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온 초전도체’에 전 세계 들썩, 현실화 가능성은?

입력 2023.08.03 (21:33) 수정 2023.08.03 (22: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내 한 기업이 꿈의 물질로 불리는 '상온 초전도체'를 만들어냈다고 주장해, 전 세계 과학계가 술렁이고 있습니다.

주장이 사실이라면, 노벨상 1순위로 꼽힐만큼 중대한 발명인데, 아직은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유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자석 위에 둥둥 떠 있는 검은 물질, 펜으로 건드려도 떨어지지 않고 버텨냅니다.

국내 한 민간 기업이 상온에서 구현한 초전도체라며 공개한 영상입니다.

'초전도체'는 특정 온도에서 전기 저항이 0이 되는 물질로 내부 자기장 때문에 공중에 뜨는 '마이스너 현상'을 보입니다.

100여 년 전 처음 발견됐는데, 이후 수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영하 200도 정도의 극저온, 초고압 환경에서만 구현 가능했습니다.

그런데 국내 기업이 이 난제를 극복하고, 상온에서도 초전도체 성질을 띠는 물질을 개발했다며 논문을 공개한 겁니다.

사실이라면, 전기 손실 없는 송전, 자기부상열차 개발 등 실생활에 획기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학계의 관심이 집중됐고, 주식 시장에선 관련주로 알려진 기업의 주가가 요동쳤습니다.

기업 관계자는 "공식 발표를 준비 중"이라고만 밝히며 말을 아꼈습니다.

미국, 중국 등 해외 과학자들이 검증에 뛰어들었는데, 가짜라는 주장부터 실현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 심지어 재현했다는 주장까지 제각각입니다.

국내 관련 학회도, 검증위원회를 꾸리고 대응에 나섰습니다.

검증위는 일단, "공개된 영상과 논문만으로는 상온 초전도체라고 보기 어렵다"면서 "그래서 과학적인 검증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한명준/카이스트 물리학과 교수 : "워낙 중요한 발견이기도 하고요. 그렇기 때문에라도 더욱더 꼼꼼하게 확인이 필요한 상황인 것은 분명해 보이고요."]

전문가들은 상온 초전도체를 발견했다는 논문이 발표됐다가, 검증 과정에서 철회된 적이 있는 만큼,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김유대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영상편집:최찬종/화면제공:유튜브 TED·퀀텀에너지연구소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상온 초전도체’에 전 세계 들썩, 현실화 가능성은?
    • 입력 2023-08-03 21:33:02
    • 수정2023-08-03 22:07:35
    뉴스 9
[앵커]

국내 한 기업이 꿈의 물질로 불리는 '상온 초전도체'를 만들어냈다고 주장해, 전 세계 과학계가 술렁이고 있습니다.

주장이 사실이라면, 노벨상 1순위로 꼽힐만큼 중대한 발명인데, 아직은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유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자석 위에 둥둥 떠 있는 검은 물질, 펜으로 건드려도 떨어지지 않고 버텨냅니다.

국내 한 민간 기업이 상온에서 구현한 초전도체라며 공개한 영상입니다.

'초전도체'는 특정 온도에서 전기 저항이 0이 되는 물질로 내부 자기장 때문에 공중에 뜨는 '마이스너 현상'을 보입니다.

100여 년 전 처음 발견됐는데, 이후 수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영하 200도 정도의 극저온, 초고압 환경에서만 구현 가능했습니다.

그런데 국내 기업이 이 난제를 극복하고, 상온에서도 초전도체 성질을 띠는 물질을 개발했다며 논문을 공개한 겁니다.

사실이라면, 전기 손실 없는 송전, 자기부상열차 개발 등 실생활에 획기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학계의 관심이 집중됐고, 주식 시장에선 관련주로 알려진 기업의 주가가 요동쳤습니다.

기업 관계자는 "공식 발표를 준비 중"이라고만 밝히며 말을 아꼈습니다.

미국, 중국 등 해외 과학자들이 검증에 뛰어들었는데, 가짜라는 주장부터 실현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 심지어 재현했다는 주장까지 제각각입니다.

국내 관련 학회도, 검증위원회를 꾸리고 대응에 나섰습니다.

검증위는 일단, "공개된 영상과 논문만으로는 상온 초전도체라고 보기 어렵다"면서 "그래서 과학적인 검증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한명준/카이스트 물리학과 교수 : "워낙 중요한 발견이기도 하고요. 그렇기 때문에라도 더욱더 꼼꼼하게 확인이 필요한 상황인 것은 분명해 보이고요."]

전문가들은 상온 초전도체를 발견했다는 논문이 발표됐다가, 검증 과정에서 철회된 적이 있는 만큼,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김유대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영상편집:최찬종/화면제공:유튜브 TED·퀀텀에너지연구소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