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여사 트위터 ‘회색마크’ 논란…외교부 “도용 방지용”

입력 2023.08.14 (18: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건희 여사 트위터 계정 캡처.김건희 여사 트위터 계정 캡처.

'윤석열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입니다.'

김건희 여사가 지난 5월 개설한 트위터 계정입니다. 이름 옆에 '회색마크'가 붙어있습니다.

회색마크는 트위터가 부여하는 인증마크 가운데 하나로, 정부 기관과 기관장, 국제기구 관계자임을 인증하는 표시입니다.

영부인 계정이라고 해서 모두 이 '회색마크'를 받는 건 아닌데, 김건희 여사의 계정의 '회색마크'를 두고 일각에서 논란이 일었습니다.

■ "외교부 통해 트위터에 회색마크 요청" 논란

논란이 된 이유는 김건희 여사의 트위터 계정을 개설하면서, 외교부를 통해 트위터 측에 '회색마크'를 요청했다는 점입니다.

대통령실이 외교부에 ' 김 여사가 트위터 계정을 만들려는데 계정 도용 위험이 있으니 공식 인증마크가 필요하다'는 취지를 전달했다는 겁니다.

그 후 외교부가 트위터 코리아에 해당 요청을 전달했고, 한 달이 채 지나지 않아 '인증마크 획득이 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 사실을 한국일보가 보도하면서, 영부인이긴 하지만 ' 국가 원수, 국가 부수반, 내각 구성원, 행정부처의 주요 공식 대변인이나 국회의원' 등 트위터의 '회색마크'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김건희 여사가 외교부를 통해 인증마크를 받은 것이 적절했느냐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 외교부 "도용 위험 노출돼 인증마크 필요하다 판단"

외교부는 " 도용 방지용"이라며 논란이 될 사안이 아니라는 입장입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대통령과 영부인의 트위터 계정이 여러 도용 위험에 노출돼있어 공식 인증마크가 필요하다고 판단돼 관련 절차에 따라 진행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외교부의 요청 이후 트위터 코리아 측에서 '가능하지 않다'는 답변을 준 적도 없고, 무리하게 요청한 적도 없으며, 트위터 측에서 관련된 내부 절차에 따라 검토를 한 뒤 인증해준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우리 공관을 통해 트위터 본사에 '문의를 해보라'는 지시가 있었지만, 그 직후 트위터 코리아 측에서 인증 마크를 달 수 있단 답변이 와 실제로는 본사에 문의한 적도 없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 "영부인 일에 외교부까지 나서나" 일각 논란

이번 논란은 김건희 여사의 활발한 대외활동에 대한 일각의 비판적 시선과 맥이 닿아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대통령 배우자와 관련된 업무는 1972년 박정희 대통령 시절부터 '제2부속실'이 담당해 왔는데, 이는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사라졌습니다.

김건희 여사는 대선 약 3개월 전이었던 2021년 12월, 자신의 허위 이력 의혹이 불거지자 "남편이 대통령이 되는 경우라도 아내의 역할에만 충실하겠다"고 말했고, 대선 이후 공약에 따라 제2부속실은 폐지됐습니다.

대신 김건희 여사 관련 업무는 '배우자 팀'으로 불리는 대통령실 부속실 행정관들이 담당하고, 의전비서관실에도 담당 직원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조용한 내조'를 하겠고 약속했던 만큼, 트위터 계정과 관련한 일에 굳이 외교부가 나서야 했느냐는 논란이 일었는데, 외교부 당국자는 이에 대해 "앞으로 다른 부처에서도 SNS 계정 도용 문제가 있으면 외교부에서 나설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지난달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참석차 리투아니아 빌뉴스를 방문한 김건희 여사. 출처/연합뉴스지난달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참석차 리투아니아 빌뉴스를 방문한 김건희 여사. 출처/연합뉴스

■ 野 "김건희 여사는 민간인" vs 與 "도용 위험 커 외교부 나선 것"

논란이 일자 더불어민주당은 즉각 비판 성명을 냈습니다.

안귀령 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트위터의 회색 마크는 정부 기관이나 인사, 다자간 기구나 관계자에게 주어지는 인증 표시"라며 " 엄밀히 따지면 김건희 여사는 민간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외교부가 대통령도 아닌 대통령 부인의 트위터 계정 개설에 나서야 하는지 모르겠다"며 "김 여사는 회색 마크를 탐하기 전에 본인을 둘러싼 수많은 의혹과 논란을 돌아보기 바란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자 국민의힘도 즉각 반박 논평을 냈습니다.

국민의힘 이민찬 상근부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 도용 위험이 큰 만큼, 외교부가 공식 인증마크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관련 절차를 진행했을 뿐"이라고 반박했습니다.

그러면서 "대통령 부인의 대외활동에 정부 부처가 나서는 게 어떤 문제가 있다는 것인지, 민주당의 정치공세에는 어떤 근거도 논리도 찾아볼 수 없다"고 맞받았습니다.

'김건희 여사는 민간인'이라는 민주당의 지적에는 "공사 구분조차 못 하는 인식 수준이 경악스럽다"고 비판했습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오늘(14일) 기자들과 만나 "대선 과정에서 대통령이나 영부인에 대한 계정 도용이나 유사 사이트에 사람들을 유입하려는 노력들이 있었다"며 "그걸 방지하려는 조치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김건희 여사 트위터 ‘회색마크’ 논란…외교부 “도용 방지용”
    • 입력 2023-08-14 18:38:51
    심층K
김건희 여사 트위터 계정 캡처.
'윤석열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입니다.'

