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가야, 숨 좀 쉬렴”…죽은 새끼 업고 다닌 돌고래의 모성애

입력 2023.08.17 (07: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얀 돌고래 사체가 바다 위에 떠 있습니다. 머지않아 남방큰돌고래가 나타나더니 사체를 등에 태운 채 헤엄쳐 갑니다.

어미 돌고래가 숨진 새끼 돌고래를 수면 위로 들어 올리는 장면입니다.

자신의 몸에서 새끼 사체가 떨어지면, 다시 그 자리로 돌아와 새끼를 주둥이 위에 얹거나 등에 업고 유영하기를 반복합니다.

이들이 발견된 건 지난 15일 정오쯤. 제주도 서귀포시 대정읍 무릉리 인근 해상을 지나던 한 시민이 "돌고래가 폐그물에 걸린 채 이동하고 있다"고 해경에 신고했습니다.

구조에 나선 해경은 폐그물을 절단하기 위해 돌고래에게 다가갔습니다.


그런데 돌고래를 감싸고 있던 건 폐그물이 아닌 몸길이 1미터 남짓의 돌고래 사체였습니다. 어미 돌고래가 등과 앞 지느러미 사이에 새끼 돌고래를 업고 있던 겁니다.

새끼 돌고래 사체는 형체를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부패한 상태였습니다.

어미 돌고래는 구조대원이 다가가자 죽은 새끼를 빼앗기지 않으려는 듯 업고 있던 새끼를 이리저리 옮기며 이동했습니다.

해경은 돌고래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더는 따라가지 않았습니다.

제주 해상에서 어미 돌고래가 죽은 새끼 돌고래를 포기하지 않는 장면이 목격된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제주대 돌고래연구팀은 지난 3월과 5월에도 서귀포시 대정읍 일대 해상에서 비슷한 장면을 목격했습니다.

김병엽 제주대 돌고래연구팀 교수는 "돌고래는 본질적으로 물에 가라앉으면 죽는 걸 안다"며 "사람이 쓰러지면 심폐소생술을 하는 것처럼 죽어가는 새끼를 수면 위로 올려 숨 쉬게 하려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돌고래는 사람처럼 포유류로, 허파로 숨을 쉽니다. 아가미로 호흡하는 다른 수생 동물과는 달리 수면 밖으로 나와, 대기 중에서 숨을 쉬어야 살 수 있습니다.

어미 뱃속에서 태어난 직후엔 유영 능력이 떨어져 수면 위로 잘 올라가지 못 하는데, 어미 돌고래가 주둥이로 새끼를 들쳐 등 쪽에 올리는 이유도 바로 새끼가 숨을 쉬는 것을 돕기 위한 행동입니다.

남방큰돌고래는 태어난 새끼를 2년간 옆에 붙어 보살피는 등 모성애가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화면제공: 제주대 돌고래연구팀·다큐제주, 서귀포해양경찰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아가야, 숨 좀 쉬렴”…죽은 새끼 업고 다닌 돌고래의 모성애
    • 입력 2023-08-17 07:00:13
    심층K

하얀 돌고래 사체가 바다 위에 떠 있습니다. 머지않아 남방큰돌고래가 나타나더니 사체를 등에 태운 채 헤엄쳐 갑니다.

어미 돌고래가 숨진 새끼 돌고래를 수면 위로 들어 올리는 장면입니다.

자신의 몸에서 새끼 사체가 떨어지면, 다시 그 자리로 돌아와 새끼를 주둥이 위에 얹거나 등에 업고 유영하기를 반복합니다.

이들이 발견된 건 지난 15일 정오쯤. 제주도 서귀포시 대정읍 무릉리 인근 해상을 지나던 한 시민이 "돌고래가 폐그물에 걸린 채 이동하고 있다"고 해경에 신고했습니다.

구조에 나선 해경은 폐그물을 절단하기 위해 돌고래에게 다가갔습니다.


그런데 돌고래를 감싸고 있던 건 폐그물이 아닌 몸길이 1미터 남짓의 돌고래 사체였습니다. 어미 돌고래가 등과 앞 지느러미 사이에 새끼 돌고래를 업고 있던 겁니다.

새끼 돌고래 사체는 형체를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부패한 상태였습니다.

어미 돌고래는 구조대원이 다가가자 죽은 새끼를 빼앗기지 않으려는 듯 업고 있던 새끼를 이리저리 옮기며 이동했습니다.

해경은 돌고래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더는 따라가지 않았습니다.

제주 해상에서 어미 돌고래가 죽은 새끼 돌고래를 포기하지 않는 장면이 목격된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제주대 돌고래연구팀은 지난 3월과 5월에도 서귀포시 대정읍 일대 해상에서 비슷한 장면을 목격했습니다.

김병엽 제주대 돌고래연구팀 교수는 "돌고래는 본질적으로 물에 가라앉으면 죽는 걸 안다"며 "사람이 쓰러지면 심폐소생술을 하는 것처럼 죽어가는 새끼를 수면 위로 올려 숨 쉬게 하려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돌고래는 사람처럼 포유류로, 허파로 숨을 쉽니다. 아가미로 호흡하는 다른 수생 동물과는 달리 수면 밖으로 나와, 대기 중에서 숨을 쉬어야 살 수 있습니다.

어미 뱃속에서 태어난 직후엔 유영 능력이 떨어져 수면 위로 잘 올라가지 못 하는데, 어미 돌고래가 주둥이로 새끼를 들쳐 등 쪽에 올리는 이유도 바로 새끼가 숨을 쉬는 것을 돕기 위한 행동입니다.

남방큰돌고래는 태어난 새끼를 2년간 옆에 붙어 보살피는 등 모성애가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화면제공: 제주대 돌고래연구팀·다큐제주, 서귀포해양경찰서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