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더하기] 또 ‘지하차도’ 참사…“인재라서 더 분통”

입력 2023.07.17 (19:40) 수정 2023.07.17 (20: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에 깊이를 더하는 시간 '뉴스더하기'김현수입니다.

이번 집중호우에서 많은 사상자를 낸 오송 지하차도 참사.

친구들과 여행을 떠나던 20대 청년부터, 결혼한 지 두 달밖에 안 된 30대 초등학교 교사, 출근길에 올랐던 세 자녀를 둔 가장까지.

안타까운 사연들도 알려졌는데요.

희생자 유족들은 이번 지하차도 참사가 '인재'였다고 입을 모읍니다.

자연 재난은 사람의 힘으로 어쩔 도리가 없다고 하더라도, 이미 많은 비가 예보된 상황에서, 안전사고에 대한 예방이나 대처가 소홀했다는 겁니다.

특히 이번 참사는 지난 2020년 7월, 부산에서 집중호우로 3명의 사망자를 냈던 초량 지하차도 참사와 유사한 사고라는 평가입니다.

당시 지하차도 침수 대비 지침을 숙지하지 못하고, 안전 조치에 미흡했던 공무원 모두에게 1심 판결에서 유죄가 선고되기도 했는데요.

이후 지하차도 관련 안전 지침은 조금 더 강화됐지만 이번 참사는 막지 못한 겁니다.

지난 15일 오송 지하차도 침수 4시간 전, 미호강에 발령됐던 홍수주의보가 홍수경보로 격상됐고, 두 시간 뒤에는 미호강 수위가 '심각 단계'까지 올라왔습니다.

그러자 금강홍수통제소는 관할구청인 흥덕구청에 교통 통제 같은 대응이 필요하다고 알렸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사고 전까지 오송 지하차도에는 어떤 교통 통제나 위험 안내가 없었습니다.

흥덕구청은 금강홍수통제소의 통보는 받았지만, 교통을 통제하라는 이야기는 듣지 못했다는 입장인데요.

경찰은 전담수사팀을 구성해 이번 참사에 대한 행정당국의 책임 여부를 들여다본다는 계획이고요.

국무조정실도 오늘 오후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한 감찰에 착수했습니다.

또 한 가지 지적되는 문제는 '안전시설'입니다.

오송 지하차도에는 '자동차단시설'이 설치돼있지 않았는데요.

이 '자동차단시설'은 지하차도 안에 수위계를 설치해, 물이 차게 되면 자동으로 진입을 차단하고 비상 안내 방송을 하는 시설입니다.

지난 2020년 부산 초량 지하차도 참사 이후 행정안전부가 침수 우려 지하차도에 '자동차단시설'을 도입하겠다고 발표했는데요.

지난달부터 오송 지하차도에도 '자동차단시설' 설치가 추진되고 있었지만, 충북도가 행안부에 예산 지원을 요청한 건 불과 두 달 전.

예견됐던 위험에 예방 조치가 늦었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장석환/KBS 재난방송전문위원/대진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 "(자동차단시설이) 미처 세워지기 전에 이런 참사가 좀 일어나서 안타깝습니다. 그런 차단시설이 돼 있으면 충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시간도 확보가 되고, 지금과 같이 오송 지하차도 같은 정도는 충분히 막을 수 있는 정도의 시설이다."]

대전시도 지난해 만년지하차도를 비롯한 세 곳의 침수위험 지하차도에 자동차단시설을 설치했는데요.

하지만 대전시의 지하차도는 모두 45곳, 차단시설 설치율은 6%에 불과하고요.

지난 2020년 침수로 사망 사고가 있었던 판암동 소정지하차도도 자동차단시설 설치 대상에서 빠졌습니다.

더 큰 문제는 앞으로도 많은 비가 예보돼 있다는 겁니다.

중국을 향하고 있는 4호 태풍 '탈림'도 우리나라 정체전선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점쳐지는 상황인데요.

예측할 수 없었던 사고는 '천재지변'이지만, 예측했지만 일어난 사고는 '인재'죠.

갈수록 커지고 있는 자연재해의 위험 속, 적어도 '인재'라는 말은 사라져야 할 텐데요.

하지만 각종 재난이 찾아올 때마다 '인재', '판박이 사고' 이런 말이 왜 끊임없이 꼬리표로 따라붙는지 정부와 지자체에 묻지 않을 수 없습니다.

