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사의 ‘그루밍’…“초등생 피해 얘기 듣고 용기”

입력 2023.08.04 (21:34) 수정 2023.08.04 (21: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금부터는 탈북 청소년을 성추행한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는 A목사 관련 단독 보도, 이어갑니다.

어제(3일) 전해드렸듯 탈북 청소년인 피해자들은 오랜 시간 문제를 제기하지 못했습니다.

A 목사의 지위에 심리적 지배, 이른바 '그루밍' 상태에 놓여 있었던 걸로 보입니다.

하지만 최근 초등학생 정도의 어린 동생들까지 피해를 입었다는 얘기를 듣고, 용기를 냈다고 했습니다.

최민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A 목사의 성추행은 최소 2018년부터 시작된 걸로 경찰은 보고 있습니다.

5년이라는 기간, 피해자들은 불편하고 불쾌한 감정을 스스로 외면하려고 했습니다.

[E 양/음성변조 : "우리를 좋아해서 그랬나봐. 목사님 몰라서 그러나봐, 이해하고, 그냥 바로 잊어버렸어요."]

[D 양/음성변조 : "저한테 그랬던건 그냥 실수고 그냥 예뻐서 (한숨) 그냥 그런가보다…"]

부적절한 접촉을 목격한 피해자의 어머니조차도 항의하지 못했습니다.

[E 양 어머니/음성변조 : "애 어깨를 이렇게 주물럭 하는 걸 제가 몇번을 봤거든요. 저 자체도 (항의를) 못했어요. (딸이) 엄마 학교 오면 아무말도 하지마, 나 목사님 눈밖에 나면 안돼."]

A 목사는 탈북 여성이 성폭력 위험에 쉽게 노출되는 걸 잘 아는 사람이기도 했습니다.

그가 구했다는 탈북민 중에는 중국에서 성폭력 피해를 입은 여성들도 있었습니다.

[이현숙/탁틴내일 아동청소년성폭력상담소장 : "경제적으로나 여러가지 취약하기도 하고, 이런 성희롱이나 성폭력 예방교육이나 이런걸 받았을 가능성도 없고. 오로지 (교장이) 유일하게 의지할 수 있는 사람이라든지."]

묵묵히 참아왔던 피해자들은 최근 10살 남짓한 동생들까지 피해를 입었단 사실을 알고 목사를 고소하기로 결심했습니다.

[D 양/음성변조 : "저는 ○○까지 그런다는 말에 너무나 충격받고, 그러면 계속 이대로 있으면 더 심하게 애들이 그렇게 당할 수도 있으니까, 그런 생각이 들어서…"]

피해자 조사를 마친 경찰은 A 목사에 대한 구속영장 신청을 검토 중입니다.

KBS 뉴스 최민영입니다.

[앵커]

이 문제 취재한 이호준 기자와 좀 더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우선, 어떻게 해서 이번 취재가 이뤄졌는지, 간단히 설명부터 해주실까요?

[기자]

네, 대안학교 관련 행사에 지원하러 갔던 한 자원봉사자를 통해서 피해자들과 연결이 됐습니다.

피해자들은 이미 변호사를 통해 경찰에 고소장을 접수한 상태였고요.

길게는 5년 동안 문제 삼지 못했던 경우도 있었지만, 앞서 전해드린대로 어린 동생들의 피해 얘기를 전해 듣고, 움직이기로 한 겁니다.

[앵커]

A 목사에 대해선 '아시아의 쉰들러'로 외신에 여러 차례 소개됐다고 전해드렸는데요.

어떤 사람입니까?

[기자]

1999년부터 25년 가까이 북한 주민의 탈북과 정착을 도왔고, 그 숫자가 천명이 넘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앞서 보도에서도 잠깐 언급했는데요.

특히 해외에서 중국 내 탈북 여성들의 성 인권 문제를 집중적으로 제기해 외신에 많이 소개됐습니다.

A 목사의 이런 명성도 위압적으로 느껴졌을 가능성, 있습니다.

[앵커]

A 목사가 탈북 여성들의 성 인권 문제를 제기했었다고요.

탈북 청소년이야말로 성 인권 문제에 있어서 약자 중의 약자 아닙니까?

[기자]

맞습니다.

북한 이탈 여성 중 성희롱·성폭력 피해자 76%가 도움을 요청하지 못했다는 여성가족부 조사도 있는데요.

피해자들은 특히 청소년이고, 부모와 살기 어려운 환경에 놓여 있었다는 게 공통점입니다.

탈북 과정 등에서 부모님이 돌아가신 경우도 있었고요.

아이들이 이곳을 벗어나도 갈 곳이 마땅치 않은 겁니다.

현재 목사가 출국금지까지 됐지만, 아직 기숙사에 남아있는 미성년자도 있는 상황입니다.

[앵커]

마지막으로, 경찰 수사는 지금 어디까지 와있습니까?

[기자]

지난주 압수수색에서 CCTV 자료 등을 확보한 후에 포렌식 작업을 진행 중이고요.

추가 피해자가 있는지도 조심스럽게 확인 중인 걸로 전해졌습니다.

경찰은 고소인들이 미성년자라는 점을 고려해, A 목사를 최대한 신속하게 조사할 방침입니다.

[앵커]

이 기자, 잘 들었습니다.

