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폭염에 대형 산불까지…50도 넘긴 이란은 ‘임시 공휴일’

입력 2023.08.02 (06:29) 수정 2023.08.02 (08: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구촌 북반구를 덮친 폭염의 기세는 다른 나라들도 마찬가집니다.

미국에선 최고 기온을 기록한 기간이 계속 늘어나는 가운데 큰 산불이 발생했고, 50도 넘는 폭염이 닥친 이란은 임시 공휴일이 선포됐습니다.

보도에 김기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국 서부 애리조나주 피닉스 시 최고 기온이 한 달 넘게 43도를 훌쩍 넘어섰습니다.

1974년 18일이었던 기존 기록을 경신한 것은 물론 폭염 추세는 앞으로도 당분간 계속될 거란 관측입니다.

[톰 프리더스/미 기상청 예보관 : "이번 주말, 애리조나에서 텍사스주 등의 낮 최고 기온이 정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폭염 기록이 또 다시 경신될 수도 있을 겁니다."]

기상 당국은 현재 5천만 명 수준인 미국 내 폭염 경보 지역 주민 숫자도 대폭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폭염에 더해 미국과 캐나다

서부 국경 지역 등에선 대형 산불까지 잇따르고 있습니다.

[데비 스미스/화재 목격자 : "호수 건너편에서 실제로 열기를 느낄 수 있었고, 불길의 굉음도 들렸습니다."]

지난달 말 캘리포니아 모하비 국립보호구역에서 발생한 산불은 계속 확산 중입니다.

대기가 메마른 데다 강한 바람까지 겹치면서 이미 서울 면적 절반 가량이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리사 콜더우드/화재 목격자 : "무섭죠. 불이 번지고 특히 강풍이 불면 통제가 불가능하니까요. 사람들의 생명이 위태롭습니다."]

한편, 폭염으로 공휴일이 선포된 나라도 있습니다.

이란 정부는 현지 시각 2일과 3일 이틀 동안 임시 공휴일을 선포했습니다.

서남부 지역의 기온이 50도 넘게 치솟으면서 온열 질환자가 속출한 데 더해 물 부족 사태 등으로 시위가 벌어지는 등 동요하는 민심을 수습하기 위한 대책으로 풀이됩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기현입니다.

영상편집:서삼현/그래픽:이경민/자료조사:이세영 서호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폭염에 대형 산불까지…50도 넘긴 이란은 ‘임시 공휴일’
    • 입력 2023-08-02 06:29:28
    • 수정2023-08-02 08:11:57
    뉴스광장 1부
[앵커]

지구촌 북반구를 덮친 폭염의 기세는 다른 나라들도 마찬가집니다.

미국에선 최고 기온을 기록한 기간이 계속 늘어나는 가운데 큰 산불이 발생했고, 50도 넘는 폭염이 닥친 이란은 임시 공휴일이 선포됐습니다.

보도에 김기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국 서부 애리조나주 피닉스 시 최고 기온이 한 달 넘게 43도를 훌쩍 넘어섰습니다.

1974년 18일이었던 기존 기록을 경신한 것은 물론 폭염 추세는 앞으로도 당분간 계속될 거란 관측입니다.

[톰 프리더스/미 기상청 예보관 : "이번 주말, 애리조나에서 텍사스주 등의 낮 최고 기온이 정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폭염 기록이 또 다시 경신될 수도 있을 겁니다."]

기상 당국은 현재 5천만 명 수준인 미국 내 폭염 경보 지역 주민 숫자도 대폭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폭염에 더해 미국과 캐나다

서부 국경 지역 등에선 대형 산불까지 잇따르고 있습니다.

[데비 스미스/화재 목격자 : "호수 건너편에서 실제로 열기를 느낄 수 있었고, 불길의 굉음도 들렸습니다."]

지난달 말 캘리포니아 모하비 국립보호구역에서 발생한 산불은 계속 확산 중입니다.

대기가 메마른 데다 강한 바람까지 겹치면서 이미 서울 면적 절반 가량이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리사 콜더우드/화재 목격자 : "무섭죠. 불이 번지고 특히 강풍이 불면 통제가 불가능하니까요. 사람들의 생명이 위태롭습니다."]

한편, 폭염으로 공휴일이 선포된 나라도 있습니다.

이란 정부는 현지 시각 2일과 3일 이틀 동안 임시 공휴일을 선포했습니다.

서남부 지역의 기온이 50도 넘게 치솟으면서 온열 질환자가 속출한 데 더해 물 부족 사태 등으로 시위가 벌어지는 등 동요하는 민심을 수습하기 위한 대책으로 풀이됩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기현입니다.

영상편집:서삼현/그래픽:이경민/자료조사:이세영 서호정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