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집중호우로 3만7천세대 정전…98.7% 복구”

입력 2023.07.16 (14:12) 수정 2023.07.19 (13: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집중호우의 영향으로 지난 13일 이후 전국에서 약 3만 7천 세대가 정전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늘(16일) 강경성 2차관 주재로 에너지·산업 시설 안전점검회의를 열어 전력·가스 등 주요 에너지 기간 시설 및 주요 산업단지 등 핵심 산업 시설 피해 여부를 확인하고 대응 체계를 점검했다고 밝혔습니다.

산업부는 일부 지역에서 집중호우로 인한 전주, 전선 등 배전 설비 손실로 지난 13일 이후 약 3만 7천 세대의 정전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오늘 오전 6시를 기준으로 정전 세대의 98.7%인 약 3만 6천 세대의 전력 공급이 재개됐으며, 남은 곳도 접근 도로 확보 등 여건이 확보되는 대로 신속히 복구 작업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산업부는 어제 새벽 한때 물이 넘치는 월류 현상이 나타났던 충북 괴산댐의 경우, 계획 홍수위 아래로 수위가 하락한 만큼 오늘 오전 9시 42분 부로 ‘주의’ 단계를 해제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위기 경보 해제에도 산업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은 비상 대응 체계를 유지하면서 상황 변화에 따라 필요한 조치들을 신속히 이행할 계획입니다.

강 차관은 “집중호우 상황을 예상하기 어려운 만큼 추가 피해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며 “전력·가스 등 에너지는 잠시라도 공급에 지장이 있을 경우 국민 생활에 불편이 큰 만큼 빈틈없는 설비 안전 관리에 임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업부 “집중호우로 3만7천세대 정전…98.7% 복구”
    • 입력 2023-07-16 14:12:21
    • 수정2023-07-19 13:43:46
    재난
집중호우의 영향으로 지난 13일 이후 전국에서 약 3만 7천 세대가 정전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늘(16일) 강경성 2차관 주재로 에너지·산업 시설 안전점검회의를 열어 전력·가스 등 주요 에너지 기간 시설 및 주요 산업단지 등 핵심 산업 시설 피해 여부를 확인하고 대응 체계를 점검했다고 밝혔습니다.

산업부는 일부 지역에서 집중호우로 인한 전주, 전선 등 배전 설비 손실로 지난 13일 이후 약 3만 7천 세대의 정전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오늘 오전 6시를 기준으로 정전 세대의 98.7%인 약 3만 6천 세대의 전력 공급이 재개됐으며, 남은 곳도 접근 도로 확보 등 여건이 확보되는 대로 신속히 복구 작업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산업부는 어제 새벽 한때 물이 넘치는 월류 현상이 나타났던 충북 괴산댐의 경우, 계획 홍수위 아래로 수위가 하락한 만큼 오늘 오전 9시 42분 부로 ‘주의’ 단계를 해제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위기 경보 해제에도 산업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은 비상 대응 체계를 유지하면서 상황 변화에 따라 필요한 조치들을 신속히 이행할 계획입니다.

강 차관은 “집중호우 상황을 예상하기 어려운 만큼 추가 피해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며 “전력·가스 등 에너지는 잠시라도 공급에 지장이 있을 경우 국민 생활에 불편이 큰 만큼 빈틈없는 설비 안전 관리에 임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