지금까지 '뉴스더하기'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 더하기] 또 ‘지하차도’ 참사…“인재라서 더 분통”
    • 입력 2023-07-17 19:40:55
    • 수정2023-07-17 20:01:00
    뉴스7(대전)
뉴스에 깊이를 더하는 시간 '뉴스더하기'김현수입니다.

이번 집중호우에서 많은 사상자를 낸 오송 지하차도 참사.

친구들과 여행을 떠나던 20대 청년부터, 결혼한 지 두 달밖에 안 된 30대 초등학교 교사, 출근길에 올랐던 세 자녀를 둔 가장까지.

안타까운 사연들도 알려졌는데요.

희생자 유족들은 이번 지하차도 참사가 '인재'였다고 입을 모읍니다.

자연 재난은 사람의 힘으로 어쩔 도리가 없다고 하더라도, 이미 많은 비가 예보된 상황에서, 안전사고에 대한 예방이나 대처가 소홀했다는 겁니다.

특히 이번 참사는 지난 2020년 7월, 부산에서 집중호우로 3명의 사망자를 냈던 초량 지하차도 참사와 유사한 사고라는 평가입니다.

당시 지하차도 침수 대비 지침을 숙지하지 못하고, 안전 조치에 미흡했던 공무원 모두에게 1심 판결에서 유죄가 선고되기도 했는데요.

이후 지하차도 관련 안전 지침은 조금 더 강화됐지만 이번 참사는 막지 못한 겁니다.

지난 15일 오송 지하차도 침수 4시간 전, 미호강에 발령됐던 홍수주의보가 홍수경보로 격상됐고, 두 시간 뒤에는 미호강 수위가 '심각 단계'까지 올라왔습니다.

그러자 금강홍수통제소는 관할구청인 흥덕구청에 교통 통제 같은 대응이 필요하다고 알렸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사고 전까지 오송 지하차도에는 어떤 교통 통제나 위험 안내가 없었습니다.

흥덕구청은 금강홍수통제소의 통보는 받았지만, 교통을 통제하라는 이야기는 듣지 못했다는 입장인데요.

경찰은 전담수사팀을 구성해 이번 참사에 대한 행정당국의 책임 여부를 들여다본다는 계획이고요.

국무조정실도 오늘 오후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한 감찰에 착수했습니다.

또 한 가지 지적되는 문제는 '안전시설'입니다.

오송 지하차도에는 '자동차단시설'이 설치돼있지 않았는데요.

이 '자동차단시설'은 지하차도 안에 수위계를 설치해, 물이 차게 되면 자동으로 진입을 차단하고 비상 안내 방송을 하는 시설입니다.

지난 2020년 부산 초량 지하차도 참사 이후 행정안전부가 침수 우려 지하차도에 '자동차단시설'을 도입하겠다고 발표했는데요.

지난달부터 오송 지하차도에도 '자동차단시설' 설치가 추진되고 있었지만, 충북도가 행안부에 예산 지원을 요청한 건 불과 두 달 전.

예견됐던 위험에 예방 조치가 늦었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장석환/KBS 재난방송전문위원/대진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 "(자동차단시설이) 미처 세워지기 전에 이런 참사가 좀 일어나서 안타깝습니다. 그런 차단시설이 돼 있으면 충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시간도 확보가 되고, 지금과 같이 오송 지하차도 같은 정도는 충분히 막을 수 있는 정도의 시설이다."]

대전시도 지난해 만년지하차도를 비롯한 세 곳의 침수위험 지하차도에 자동차단시설을 설치했는데요.

하지만 대전시의 지하차도는 모두 45곳, 차단시설 설치율은 6%에 불과하고요.

지난 2020년 침수로 사망 사고가 있었던 판암동 소정지하차도도 자동차단시설 설치 대상에서 빠졌습니다.

더 큰 문제는 앞으로도 많은 비가 예보돼 있다는 겁니다.

중국을 향하고 있는 4호 태풍 '탈림'도 우리나라 정체전선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점쳐지는 상황인데요.

예측할 수 없었던 사고는 '천재지변'이지만, 예측했지만 일어난 사고는 '인재'죠.

갈수록 커지고 있는 자연재해의 위험 속, 적어도 '인재'라는 말은 사라져야 할 텐데요.

하지만 각종 재난이 찾아올 때마다 '인재', '판박이 사고' 이런 말이 왜 끊임없이 꼬리표로 따라붙는지 정부와 지자체에 묻지 않을 수 없습니다.

지금까지 '뉴스더하기'였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