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으로 질주하는 미군 보고선 “SNS 영상 찍는 줄”…당시 목격자 인터뷰 [현장영상]

입력 2023.07.20 (14:30) 수정 2023.07.20 (15: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 관광객이 지난 18일 미군 병사가 북한을 향해 전력 질주하던 장면을 목격했다고 밝혔습니다.

뉴질랜드에서 온 사라 레즐리 씨는 어제(19일) AP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처음엔 이게 무슨 일인가 싶었다"며 "장난인 줄 알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친구가 틱톡(SNS)에 올릴 영상을 찍고 있는 줄 알았다"며 "정말 바보 같은 짓이라고 생각했는데, 그는 멈추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레즐리 씨는 이날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을 찾은 43명의 관광객 중 한 명이었습니다.

그녀는 "당시 청바지와 검은 티셔츠의 평범한 차림이었다"며 "그가 군인인 줄 전혀 몰랐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그가 혼자 관광을 온 것 같았고, 여행 중에 다른 사람들과 대화하는 모습은 보지 못했다고 덧붙였습니다.

투어가 거의 끝나가던 오후, JSA에서 사람들이 사진 촬영에 열중하고 있을 때 한 관광객이 북한 쪽으로 "매우, 매우 빠르게" 달리는 것을 보았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그는 멈추지 않았고, 그때쯤 미군 중 한 명이 '그를 잡아'라고 외쳤지만 군인들은 대응할 시간이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녀는 "사람들이 충격과 두려움에 떨었던 것 같다"며 당시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월북한 병사는 미군 제1기갑사단 소속의 트래비스 킹(23세) 이병으로 한국에서 폭행 혐의로 교도소에 두 달 가까이 구금됐습니다.

그러다 지난 10일 풀려나 17일에 미국행 비행기를 타려고 공항으로 이송됐다가 갑자기 달아났습니다.

공항을 벗어난 킹은 민간 여행사의 JSA 견학에 참여했고, 판문점 내 한 건물을 견학할 때 갑자기 월북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한으로 질주하는 미군 보고선 “SNS 영상 찍는 줄”…당시 목격자 인터뷰 [현장영상]
    • 입력 2023-07-20 14:30:12
    • 수정2023-07-20 15:15:04
    영상K
한 관광객이 지난 18일 미군 병사가 북한을 향해 전력 질주하던 장면을 목격했다고 밝혔습니다.

뉴질랜드에서 온 사라 레즐리 씨는 어제(19일) AP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처음엔 이게 무슨 일인가 싶었다"며 "장난인 줄 알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친구가 틱톡(SNS)에 올릴 영상을 찍고 있는 줄 알았다"며 "정말 바보 같은 짓이라고 생각했는데, 그는 멈추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레즐리 씨는 이날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을 찾은 43명의 관광객 중 한 명이었습니다.

그녀는 "당시 청바지와 검은 티셔츠의 평범한 차림이었다"며 "그가 군인인 줄 전혀 몰랐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그가 혼자 관광을 온 것 같았고, 여행 중에 다른 사람들과 대화하는 모습은 보지 못했다고 덧붙였습니다.

투어가 거의 끝나가던 오후, JSA에서 사람들이 사진 촬영에 열중하고 있을 때 한 관광객이 북한 쪽으로 "매우, 매우 빠르게" 달리는 것을 보았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그는 멈추지 않았고, 그때쯤 미군 중 한 명이 '그를 잡아'라고 외쳤지만 군인들은 대응할 시간이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녀는 "사람들이 충격과 두려움에 떨었던 것 같다"며 당시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월북한 병사는 미군 제1기갑사단 소속의 트래비스 킹(23세) 이병으로 한국에서 폭행 혐의로 교도소에 두 달 가까이 구금됐습니다.

그러다 지난 10일 풀려나 17일에 미국행 비행기를 타려고 공항으로 이송됐다가 갑자기 달아났습니다.

공항을 벗어난 킹은 민간 여행사의 JSA 견학에 참여했고, 판문점 내 한 건물을 견학할 때 갑자기 월북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