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크웹’ 통해 마약 유통 일당…잡고 보니 평범한 이웃들
입력 2023.08.14 (19:13)
수정 2023.08.14 (19: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접근이 어려운 이른바 온라인 '다크웹' 등을 통해 마약을 유통시킨 일당이 경찰에 무더기로 붙잡혔습니다.
붙잡힌 상당수는 회사원이나 쇼핑몰 운영자 등 마약 전과가 없는 평범한 사람들이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김영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 남성이 건물 안으로 들어가더니 30초 뒤에 나옵니다.
밖으로 나오자마자 휴대전화에 무언가를 적고 유유히 거리를 빠져나갑니다.
우편함, 창틀 등에 마약을 놓아두는 이른바 '던지기'를 한 뒤, 구매자들에게 해당 장소를 보내주는겁니다.
경찰에 붙잡힌 마약 판매자 6명은 2020년부터 최근까지 필로폰 등 8종 마약을 국내에 유통시킨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판매자와 구매자는 암호화 등으로 접근이 어려운 별도의 네트워크, 이른바 '다크웹'으로 추적을 피하려 했고, 가상자산을 거래에 이용했습니다.
특히 주요 판매자 다수는 인터넷 쇼핑몰이나 식당을 운영하는 등 평범한 시민들이었고, 투약 혐의 등으로 검거된 302명 가운데 초범이 80%를 넘었습니다.
[강선봉/서울경찰청 마약범죄수사대 2계장 : "(검거된 마약 유통·투약 사범은) 우리 주변의 평범한 사람들로 쉽게 돈을 벌 수 있다고 믿고 판매자로 나선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마약을 조달받은 구매자 가운데는 단순 투약자로 시작했다가, 지인들에게 마약을 판매하는 중간 유통상 역할까지 한 피의자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마약 매수자로 구속된 한 40대 회사원은 SNS에 대마 합법화를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허가받은 대마 재배지를 찾아가 '자녀의 치료에 필요하다'고 속인 뒤 대마초를 무상으로 받아가 흡연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경찰은 마약 판매자와 매수자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며 마약 범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김영훈입니다.
접근이 어려운 이른바 온라인 '다크웹' 등을 통해 마약을 유통시킨 일당이 경찰에 무더기로 붙잡혔습니다.
붙잡힌 상당수는 회사원이나 쇼핑몰 운영자 등 마약 전과가 없는 평범한 사람들이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김영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 남성이 건물 안으로 들어가더니 30초 뒤에 나옵니다.
밖으로 나오자마자 휴대전화에 무언가를 적고 유유히 거리를 빠져나갑니다.
우편함, 창틀 등에 마약을 놓아두는 이른바 '던지기'를 한 뒤, 구매자들에게 해당 장소를 보내주는겁니다.
경찰에 붙잡힌 마약 판매자 6명은 2020년부터 최근까지 필로폰 등 8종 마약을 국내에 유통시킨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판매자와 구매자는 암호화 등으로 접근이 어려운 별도의 네트워크, 이른바 '다크웹'으로 추적을 피하려 했고, 가상자산을 거래에 이용했습니다.
특히 주요 판매자 다수는 인터넷 쇼핑몰이나 식당을 운영하는 등 평범한 시민들이었고, 투약 혐의 등으로 검거된 302명 가운데 초범이 80%를 넘었습니다.
[강선봉/서울경찰청 마약범죄수사대 2계장 : "(검거된 마약 유통·투약 사범은) 우리 주변의 평범한 사람들로 쉽게 돈을 벌 수 있다고 믿고 판매자로 나선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마약을 조달받은 구매자 가운데는 단순 투약자로 시작했다가, 지인들에게 마약을 판매하는 중간 유통상 역할까지 한 피의자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마약 매수자로 구속된 한 40대 회사원은 SNS에 대마 합법화를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허가받은 대마 재배지를 찾아가 '자녀의 치료에 필요하다'고 속인 뒤 대마초를 무상으로 받아가 흡연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경찰은 마약 판매자와 매수자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며 마약 범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김영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다크웹’ 통해 마약 유통 일당…잡고 보니 평범한 이웃들
-
- 입력 2023-08-14 19:13:55
- 수정2023-08-14 19:43:07

[앵커]
접근이 어려운 이른바 온라인 '다크웹' 등을 통해 마약을 유통시킨 일당이 경찰에 무더기로 붙잡혔습니다.
