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석학 앤드류 응 교수 공개 강연…“인공지능은 전기와 같아”

입력 2023.07.21 (20:09) 수정 2023.07.21 (20: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AI) 분야 세계 4대 석학으로 꼽히는 앤드류 응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가 "AI는 전기와 같이 경제·사회 모든 분야에 응용되는 다목적 기술"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국을 방문 중인 앤드류 응 교수는 오늘(21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KBS 별관 공개홀에서 국내 AI 연구자·스타트업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대담회를 갖고 AI 기술 동향 등을 소개했습니다.

구글의 AI 연구 조직인 '구글 브레인'을 설립한 응 교수는 제프리 힌튼, 얀 르쿤, 요수아 벤지오 등과 함께 AI 분야의 최고 석학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응 교수는 공개 강연을 통해 AI가 금융·물류·교육·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으로 응용되는 사례, 생성형 AI가 텍스트와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로 확장하는 사례 등을 설명하고, 참석자들과 AI 기술 전망을 나눴습니다.

또한, AI가 가진 위험성을 짚어보고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발전시켜 나갈 방안에 대해서도 발표했습니다.

이어진 대담회에서 국내 AI 스타트업 셀렉트스타의 김세엽 대표는 '데이터 중심 인공지능'을 주제로 AI 서비스 성능을 좌우하는 데이터 활용사례 등을 발표했습니다.

아울러 참석자들은 국내 AI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와 글로벌 진출 전략, AI 윤리·신뢰성 확보방안 등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습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국내 AI 스타트업이 가진 창의력과 잠재력을 발휘해 글로벌 무대에서 활약할 수 있는 유니콘 기업이 될 수 있도록 핵심 인프라와 초거대 AI 기반 응용서비스 개발을 지원해 나갈 것"이라며 "디지털 심화 시대를 주도할 수 있는 AI 윤리·신뢰성 확보방안을 마련하고 사회적 수용성을 향상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스탠퍼드대 홈페이지 캡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AI 석학 앤드류 응 교수 공개 강연…“인공지능은 전기와 같아”
    • 입력 2023-07-21 20:09:19
    • 수정2023-07-21 20:22:43
    IT·과학
인공지능(AI) 분야 세계 4대 석학으로 꼽히는 앤드류 응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가 "AI는 전기와 같이 경제·사회 모든 분야에 응용되는 다목적 기술"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국을 방문 중인 앤드류 응 교수는 오늘(21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KBS 별관 공개홀에서 국내 AI 연구자·스타트업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대담회를 갖고 AI 기술 동향 등을 소개했습니다.

구글의 AI 연구 조직인 '구글 브레인'을 설립한 응 교수는 제프리 힌튼, 얀 르쿤, 요수아 벤지오 등과 함께 AI 분야의 최고 석학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응 교수는 공개 강연을 통해 AI가 금융·물류·교육·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으로 응용되는 사례, 생성형 AI가 텍스트와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로 확장하는 사례 등을 설명하고, 참석자들과 AI 기술 전망을 나눴습니다.

또한, AI가 가진 위험성을 짚어보고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발전시켜 나갈 방안에 대해서도 발표했습니다.

이어진 대담회에서 국내 AI 스타트업 셀렉트스타의 김세엽 대표는 '데이터 중심 인공지능'을 주제로 AI 서비스 성능을 좌우하는 데이터 활용사례 등을 발표했습니다.

아울러 참석자들은 국내 AI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와 글로벌 진출 전략, AI 윤리·신뢰성 확보방안 등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습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국내 AI 스타트업이 가진 창의력과 잠재력을 발휘해 글로벌 무대에서 활약할 수 있는 유니콘 기업이 될 수 있도록 핵심 인프라와 초거대 AI 기반 응용서비스 개발을 지원해 나갈 것"이라며 "디지털 심화 시대를 주도할 수 있는 AI 윤리·신뢰성 확보방안을 마련하고 사회적 수용성을 향상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스탠퍼드대 홈페이지 캡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