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해 골프 논란’ 홍준표, 경북서 수해복구 봉사활동

입력 2023.07.24 (10:49) 수정 2023.07.24 (16: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면제공: 대구시화면제공: 대구시
'수해 중 골프' 논란을 빚은 홍준표 대구시장이 경북지역에서 수해복구 봉사활동을 펼칩니다.

대구시는 오늘(24일)부터 사흘 동안 홍 시장을 비롯한 직원 3백여 명이 수해로 큰 피해를 본 경북 예천군 감천면 일대를 찾아 수해 복구를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홍 시장은 지난 22일 소통 채널 '청년의 꿈'에서 "국민의힘에서 21~28일까지 봉사활동 한다는데 시장님도 봉사활동 하시냐"고 묻자, "대구시 공무원들은 다음 주 월, 화, 수 사흘 동안 경북지역에서 수해복구 활동을 하기로 했다"고도 알렸습니다.

소통 채널 ‘청년의꿈’ 갈무리소통 채널 ‘청년의꿈’ 갈무리
또, "장화 신을 때 손 빌리는 것 가지고 황제 장화 논란이라고 하는 일 안 생기도록 아예 신고 가시길 추천한다"고 권하는 말에는 "운동화 신고 하겠다"며 처음부터 트집거리를 없애겠다고 답했습니다. 홍 시장은 2017년 충북 청주시 상당구의 수해 피해 지역을 찾았을 때 현장 관계자가 장화를 신겨주는 모습으로 구설에 오른 바 있습니다.

한편,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회는 모레(26일) 오후 4시 전체회의를 열어 홍 시장의 징계 수위에 대한 논의에 착수합니다. 국민의힘의 징계 종류는 ▲경고 ▲당원권 정지 ▲탈당 권유 ▲제명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앞서 홍 시장은 지난 15일 오전 11시 20분부터 대구 도학동 팔공CC에서 골프를 치다가 비가 많이 오자 1시간여 만에 중단했습니다.

홍 시장은 당초 "부적절하지 않다"는 입장을 고수했지만, 비판 여론이 높아지자 논란이 불거진 지 나흘 만인 19일 대구시청 기자실을 찾아 "전국적으로 수해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부적절했다는 지적은 겸허하게 받아들인다"며 공식 사과했습니다. 그러면서도 "15일 오전 대구지역에는 비가 오지 않았고, 재난대응 매뉴얼에 위배되는 일도 없었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이후 20일 당 윤리위가 자신에 대한 징계 절차를 개시하자 가랑이 밑을 기어가는 치욕이라는 뜻의 '과하지욕(跨下之辱)'이란 고사성어를 SNS에 올렸다가 삭제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수해 골프 논란’ 홍준표, 경북서 수해복구 봉사활동
    • 입력 2023-07-24 10:49:06
    • 수정2023-07-24 16:51:14
    심층K
화면제공: 대구시'수해 중 골프' 논란을 빚은 홍준표 대구시장이 경북지역에서 수해복구 봉사활동을 펼칩니다.

대구시는 오늘(24일)부터 사흘 동안 홍 시장을 비롯한 직원 3백여 명이 수해로 큰 피해를 본 경북 예천군 감천면 일대를 찾아 수해 복구를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홍 시장은 지난 22일 소통 채널 '청년의 꿈'에서 "국민의힘에서 21~28일까지 봉사활동 한다는데 시장님도 봉사활동 하시냐"고 묻자, "대구시 공무원들은 다음 주 월, 화, 수 사흘 동안 경북지역에서 수해복구 활동을 하기로 했다"고도 알렸습니다.

소통 채널 ‘청년의꿈’ 갈무리또, "장화 신을 때 손 빌리는 것 가지고 황제 장화 논란이라고 하는 일 안 생기도록 아예 신고 가시길 추천한다"고 권하는 말에는 "운동화 신고 하겠다"며 처음부터 트집거리를 없애겠다고 답했습니다. 홍 시장은 2017년 충북 청주시 상당구의 수해 피해 지역을 찾았을 때 현장 관계자가 장화를 신겨주는 모습으로 구설에 오른 바 있습니다.

한편,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회는 모레(26일) 오후 4시 전체회의를 열어 홍 시장의 징계 수위에 대한 논의에 착수합니다. 국민의힘의 징계 종류는 ▲경고 ▲당원권 정지 ▲탈당 권유 ▲제명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앞서 홍 시장은 지난 15일 오전 11시 20분부터 대구 도학동 팔공CC에서 골프를 치다가 비가 많이 오자 1시간여 만에 중단했습니다.

홍 시장은 당초 "부적절하지 않다"는 입장을 고수했지만, 비판 여론이 높아지자 논란이 불거진 지 나흘 만인 19일 대구시청 기자실을 찾아 "전국적으로 수해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부적절했다는 지적은 겸허하게 받아들인다"며 공식 사과했습니다. 그러면서도 "15일 오전 대구지역에는 비가 오지 않았고, 재난대응 매뉴얼에 위배되는 일도 없었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이후 20일 당 윤리위가 자신에 대한 징계 절차를 개시하자 가랑이 밑을 기어가는 치욕이라는 뜻의 '과하지욕(跨下之辱)'이란 고사성어를 SNS에 올렸다가 삭제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