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홍콩 오피스빌딩 펀드 투자자 손실 일부 보상
입력 2023.07.19 (10:54)
수정 2023.07.19 (10: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래에셋증권이 투자한 2,800억 원 규모의 홍콩 사무용 건물 투자 펀드 자산이 90% 손실 처리하는 쪽으로 정리된 가운데 이 펀드에 투자했던 우리은행이 투자자 손실을 일부 보상해주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지난달 말 열린 정기이사회에서 홍콩 골딘파이낸셜글로벌센터(GFGC) 투자 관련 펀드로 손실을 본 고객을 대상으로 일부 보상해주는 안건을 통과시켰습니다.
해당 펀드는 '시몬느대체투자전문사모투자신탁제12호'로 우리은행은 연 5.1%의 금리 조건으로 765억 원을 판매했습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홍콩 부동산 시장의 위축과 코로나 사태로 인한 오피스 수요 감소, 금리투자금 회수가 어려운 상황에서 고객 피해 방지 및 신뢰 회복 차원에서 사적 화해의 수단으로 자율 조정을 실시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우리은행은 개별 고객과의 자율조정을 거쳐 투자원금 일부를 지급할 예정이며 지난달 27일부터 이 같은 내용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자율조정은 금융감독원 분쟁조정기준안에 따라 진행될 예정이며, 우리은행은 자율조정을 마친 뒤 운용사를 대상으로 구상권 청구 및 중순위 채권 추심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앞서 미래에셋증권은 2019년 6월 홍콩 골딘파이낸셜글로벌센터 빌딩에 2,800억 원을 대출하는 메자닌(중순위) 상품을 내놨습니다.
연 8% 수준의 금리를 받는 조건이어서 고액 자산가와 법인 투자자 등의 자금이 몰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래에셋증권이 자기 자금으로 300억 원, 다른 증권과 보험사 등이 1,150억 원을 투자했으며 나머지는 멀티에셋자산운용과 시몬느자산운용을 통해 사모펀드 형태로 다른 금융사에 판매됐습니다.
하지만 보증인이 파산하고 국제적으로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며 빌딩 가격이 급락하자 싱가포르투자청 등 선순위 대출자가 권리를 행사해 빌딩을 싼값에 매각했으며, 이 과정에서 중순위 대출자였던 미래에셋 측은 피해를 보게 된 상황입니다.
멀티에셋자산운영은 어제(18일) 집합투자재산평가위원회를 열어 조성한 펀드 자산을 90% 안팎 수준에서 상각 처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상각 처리는 해당 자산의 가치가 떨어질 것으로 간주해 회계상 손실로 처리하는 것으로, 실제 손실 규모는 90% 이상이 될 수도 있고 이보다 작을 수도 있습니다.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지난달 말 열린 정기이사회에서 홍콩 골딘파이낸셜글로벌센터(GFGC) 투자 관련 펀드로 손실을 본 고객을 대상으로 일부 보상해주는 안건을 통과시켰습니다.
해당 펀드는 '시몬느대체투자전문사모투자신탁제12호'로 우리은행은 연 5.1%의 금리 조건으로 765억 원을 판매했습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홍콩 부동산 시장의 위축과 코로나 사태로 인한 오피스 수요 감소, 금리투자금 회수가 어려운 상황에서 고객 피해 방지 및 신뢰 회복 차원에서 사적 화해의 수단으로 자율 조정을 실시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우리은행은 개별 고객과의 자율조정을 거쳐 투자원금 일부를 지급할 예정이며 지난달 27일부터 이 같은 내용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자율조정은 금융감독원 분쟁조정기준안에 따라 진행될 예정이며, 우리은행은 자율조정을 마친 뒤 운용사를 대상으로 구상권 청구 및 중순위 채권 추심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앞서 미래에셋증권은 2019년 6월 홍콩 골딘파이낸셜글로벌센터 빌딩에 2,800억 원을 대출하는 메자닌(중순위) 상품을 내놨습니다.
연 8% 수준의 금리를 받는 조건이어서 고액 자산가와 법인 투자자 등의 자금이 몰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래에셋증권이 자기 자금으로 300억 원, 다른 증권과 보험사 등이 1,150억 원을 투자했으며 나머지는 멀티에셋자산운용과 시몬느자산운용을 통해 사모펀드 형태로 다른 금융사에 판매됐습니다.
하지만 보증인이 파산하고 국제적으로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며 빌딩 가격이 급락하자 싱가포르투자청 등 선순위 대출자가 권리를 행사해 빌딩을 싼값에 매각했으며, 이 과정에서 중순위 대출자였던 미래에셋 측은 피해를 보게 된 상황입니다.
