다.

촬영기자:송혜성/영상편집:전유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