촬영기자:서원철 최석규 하정현/영상편집:김종선/그래픽:임홍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목사의 ‘그루밍’…“초등생 피해 얘기 듣고 용기”
    • 입력 2023-08-04 21:34:50
    • 수정2023-08-04 21:51:54
    뉴스 9
[앵커]

지금부터는 탈북 청소년을 성추행한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는 A목사 관련 단독 보도, 이어갑니다.

어제(3일) 전해드렸듯 탈북 청소년인 피해자들은 오랜 시간 문제를 제기하지 못했습니다.

A 목사의 지위에 심리적 지배, 이른바 '그루밍' 상태에 놓여 있었던 걸로 보입니다.

하지만 최근 초등학생 정도의 어린 동생들까지 피해를 입었다는 얘기를 듣고, 용기를 냈다고 했습니다.

최민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A 목사의 성추행은 최소 2018년부터 시작된 걸로 경찰은 보고 있습니다.

5년이라는 기간, 피해자들은 불편하고 불쾌한 감정을 스스로 외면하려고 했습니다.

[E 양/음성변조 : "우리를 좋아해서 그랬나봐. 목사님 몰라서 그러나봐, 이해하고, 그냥 바로 잊어버렸어요."]

[D 양/음성변조 : "저한테 그랬던건 그냥 실수고 그냥 예뻐서 (한숨) 그냥 그런가보다…"]

부적절한 접촉을 목격한 피해자의 어머니조차도 항의하지 못했습니다.

[E 양 어머니/음성변조 : "애 어깨를 이렇게 주물럭 하는 걸 제가 몇번을 봤거든요. 저 자체도 (항의를) 못했어요. (딸이) 엄마 학교 오면 아무말도 하지마, 나 목사님 눈밖에 나면 안돼."]

A 목사는 탈북 여성이 성폭력 위험에 쉽게 노출되는 걸 잘 아는 사람이기도 했습니다.

그가 구했다는 탈북민 중에는 중국에서 성폭력 피해를 입은 여성들도 있었습니다.

[이현숙/탁틴내일 아동청소년성폭력상담소장 : "경제적으로나 여러가지 취약하기도 하고, 이런 성희롱이나 성폭력 예방교육이나 이런걸 받았을 가능성도 없고. 오로지 (교장이) 유일하게 의지할 수 있는 사람이라든지."]

묵묵히 참아왔던 피해자들은 최근 10살 남짓한 동생들까지 피해를 입었단 사실을 알고 목사를 고소하기로 결심했습니다.

[D 양/음성변조 : "저는 ○○까지 그런다는 말에 너무나 충격받고, 그러면 계속 이대로 있으면 더 심하게 애들이 그렇게 당할 수도 있으니까, 그런 생각이 들어서…"]

피해자 조사를 마친 경찰은 A 목사에 대한 구속영장 신청을 검토 중입니다.

KBS 뉴스 최민영입니다.

[앵커]

이 문제 취재한 이호준 기자와 좀 더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우선, 어떻게 해서 이번 취재가 이뤄졌는지, 간단히 설명부터 해주실까요?

[기자]

네, 대안학교 관련 행사에 지원하러 갔던 한 자원봉사자를 통해서 피해자들과 연결이 됐습니다.

피해자들은 이미 변호사를 통해 경찰에 고소장을 접수한 상태였고요.

길게는 5년 동안 문제 삼지 못했던 경우도 있었지만, 앞서 전해드린대로 어린 동생들의 피해 얘기를 전해 듣고, 움직이기로 한 겁니다.

[앵커]

A 목사에 대해선 '아시아의 쉰들러'로 외신에 여러 차례 소개됐다고 전해드렸는데요.

어떤 사람입니까?

[기자]

1999년부터 25년 가까이 북한 주민의 탈북과 정착을 도왔고, 그 숫자가 천명이 넘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앞서 보도에서도 잠깐 언급했는데요.

특히 해외에서 중국 내 탈북 여성들의 성 인권 문제를 집중적으로 제기해 외신에 많이 소개됐습니다.

A 목사의 이런 명성도 위압적으로 느껴졌을 가능성, 있습니다.

[앵커]

A 목사가 탈북 여성들의 성 인권 문제를 제기했었다고요.

탈북 청소년이야말로 성 인권 문제에 있어서 약자 중의 약자 아닙니까?

[기자]

맞습니다.

북한 이탈 여성 중 성희롱·성폭력 피해자 76%가 도움을 요청하지 못했다는 여성가족부 조사도 있는데요.

피해자들은 특히 청소년이고, 부모와 살기 어려운 환경에 놓여 있었다는 게 공통점입니다.

탈북 과정 등에서 부모님이 돌아가신 경우도 있었고요.

아이들이 이곳을 벗어나도 갈 곳이 마땅치 않은 겁니다.

현재 목사가 출국금지까지 됐지만, 아직 기숙사에 남아있는 미성년자도 있는 상황입니다.

[앵커]

마지막으로, 경찰 수사는 지금 어디까지 와있습니까?

[기자]

지난주 압수수색에서 CCTV 자료 등을 확보한 후에 포렌식 작업을 진행 중이고요.

추가 피해자가 있는지도 조심스럽게 확인 중인 걸로 전해졌습니다.

경찰은 고소인들이 미성년자라는 점을 고려해, A 목사를 최대한 신속하게 조사할 방침입니다.

[앵커]

이 기자, 잘 들었습니다.

촬영기자:서원철 최석규 하정현/영상편집:김종선/그래픽:임홍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KBS는 올바른 여론 형성을 위해 자유로운 댓글 작성을 지지합니다.
다만 해당 기사는 댓글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자체 논의를 거쳐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