김건희 여사가 지난 5월 개설한 트위터 계정입니다. 이름 옆에 '회색마크'가 붙어있습니다.

회색마크는 트위터가 부여하는 인증마크 가운데 하나로, 정부 기관과 기관장, 국제기구 관계자임을 인증하는 표시입니다.

영부인 계정이라고 해서 모두 이 '회색마크'를 받는 건 아닌데, 김건희 여사의 계정의 '회색마크'를 두고 일각에서 논란이 일었습니다.

■ "외교부 통해 트위터에 회색마크 요청" 논란

논란이 된 이유는 김건희 여사의 트위터 계정을 개설하면서, 외교부를 통해 트위터 측에 '회색마크'를 요청했다는 점입니다.

대통령실이 외교부에 ' 김 여사가 트위터 계정을 만들려는데 계정 도용 위험이 있으니 공식 인증마크가 필요하다'는 취지를 전달했다는 겁니다.

그 후 외교부가 트위터 코리아에 해당 요청을 전달했고, 한 달이 채 지나지 않아 '인증마크 획득이 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 사실을 한국일보가 보도하면서, 영부인이긴 하지만 ' 국가 원수, 국가 부수반, 내각 구성원, 행정부처의 주요 공식 대변인이나 국회의원' 등 트위터의 '회색마크'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김건희 여사가 외교부를 통해 인증마크를 받은 것이 적절했느냐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 외교부 "도용 위험 노출돼 인증마크 필요하다 판단"

외교부는 " 도용 방지용"이라며 논란이 될 사안이 아니라는 입장입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대통령과 영부인의 트위터 계정이 여러 도용 위험에 노출돼있어 공식 인증마크가 필요하다고 판단돼 관련 절차에 따라 진행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외교부의 요청 이후 트위터 코리아 측에서 '가능하지 않다'는 답변을 준 적도 없고, 무리하게 요청한 적도 없으며, 트위터 측에서 관련된 내부 절차에 따라 검토를 한 뒤 인증해준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우리 공관을 통해 트위터 본사에 '문의를 해보라'는 지시가 있었지만, 그 직후 트위터 코리아 측에서 인증 마크를 달 수 있단 답변이 와 실제로는 본사에 문의한 적도 없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 "영부인 일에 외교부까지 나서나" 일각 논란

이번 논란은 김건희 여사의 활발한 대외활동에 대한 일각의 비판적 시선과 맥이 닿아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대통령 배우자와 관련된 업무는 1972년 박정희 대통령 시절부터 '제2부속실'이 담당해 왔는데, 이는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사라졌습니다.

김건희 여사는 대선 약 3개월 전이었던 2021년 12월, 자신의 허위 이력 의혹이 불거지자 "남편이 대통령이 되는 경우라도 아내의 역할에만 충실하겠다"고 말했고, 대선 이후 공약에 따라 제2부속실은 폐지됐습니다.

대신 김건희 여사 관련 업무는 '배우자 팀'으로 불리는 대통령실 부속실 행정관들이 담당하고, 의전비서관실에도 담당 직원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조용한 내조'를 하겠고 약속했던 만큼, 트위터 계정과 관련한 일에 굳이 외교부가 나서야 했느냐는 논란이 일었는데, 외교부 당국자는 이에 대해 "앞으로 다른 부처에서도 SNS 계정 도용 문제가 있으면 외교부에서 나설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지난달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참석차 리투아니아 빌뉴스를 방문한 김건희 여사. 출처/연합뉴스
■ 野 "김건희 여사는 민간인" vs 與 "도용 위험 커 외교부 나선 것"

논란이 일자 더불어민주당은 즉각 비판 성명을 냈습니다.

안귀령 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트위터의 회색 마크는 정부 기관이나 인사, 다자간 기구나 관계자에게 주어지는 인증 표시"라며 " 엄밀히 따지면 김건희 여사는 민간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외교부가 대통령도 아닌 대통령 부인의 트위터 계정 개설에 나서야 하는지 모르겠다"며 "김 여사는 회색 마크를 탐하기 전에 본인을 둘러싼 수많은 의혹과 논란을 돌아보기 바란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자 국민의힘도 즉각 반박 논평을 냈습니다.

국민의힘 이민찬 상근부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 도용 위험이 큰 만큼, 외교부가 공식 인증마크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관련 절차를 진행했을 뿐"이라고 반박했습니다.

그러면서 "대통령 부인의 대외활동에 정부 부처가 나서는 게 어떤 문제가 있다는 것인지, 민주당의 정치공세에는 어떤 근거도 논리도 찾아볼 수 없다"고 맞받았습니다.

'김건희 여사는 민간인'이라는 민주당의 지적에는 "공사 구분조차 못 하는 인식 수준이 경악스럽다"고 비판했습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오늘(14일) 기자들과 만나 "대선 과정에서 대통령이나 영부인에 대한 계정 도용이나 유사 사이트에 사람들을 유입하려는 노력들이 있었다"며 "그걸 방지하려는 조치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