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푸드 인기에 젓갈 수출 활짝…“세계인 입맛 공략”

입력 2023.07.12 (21:43) 수정 2023.07.12 (21: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논산의 강경 젓갈이 동남아시아 수출길에 올랐습니다.

과일이나 채소류는 해외나 국내나 맛의 차이가 없어 수출이 자연스럽지만, 젓갈은 좀 다른 경우인데요.

K-푸드의 인기에 힘입어 젓갈까지 수출대열에 합류했습니다.

서영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논산 강경 젓갈이 태국으로 수출되는 컨테이너 차량에 실리고 있습니다.

1차 10톤을 시작으로 연말까지 10~20톤이 추가로 수출될 예정인데, 논산 젓갈의 해외 공식 수출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현지 입맛에 맞추지 않고 국내 젓갈 그대로 수출합니다.

[송요한/수출업체 이사 : "정말 한국 고유의 맛을 원하고 있어서 저희가 테스트도 해보고 샘플로도 주고 했는데, 그쪽에서도 다 허락을 했고…."]

염장 발효식품인 젓갈이 해외 수출길에 오른 것은 K-푸드의 인기 덕입니다.

어패류 향 때문에 호불호가 있는 식품이지만, 동남아시아에도 젓갈 음식이 있어 젓갈에 대한 거부감이 적은 데다 K-푸드의 인기가 더해지면서 수출길이 열린 것입니다.

[천향숙/논산 젓갈 상인 : "태국사람도 오고 베트남 사람도 오는데 자기 친구들, 동료들 같이 식사할 때 반찬으로 쓰겠다고 해서 사 가고 해요."]

이런 분위기에 힘입어 태국을 시작으로 오는 9월 베트남 수출이 확정됐고, 말레이시아와 일본, 홍콩 수출도 추진되고 있습니다.

특히 베트남 등에서는 한국식 김치를 담그려는 수요까지 생겨 새우젓 수출 전망도 밝습니다.

[백성현/논산시장 : "중국과 일본에서 주로 수입을 해서 먹고 있는데요. 그 거래선이 우리 논산의 강경 젓갈로 바뀔 것이다."]

논산시는 오는 8월 미국으로 젓갈을 포함해 된장과 참기름을, 캐나다에는 고구마 수출을 추진하는 등 K-푸드 인기를 활용해 농식품 수출의 보폭을 넓히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영준입니다.

촬영기자:오종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K-푸드 인기에 젓갈 수출 활짝…“세계인 입맛 공략”
    • 입력 2023-07-12 21:43:45
    • 수정2023-07-12 21:57:21
    뉴스9(대전)
[앵커]

논산의 강경 젓갈이 동남아시아 수출길에 올랐습니다.

과일이나 채소류는 해외나 국내나 맛의 차이가 없어 수출이 자연스럽지만, 젓갈은 좀 다른 경우인데요.

K-푸드의 인기에 힘입어 젓갈까지 수출대열에 합류했습니다.

서영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논산 강경 젓갈이 태국으로 수출되는 컨테이너 차량에 실리고 있습니다.

1차 10톤을 시작으로 연말까지 10~20톤이 추가로 수출될 예정인데, 논산 젓갈의 해외 공식 수출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현지 입맛에 맞추지 않고 국내 젓갈 그대로 수출합니다.

[송요한/수출업체 이사 : "정말 한국 고유의 맛을 원하고 있어서 저희가 테스트도 해보고 샘플로도 주고 했는데, 그쪽에서도 다 허락을 했고…."]

염장 발효식품인 젓갈이 해외 수출길에 오른 것은 K-푸드의 인기 덕입니다.

어패류 향 때문에 호불호가 있는 식품이지만, 동남아시아에도 젓갈 음식이 있어 젓갈에 대한 거부감이 적은 데다 K-푸드의 인기가 더해지면서 수출길이 열린 것입니다.

[천향숙/논산 젓갈 상인 : "태국사람도 오고 베트남 사람도 오는데 자기 친구들, 동료들 같이 식사할 때 반찬으로 쓰겠다고 해서 사 가고 해요."]

이런 분위기에 힘입어 태국을 시작으로 오는 9월 베트남 수출이 확정됐고, 말레이시아와 일본, 홍콩 수출도 추진되고 있습니다.

특히 베트남 등에서는 한국식 김치를 담그려는 수요까지 생겨 새우젓 수출 전망도 밝습니다.

[백성현/논산시장 : "중국과 일본에서 주로 수입을 해서 먹고 있는데요. 그 거래선이 우리 논산의 강경 젓갈로 바뀔 것이다."]

논산시는 오는 8월 미국으로 젓갈을 포함해 된장과 참기름을, 캐나다에는 고구마 수출을 추진하는 등 K-푸드 인기를 활용해 농식품 수출의 보폭을 넓히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영준입니다.

촬영기자:오종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