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폐소생술은 기술이 아닌 ‘용기’…멈춘 심장 되살린 영웅들

입력 2023.08.13 (11:44) 수정 2023.08.14 (09: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 11일 제주도소방안전본부 회의실에서 열린 하트세이버 수여식 (제주도소방안전본부 제공)지난 11일 제주도소방안전본부 회의실에서 열린 하트세이버 수여식 (제주도소방안전본부 제공)

"앞으로도 보건교사로서 적극적인 교육을 통해 심폐소생술의 중요성을 알리겠습니다."

지난 11일 제주도소방안전본부 회의실에서 하트세이버 수여식이 열렸습니다.

하트세이버 인증패는 심정지로 생사의 기로에 놓인 환자를 심폐소생술 또는 자동심장충격기 등을 활용해 소생시킨 사람에게 주어집니다.

환자가 병원 도착 전 심전도를 회복하고, 도착 후 72시간 이상 생존해 회복한 경우에 수여됩니다. 말 그대로 '멈춘 심장을 되살린 영웅들'에게 주어지는 상패입니다.

이날 하트세이버를 수여받은 탐라중학교 교사 임수현(26) 씨와 박혜미(36) 씨는 지난 3월 교실에 쓰러진 학생의 생명을 구한 공로를 인정받았습니다.

두 교사는 이른 아침 교실에 쓰러진 여학생을 발견해 심폐소생술을 하고, 제새동을 실시했습니다.

그 사이 119구급대가 출동했고, 학생은 전문응급처치(심장 충격 3회 등) 등을 받으며 병원으로 이송되던 중 자발 순환 회복했습니다.

자발 순환 회복은 심정지 환자가 119구급대원의 심폐소생술(CPR) 등 응급처치를 받고 이송 중이나 병원 도착 전 생체리듬을 회복한 경우를 뜻합니다.

탐라중학교 보건교사로 재직 중인 임수현 씨는 "앞으로도 보건교사로서 적극적인 교육을 통해 심폐소생술의 중요성을 알리고 생명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는 소감을 밝혔습니다.

지난 11일 제주도소방안전본부 회의실에서 열린 하트세이버 수여식 (제주도소방안전본부 제공)지난 11일 제주도소방안전본부 회의실에서 열린 하트세이버 수여식 (제주도소방안전본부 제공)

지난 3월 제주시 삼도일동에서 길가에 쓰러진 70대 노인의 생명을 구한 강민아(25) 씨와 제주소방서 오라119센터 김정희 소방사에게도 하트세이버 인증패가 각각 수여됐습니다.

강 씨는 가슴을 부여잡으며 쓰러지는 노인을 발견한 뒤 곧바로 심폐소생술을 실시했고, 김 소방사는 전문응급처치를 통해 노인의 생명을 구했습니다.

김수환 제주도소방안전본부장은 "심폐소생술은 기술이 아닌 '용기'로 만들어내는 기적"이라며 "타인의 생명을 위해 큰 용기를 낸 시민들이 있기에 소중한 생명을 지켜낼 수 있었던 만큼, 앞으로도 일반인 대상 심폐소생술 교육을 강화해 심정지 환자 골든타임 확보에 앞장서겠다"고 말했습니다.

질병관리청의 '급성 심장 정지조사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발생한 급성 심장정지 환자는 만 7,000여 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가운데 의료인이 아닌 일반인이 급성 심장정지 환자에 심폐소생술을 했을 때 생존율은 11.3%, 그렇지 않은 경우는 5.7%로 절반 가까이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심정지 환자의 골든타임은 4분으로 초기에 뇌에 산소를 공급해야 생존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골든타임을 놓칠 경우 사망하거나 생존해도 영구적인 후유증이 남을 수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폐소생술은 기술이 아닌 ‘용기’…멈춘 심장 되살린 영웅들
    • 입력 2023-08-13 11:44:20
    • 수정2023-08-14 09:12:06
    심층K
지난 11일 제주도소방안전본부 회의실에서 열린 하트세이버 수여식 (제주도소방안전본부 제공)
"앞으로도 보건교사로서 적극적인 교육을 통해 심폐소생술의 중요성을 알리겠습니다."

지난 11일 제주도소방안전본부 회의실에서 하트세이버 수여식이 열렸습니다.

하트세이버 인증패는 심정지로 생사의 기로에 놓인 환자를 심폐소생술 또는 자동심장충격기 등을 활용해 소생시킨 사람에게 주어집니다.

환자가 병원 도착 전 심전도를 회복하고, 도착 후 72시간 이상 생존해 회복한 경우에 수여됩니다. 말 그대로 '멈춘 심장을 되살린 영웅들'에게 주어지는 상패입니다.

이날 하트세이버를 수여받은 탐라중학교 교사 임수현(26) 씨와 박혜미(36) 씨는 지난 3월 교실에 쓰러진 학생의 생명을 구한 공로를 인정받았습니다.

두 교사는 이른 아침 교실에 쓰러진 여학생을 발견해 심폐소생술을 하고, 제새동을 실시했습니다.

그 사이 119구급대가 출동했고, 학생은 전문응급처치(심장 충격 3회 등) 등을 받으며 병원으로 이송되던 중 자발 순환 회복했습니다.

자발 순환 회복은 심정지 환자가 119구급대원의 심폐소생술(CPR) 등 응급처치를 받고 이송 중이나 병원 도착 전 생체리듬을 회복한 경우를 뜻합니다.

탐라중학교 보건교사로 재직 중인 임수현 씨는 "앞으로도 보건교사로서 적극적인 교육을 통해 심폐소생술의 중요성을 알리고 생명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는 소감을 밝혔습니다.

지난 11일 제주도소방안전본부 회의실에서 열린 하트세이버 수여식 (제주도소방안전본부 제공)
지난 3월 제주시 삼도일동에서 길가에 쓰러진 70대 노인의 생명을 구한 강민아(25) 씨와 제주소방서 오라119센터 김정희 소방사에게도 하트세이버 인증패가 각각 수여됐습니다.

강 씨는 가슴을 부여잡으며 쓰러지는 노인을 발견한 뒤 곧바로 심폐소생술을 실시했고, 김 소방사는 전문응급처치를 통해 노인의 생명을 구했습니다.

김수환 제주도소방안전본부장은 "심폐소생술은 기술이 아닌 '용기'로 만들어내는 기적"이라며 "타인의 생명을 위해 큰 용기를 낸 시민들이 있기에 소중한 생명을 지켜낼 수 있었던 만큼, 앞으로도 일반인 대상 심폐소생술 교육을 강화해 심정지 환자 골든타임 확보에 앞장서겠다"고 말했습니다.

질병관리청의 '급성 심장 정지조사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발생한 급성 심장정지 환자는 만 7,000여 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가운데 의료인이 아닌 일반인이 급성 심장정지 환자에 심폐소생술을 했을 때 생존율은 11.3%, 그렇지 않은 경우는 5.7%로 절반 가까이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심정지 환자의 골든타임은 4분으로 초기에 뇌에 산소를 공급해야 생존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골든타임을 놓칠 경우 사망하거나 생존해도 영구적인 후유증이 남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