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속 ‘12시간 근무’ 골프장 캐디…“기절·화상이 일상”

입력 2023.08.20 (21:27) 수정 2023.08.21 (10: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입추가 지나고도 폭염 특보가 계속되는 요즘, 땡볕 아래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여전히 안전을 위협받고 있습니다.

골프장 캐디들도 열악한 환경 속에서 폭염을 견디고 있는데요.

일하다 쓰러지는가 하면 화상을 입는 경우도 있다는데, 이들이 처한 상황을 이유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폭염주의보가 내려진 날, 골프장에선 한낮에도 라운딩이 이어집니다.

모자를 눌러쓴 채 분주히 오가는 여성, 캐디입니다.

해가 일찍 뜨는 여름철엔 예약 고객이 늘어 캐디도 하루 두 라운드, 12시간 근무가 기본입니다.

[골프장 캐디 : "폭염에는 일주일에 투 라운드를 한 네다섯 번 했던 것 같아요. 투투투, 원, 투투 뭐 이런 식으로."]

이들의 '노동 환경'은 어떨까.

열화상 카메라로 훑어본 골프장 필드 위는 온통 붉은색, 35도에서 40도를 오갑니다.

지열까지 더해지면 체감 온도는 더 올라갑니다.

지금 이곳의 바닥 온도는 섭씨 44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폭염특보가 발효된 중이지만, 여전히 현장에서는 계속 일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렇게 폭염을 견디며 일하던 캐디 조 모 씨는 이달 초 골프장에서 쓰러졌습니다.

이미 온열 질환 증세가 있었지만 선택지가 없었습니다.

[조 모 씨/20년 차 캐디 : "잠깐 3~4분 동안 졸도한 것 같아요. 안과에선 시신경이 손상이 많이 돼 있대요. 너무 뜨겁게 자외선에 노출되어 있어 가지고…"]

땡볕과 지열에 화상을 입는 경우도 많습니다.

[송현진/25년 차 캐디 : "계속 며칠을 (햇볕을) 쬐면서 다녔는데 갑자기 얼굴이 빨갛게 부어오르기 시작하면서 열이 나더라고요."]

폭염 노출 노동자에겐 휴식 시간 등을 보장하라는 게 산업안전보건규칙.

하지만 권고 규정이어서 인력 사정 등을 이유로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주영/전국여성노조 상록CC 분회장 : "40분 근무하고 10분을 쉰다거나 그런 권고 사항이 있는데, 저희는 근무 환경상 그렇게 할 수 있는 게 아니거든요."]

지난달 충남의 한 골프장에서는 40대 캐디가 폭염 속에서 일하다 쓰러져 보름여 만에 사망하기도 했습니다.

그늘막과 얼음팩, 캐디 노동조합이 요구하는 최소한의 폭염 안전 장치입니다.

KBS 뉴스 이유민입니다.

촬영기자:황종원/영상편집:김형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폭염 속 ‘12시간 근무’ 골프장 캐디…“기절·화상이 일상”
    • 입력 2023-08-20 21:27:52
    • 수정2023-08-21 10:52:18
    뉴스 9
[앵커]

입추가 지나고도 폭염 특보가 계속되는 요즘, 땡볕 아래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여전히 안전을 위협받고 있습니다.

골프장 캐디들도 열악한 환경 속에서 폭염을 견디고 있는데요.

일하다 쓰러지는가 하면 화상을 입는 경우도 있다는데, 이들이 처한 상황을 이유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폭염주의보가 내려진 날, 골프장에선 한낮에도 라운딩이 이어집니다.

모자를 눌러쓴 채 분주히 오가는 여성, 캐디입니다.

해가 일찍 뜨는 여름철엔 예약 고객이 늘어 캐디도 하루 두 라운드, 12시간 근무가 기본입니다.

[골프장 캐디 : "폭염에는 일주일에 투 라운드를 한 네다섯 번 했던 것 같아요. 투투투, 원, 투투 뭐 이런 식으로."]

이들의 '노동 환경'은 어떨까.

열화상 카메라로 훑어본 골프장 필드 위는 온통 붉은색, 35도에서 40도를 오갑니다.

지열까지 더해지면 체감 온도는 더 올라갑니다.

지금 이곳의 바닥 온도는 섭씨 44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폭염특보가 발효된 중이지만, 여전히 현장에서는 계속 일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렇게 폭염을 견디며 일하던 캐디 조 모 씨는 이달 초 골프장에서 쓰러졌습니다.

이미 온열 질환 증세가 있었지만 선택지가 없었습니다.

[조 모 씨/20년 차 캐디 : "잠깐 3~4분 동안 졸도한 것 같아요. 안과에선 시신경이 손상이 많이 돼 있대요. 너무 뜨겁게 자외선에 노출되어 있어 가지고…"]

땡볕과 지열에 화상을 입는 경우도 많습니다.

[송현진/25년 차 캐디 : "계속 며칠을 (햇볕을) 쬐면서 다녔는데 갑자기 얼굴이 빨갛게 부어오르기 시작하면서 열이 나더라고요."]

폭염 노출 노동자에겐 휴식 시간 등을 보장하라는 게 산업안전보건규칙.

하지만 권고 규정이어서 인력 사정 등을 이유로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주영/전국여성노조 상록CC 분회장 : "40분 근무하고 10분을 쉰다거나 그런 권고 사항이 있는데, 저희는 근무 환경상 그렇게 할 수 있는 게 아니거든요."]

지난달 충남의 한 골프장에서는 40대 캐디가 폭염 속에서 일하다 쓰러져 보름여 만에 사망하기도 했습니다.

그늘막과 얼음팩, 캐디 노동조합이 요구하는 최소한의 폭염 안전 장치입니다.

KBS 뉴스 이유민입니다.

촬영기자:황종원/영상편집:김형균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