붙잡힌 상당수는 회사원이나 쇼핑몰 운영자 등 마약 전과가 없는 평범한 사람들이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김영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 남성이 건물 안으로 들어가더니 30초 뒤에 나옵니다.
밖으로 나오자마자 휴대전화에 무언가를 적고 유유히 거리를 빠져나갑니다.
우편함, 창틀 등에 마약을 놓아두는 이른바 '던지기'를 한 뒤, 구매자들에게 해당 장소를 보내주는겁니다.
경찰에 붙잡힌 마약 판매자 6명은 2020년부터 최근까지 필로폰 등 8종 마약을 국내에 유통시킨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판매자와 구매자는 암호화 등으로 접근이 어려운 별도의 네트워크, 이른바 '다크웹'으로 추적을 피하려 했고, 가상자산을 거래에 이용했습니다.
특히 주요 판매자 다수는 인터넷 쇼핑몰이나 식당을 운영하는 등 평범한 시민들이었고, 투약 혐의 등으로 검거된 302명 가운데 초범이 80%를 넘었습니다.
[강선봉/서울경찰청 마약범죄수사대 2계장 : "(검거된 마약 유통·투약 사범은) 우리 주변의 평범한 사람들로 쉽게 돈을 벌 수 있다고 믿고 판매자로 나선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마약을 조달받은 구매자 가운데는 단순 투약자로 시작했다가, 지인들에게 마약을 판매하는 중간 유통상 역할까지 한 피의자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마약 매수자로 구속된 한 40대 회사원은 SNS에 대마 합법화를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허가받은 대마 재배지를 찾아가 '자녀의 치료에 필요하다'고 속인 뒤 대마초를 무상으로 받아가 흡연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경찰은 마약 판매자와 매수자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며 마약 범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김영훈입니다.
접근이 어려운 이른바 온라인 '다크웹' 등을 통해 마약을 유통시킨 일당이 경찰에 무더기로 붙잡혔습니다.
붙잡힌 상당수는 회사원이나 쇼핑몰 운영자 등 마약 전과가 없는 평범한 사람들이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김영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 남성이 건물 안으로 들어가더니 30초 뒤에 나옵니다.
밖으로 나오자마자 휴대전화에 무언가를 적고 유유히 거리를 빠져나갑니다.
우편함, 창틀 등에 마약을 놓아두는 이른바 '던지기'를 한 뒤, 구매자들에게 해당 장소를 보내주는겁니다.
경찰에 붙잡힌 마약 판매자 6명은 2020년부터 최근까지 필로폰 등 8종 마약을 국내에 유통시킨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판매자와 구매자는 암호화 등으로 접근이 어려운 별도의 네트워크, 이른바 '다크웹'으로 추적을 피하려 했고, 가상자산을 거래에 이용했습니다.
특히 주요 판매자 다수는 인터넷 쇼핑몰이나 식당을 운영하는 등 평범한 시민들이었고, 투약 혐의 등으로 검거된 302명 가운데 초범이 80%를 넘었습니다.
[강선봉/서울경찰청 마약범죄수사대 2계장 : "(검거된 마약 유통·투약 사범은) 우리 주변의 평범한 사람들로 쉽게 돈을 벌 수 있다고 믿고 판매자로 나선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마약을 조달받은 구매자 가운데는 단순 투약자로 시작했다가, 지인들에게 마약을 판매하는 중간 유통상 역할까지 한 피의자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마약 매수자로 구속된 한 40대 회사원은 SNS에 대마 합법화를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허가받은 대마 재배지를 찾아가 '자녀의 치료에 필요하다'고 속인 뒤 대마초를 무상으로 받아가 흡연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경찰은 마약 판매자와 매수자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며 마약 범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김영훈입니다.
-
-
김영훈 기자 huni@kbs.co.kr
김영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