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살아난 유관순·안중근…직접 전하는 독립정신의 뜻

입력 2023.08.15 (21:31) 수정 2023.08.15 (22: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렇게 흑백 사진으로만 접하던 유관순 열사와 안중근 의사가 AI 기술을 입고, 생동감 있는 모습으로 태어났습니다.

광복절을 맞아 두 분이 말하는 독립 정신, 직접 들어보시죠.

조정인 기자입니다.

[리포트]

빛바랜 사진 속 안중근 의사의 얼굴에 혈색이 입혀지고, 다양한 표정을 짓기 시작합니다.

수형 생활 중이던 서른 살 청년의 슬픈 눈매.

조국 독립에 대한 간절한 염원 역시 더 또렷하게 전해집니다.

["대한독립의 소리가 천국에 들려오면 나는 마땅히 춤을 추고 만세를 부를 것이다."]

17살의 앳된 얼굴이 더 선명해진 유관순 열사는 모진 고문에도 꺾이지 않던 마음을 이야기합니다.

["내가 만세를 외친 것은 우리나라를 되찾기 위한 정당한 행동이었습니다."]

인공지능으로 재탄생한 두 독립운동가의 영상이 광복절을 맞아 독립기념관에 공개됐습니다.

독립운동가에게 직접 듣는 숭고한 마음은, 사진이나 글로만 볼 때와는 또 다른 감흥을 줍니다.

[강지형/충남 천안시 : "희생과 의지, 또 그분들이 더 겪었을 아픔 그런 부분들이 좀 더 느껴지고..."]

독립기념관은 국내 기업과 손잡고 지난 4년간 200여 점의 사진과 문서를 AI 기술로 복원했습니다.

[나태영/SKT 미디어 AI팀장 : "유관순 열사님 같은 경우에는 수형 번호가 사진 겉면에 적혀 있는 채로 스캔이 돼 있었어요. 그것을 삭제하고 그 부분을 또 적절한 옷감으로 채워 넣어서 자연스럽게 만드는…"]

쉽고 생동감 있는 전시가 가능해졌고, 그동안 파손 우려 등으로 내놓지 못한 자료도 선보일 수 있게 됐습니다.

[한시준/독립기념관장 : "(AI를 활용해) 일반 국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래서 독립운동에 대해서 더 깊은 이해를 가질 수 있도록 계기를 마련하려고 합니다."]

광복 78년 만에 사진 속에서 다시 살아난 독립운동가들.

앞으로 더 많은 순국선열이 AI로 재탄생해 독립의 의미를 전달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조정인입니다.

촬영기자:문아미/영상편집:이태희/영상제공:SK텔레콤/음악:유튜브 OTHANKQ/그래픽: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되살아난 유관순·안중근…직접 전하는 독립정신의 뜻
    • 입력 2023-08-15 21:31:28
    • 수정2023-08-15 22:13:24
    뉴스 9
[앵커]

이렇게 흑백 사진으로만 접하던 유관순 열사와 안중근 의사가 AI 기술을 입고, 생동감 있는 모습으로 태어났습니다.

광복절을 맞아 두 분이 말하는 독립 정신, 직접 들어보시죠.

조정인 기자입니다.

[리포트]

빛바랜 사진 속 안중근 의사의 얼굴에 혈색이 입혀지고, 다양한 표정을 짓기 시작합니다.

수형 생활 중이던 서른 살 청년의 슬픈 눈매.

조국 독립에 대한 간절한 염원 역시 더 또렷하게 전해집니다.

["대한독립의 소리가 천국에 들려오면 나는 마땅히 춤을 추고 만세를 부를 것이다."]

17살의 앳된 얼굴이 더 선명해진 유관순 열사는 모진 고문에도 꺾이지 않던 마음을 이야기합니다.

["내가 만세를 외친 것은 우리나라를 되찾기 위한 정당한 행동이었습니다."]

인공지능으로 재탄생한 두 독립운동가의 영상이 광복절을 맞아 독립기념관에 공개됐습니다.

독립운동가에게 직접 듣는 숭고한 마음은, 사진이나 글로만 볼 때와는 또 다른 감흥을 줍니다.

[강지형/충남 천안시 : "희생과 의지, 또 그분들이 더 겪었을 아픔 그런 부분들이 좀 더 느껴지고..."]

독립기념관은 국내 기업과 손잡고 지난 4년간 200여 점의 사진과 문서를 AI 기술로 복원했습니다.

[나태영/SKT 미디어 AI팀장 : "유관순 열사님 같은 경우에는 수형 번호가 사진 겉면에 적혀 있는 채로 스캔이 돼 있었어요. 그것을 삭제하고 그 부분을 또 적절한 옷감으로 채워 넣어서 자연스럽게 만드는…"]

쉽고 생동감 있는 전시가 가능해졌고, 그동안 파손 우려 등으로 내놓지 못한 자료도 선보일 수 있게 됐습니다.

[한시준/독립기념관장 : "(AI를 활용해) 일반 국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래서 독립운동에 대해서 더 깊은 이해를 가질 수 있도록 계기를 마련하려고 합니다."]

광복 78년 만에 사진 속에서 다시 살아난 독립운동가들.

앞으로 더 많은 순국선열이 AI로 재탄생해 독립의 의미를 전달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조정인입니다.

촬영기자:문아미/영상편집:이태희/영상제공:SK텔레콤/음악:유튜브 OTHANKQ/그래픽:박미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