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킹 범죄 못 막는 ‘접근금지’ 명령…또 스토킹 살해

입력 2023.07.18 (22:00) 수정 2023.07.18 (22: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출근하는 옛 여자 친구에게 흉기를 휘두른 스토킹 범죄가 또 발생했다는 소식 어제(17일) 전해드렸는데요,

남성에게는 법원의 접근 금지 명령까지 내려졌지만 별 효과가 없었습니다.

처벌을 확대하는 관련 법도 잇따라 시행되고 있는데 비슷한 범죄는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윤아림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새벽 출근길, 흉기 피습에 목숨을 잃은 여성.

집 앞에 미리 숨어있다 흉기를 휘두른 건 전 남자친구였습니다.

[이웃 주민/음성변조 : "그 착실히 산 거 같던데, 딸이. 너무나 안됐다, 착실히 살았는데."]

지난달에도 한 남성이 사귀었던 여성의 집에 몰래 들어가 숨어 있다가 차로 납치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다행히 여성은 구조됐지만, 차에서는 전기충격기와 밧줄이 발견됐습니다.

두 사건 가해 남성에겐 모두 100미터 이내 접근금지와 통신금지 명령이 내려졌던 상태.

하지만 살인도, 납치도 막지 못했습니다.

이유가 뭘까.

접근금지 명령을 어겨도 혹독한 처벌이 따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KBS 취재진이 접근금지 명령 등 잠정조치를 어기고 스토킹을 계속한 54개 사건 판결문을 분석한 결과, 절반 이상인 36건이 집행유예를 선고 받았습니다.

최대 징역 2년형까지 가능하지만, 초범이고, 반성한다는 이유 등으로 집행유예를 선고했습니다.

[민경철/변호사 : "'이건 중대 범죄로 나갈 수 있는 여지가 굉장히 높다' 이러면 그것만으로도 구속할 수 있는 그런 어떤 제도적 장치가..."]

지난해 9월 신당역 사건 이후 정치권은 앞다퉈 스토킹 범죄 예방과 처벌 강화에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그렇게 해서 반의사 불벌죄를 없애고 처벌 대상을 확대한 스토킹 처벌법과 스토킹 방지법이 잇따라 시행됐지만, 유사한 범죄를 막지 못했습니다.

새로 시행된 법에는 접근금지 명령 등을 받은 가해자에게 위치추적 전자장치를 부착할 수 있게 하는 내용도 포함됐지만 준비가 필요하다며 시행은 내년 1월로 미뤄뒀습니다.

KBS 뉴스 윤아림입니다.

촬영기자:최석규/영상편집:여동용/그래픽:김현갑 서수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스토킹 범죄 못 막는 ‘접근금지’ 명령…또 스토킹 살해
    • 입력 2023-07-18 22:00:42
    • 수정2023-07-18 22:26:13
    뉴스 9
[앵커]

출근하는 옛 여자 친구에게 흉기를 휘두른 스토킹 범죄가 또 발생했다는 소식 어제(17일) 전해드렸는데요,

남성에게는 법원의 접근 금지 명령까지 내려졌지만 별 효과가 없었습니다.

처벌을 확대하는 관련 법도 잇따라 시행되고 있는데 비슷한 범죄는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윤아림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새벽 출근길, 흉기 피습에 목숨을 잃은 여성.

집 앞에 미리 숨어있다 흉기를 휘두른 건 전 남자친구였습니다.

[이웃 주민/음성변조 : "그 착실히 산 거 같던데, 딸이. 너무나 안됐다, 착실히 살았는데."]

지난달에도 한 남성이 사귀었던 여성의 집에 몰래 들어가 숨어 있다가 차로 납치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다행히 여성은 구조됐지만, 차에서는 전기충격기와 밧줄이 발견됐습니다.

두 사건 가해 남성에겐 모두 100미터 이내 접근금지와 통신금지 명령이 내려졌던 상태.

하지만 살인도, 납치도 막지 못했습니다.

이유가 뭘까.

접근금지 명령을 어겨도 혹독한 처벌이 따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KBS 취재진이 접근금지 명령 등 잠정조치를 어기고 스토킹을 계속한 54개 사건 판결문을 분석한 결과, 절반 이상인 36건이 집행유예를 선고 받았습니다.

최대 징역 2년형까지 가능하지만, 초범이고, 반성한다는 이유 등으로 집행유예를 선고했습니다.

[민경철/변호사 : "'이건 중대 범죄로 나갈 수 있는 여지가 굉장히 높다' 이러면 그것만으로도 구속할 수 있는 그런 어떤 제도적 장치가..."]

지난해 9월 신당역 사건 이후 정치권은 앞다퉈 스토킹 범죄 예방과 처벌 강화에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그렇게 해서 반의사 불벌죄를 없애고 처벌 대상을 확대한 스토킹 처벌법과 스토킹 방지법이 잇따라 시행됐지만, 유사한 범죄를 막지 못했습니다.

새로 시행된 법에는 접근금지 명령 등을 받은 가해자에게 위치추적 전자장치를 부착할 수 있게 하는 내용도 포함됐지만 준비가 필요하다며 시행은 내년 1월로 미뤄뒀습니다.

KBS 뉴스 윤아림입니다.

촬영기자:최석규/영상편집:여동용/그래픽:김현갑 서수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KBS는 올바른 여론 형성을 위해 자유로운 댓글 작성을 지지합니다.
다만 이 기사는 일부 댓글에 모욕・명예훼손 등 현행법에 저촉될 우려가 발견돼 건전한 댓글 문화 정착을 위해 댓글 사용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