멀티에셋자산운영은 어제(18일) 집합투자재산평가위원회를 열어 조성한 펀드 자산을 90% 안팎 수준에서 상각 처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상각 처리는 해당 자산의 가치가 떨어질 것으로 간주해 회계상 손실로 처리하는 것으로, 실제 손실 규모는 90% 이상이 될 수도 있고 이보다 작을 수도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리은행, 홍콩 오피스빌딩 펀드 투자자 손실 일부 보상
-
- 입력 2023-07-19 10:54:22
- 수정2023-07-19 10:54:55

미래에셋증권이 투자한 2,800억 원 규모의 홍콩 사무용 건물 투자 펀드 자산이 90% 손실 처리하는 쪽으로 정리된 가운데 이 펀드에 투자했던 우리은행이 투자자 손실을 일부 보상해주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지난달 말 열린 정기이사회에서 홍콩 골딘파이낸셜글로벌센터(GFGC) 투자 관련 펀드로 손실을 본 고객을 대상으로 일부 보상해주는 안건을 통과시켰습니다.
해당 펀드는 '시몬느대체투자전문사모투자신탁제12호'로 우리은행은 연 5.1%의 금리 조건으로 765억 원을 판매했습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홍콩 부동산 시장의 위축과 코로나 사태로 인한 오피스 수요 감소, 금리투자금 회수가 어려운 상황에서 고객 피해 방지 및 신뢰 회복 차원에서 사적 화해의 수단으로 자율 조정을 실시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우리은행은 개별 고객과의 자율조정을 거쳐 투자원금 일부를 지급할 예정이며 지난달 27일부터 이 같은 내용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자율조정은 금융감독원 분쟁조정기준안에 따라 진행될 예정이며, 우리은행은 자율조정을 마친 뒤 운용사를 대상으로 구상권 청구 및 중순위 채권 추심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앞서 미래에셋증권은 2019년 6월 홍콩 골딘파이낸셜글로벌센터 빌딩에 2,800억 원을 대출하는 메자닌(중순위) 상품을 내놨습니다.
연 8% 수준의 금리를 받는 조건이어서 고액 자산가와 법인 투자자 등의 자금이 몰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래에셋증권이 자기 자금으로 300억 원, 다른 증권과 보험사 등이 1,150억 원을 투자했으며 나머지는 멀티에셋자산운용과 시몬느자산운용을 통해 사모펀드 형태로 다른 금융사에 판매됐습니다.
하지만 보증인이 파산하고 국제적으로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며 빌딩 가격이 급락하자 싱가포르투자청 등 선순위 대출자가 권리를 행사해 빌딩을 싼값에 매각했으며, 이 과정에서 중순위 대출자였던 미래에셋 측은 피해를 보게 된 상황입니다.
멀티에셋자산운영은 어제(18일) 집합투자재산평가위원회를 열어 조성한 펀드 자산을 90% 안팎 수준에서 상각 처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상각 처리는 해당 자산의 가치가 떨어질 것으로 간주해 회계상 손실로 처리하는 것으로, 실제 손실 규모는 90% 이상이 될 수도 있고 이보다 작을 수도 있습니다.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지난달 말 열린 정기이사회에서 홍콩 골딘파이낸셜글로벌센터(GFGC) 투자 관련 펀드로 손실을 본 고객을 대상으로 일부 보상해주는 안건을 통과시켰습니다.
해당 펀드는 '시몬느대체투자전문사모투자신탁제12호'로 우리은행은 연 5.1%의 금리 조건으로 765억 원을 판매했습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홍콩 부동산 시장의 위축과 코로나 사태로 인한 오피스 수요 감소, 금리투자금 회수가 어려운 상황에서 고객 피해 방지 및 신뢰 회복 차원에서 사적 화해의 수단으로 자율 조정을 실시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우리은행은 개별 고객과의 자율조정을 거쳐 투자원금 일부를 지급할 예정이며 지난달 27일부터 이 같은 내용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자율조정은 금융감독원 분쟁조정기준안에 따라 진행될 예정이며, 우리은행은 자율조정을 마친 뒤 운용사를 대상으로 구상권 청구 및 중순위 채권 추심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앞서 미래에셋증권은 2019년 6월 홍콩 골딘파이낸셜글로벌센터 빌딩에 2,800억 원을 대출하는 메자닌(중순위) 상품을 내놨습니다.
연 8% 수준의 금리를 받는 조건이어서 고액 자산가와 법인 투자자 등의 자금이 몰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래에셋증권이 자기 자금으로 300억 원, 다른 증권과 보험사 등이 1,150억 원을 투자했으며 나머지는 멀티에셋자산운용과 시몬느자산운용을 통해 사모펀드 형태로 다른 금융사에 판매됐습니다.
하지만 보증인이 파산하고 국제적으로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며 빌딩 가격이 급락하자 싱가포르투자청 등 선순위 대출자가 권리를 행사해 빌딩을 싼값에 매각했으며, 이 과정에서 중순위 대출자였던 미래에셋 측은 피해를 보게 된 상황입니다.
멀티에셋자산운영은 어제(18일) 집합투자재산평가위원회를 열어 조성한 펀드 자산을 90% 안팎 수준에서 상각 처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상각 처리는 해당 자산의 가치가 떨어질 것으로 간주해 회계상 손실로 처리하는 것으로, 실제 손실 규모는 90% 이상이 될 수도 있고 이보다 작을 수도 있습니다.
-
-
손서영 기자 bellesy@kbs.co.kr
손서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