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뉴스K] 달에 물이 있다?…남극에 착륙하려는 이유

입력 2023.08.22 (12:39) 수정 2023.08.22 (12: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인류의 달 탐사, 달 표면에 발을 딛은지 60년이 지났지만, 달은 여전히 미지의 공간입니다.

최근 우주 강국들이 다시 달 착륙에 도전하는데요.

특히 이번엔, 달의 남극입니다. 이유가 무엇일까요?

친절한뉴스, 오승목 기자가 설명해드립니다.

[리포트]

1년 전, 우리나라는 탐사선 다누리를 달로 보냈죠.

달 궤도에 무사히 도착해, 지금도 하루 열두 번씩 달 주위를 돌며 지구로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달의 뒷면을 찍은 사진을 이렇게 공개하기도 했죠.

달의 뒷면은 지구에서 볼 수 없어 인류에겐 늘 신비로운 곳이기도 합니다.

그래서일까요?

달을 향한 인류의 도전.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러시아는 지난 11일 달 탐사선 '루나 25호'를 쏘아 올렸습니다.

16일 궤도 진입에 성공했고, 어제죠, 21일 '인류 최초'로 달 남극에 착륙하는 게 목표였는데요.

[유리 보리소프/러시아 연방우주공사 사장/지난 11일 : "러시아가 인류 최초가 되면 좋겠습니다. 달 남극에서 물이 발견되면 매우 중요한 일이 생길지 모릅니다. 달 기지 건설 가능성입니다."]

하지만 예정일 하루 앞두고, 착륙에 실패했습니다.

러시아 연방우주공사 공식 발표에 따르면, 탐사선 루나 25호가 운석과 충돌한 게 원인이었습니다.

러시아의 달 탐사, 옛 소련 시절인 1976년 이후 47년 만입니다.

탐사선 '루나'라는 이름도 냉전 시절 미국의 '아폴로 계획'과 경쟁했던 소련의 '루나 계획'을 계승한거죠.

하지만 실패했죠.

다음 타자, 인돕니다.

인도의 '찬드라얀 3호'.

지난달 발사해 내일 달 남극에 착륙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다른 경로로 접근해 인류 최초 타이틀을 거머쥐겠다는 목푭니다.

중국도 내년에 달 남극 탐사선 '창어 6호와 7호'를 발사할 예정이고요.

60년 전 인류 최초로 달에 착륙했던 나라가 미국이죠.

달 남극에 탐사선이 아닌 아예 우주비행사 두 명을 보내 직접 탐사한다는 계획입니다.

글로벌 경기 위축에도, 주요 국가들이 달 선점에 경쟁적으로 애를 쓰고 있는 겁니다.

2008년 인도의 달 궤도 탐사선 '찬드라얀 1호'가 보낸 사진에서, 무한한 가능성을 본 뒤부텁니다.

이번에 러시아가 실패한 '루나 25호'가 착륙하려던 곳은 달 남극 표면의 보구슬라우스키라는 분화구 북쪽입니다.

1년 동안 물을 포함한 달의 자원을 탐사하는 게 주요 임무였죠.

달 남극 주변 물과 얼음의 양이 38억 리터라는 추산도 나옵니다.

얼음을 녹여 식수를 얻고, 또 물을 분해해 사람 호흡에 필요한 산소를 만든다면, 장기 체류가 가능해 지는 거죠.

달에는 대기가 없어 통상 일교차가 300도에 달하지만, 달의 남극은 일교차가 10도가량에 불과하다는 점도 큰 장점입니다.

우주비행사나 우주선, 기지들이 극한의 기온에 노출되지 않는 거죠.

경제적인 이득도 노릴 수 있습니다.

핵융합 원료인 헬륨-3, 희토류, 우라늄, 백금과 수은 등 희귀 자원 역시 풍부합니다.

스마트폰 만들 때 쓰이는 원자재로 요즈음 미·중 간 경쟁이 치열하죠.

이뿐만이 아닙니다.

달의 중력은 지구의 6분의 1.

그만큼 로켓 발사에 드는 비용도 대폭 줄일 수 있습니다.

로켓 연료로 쓸 수 있는 수소도 달 남극의 물을 분해해 얻는다면, 화성을 비롯한 심우주 진출을 위한 중간 기지가 될 수 있는 거죠.

인간이 살 기지, 자원의 보고, 심우주 탐사 교두보, 달 남극이 가진 가치입니다.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기 위한 우주 강국들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우리나라도 뒤 쳐질 순 없겠죠?

KBS 뉴스 오승목입니다.

영상편집:신선미/그래픽:민세홍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친절한 뉴스K] 달에 물이 있다?…남극에 착륙하려는 이유
    • 입력 2023-08-22 12:39:09
    • 수정2023-08-22 12:52:46
    뉴스 12
[앵커]

인류의 달 탐사, 달 표면에 발을 딛은지 60년이 지났지만, 달은 여전히 미지의 공간입니다.

최근 우주 강국들이 다시 달 착륙에 도전하는데요.

특히 이번엔, 달의 남극입니다. 이유가 무엇일까요?

친절한뉴스, 오승목 기자가 설명해드립니다.

[리포트]

1년 전, 우리나라는 탐사선 다누리를 달로 보냈죠.

달 궤도에 무사히 도착해, 지금도 하루 열두 번씩 달 주위를 돌며 지구로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달의 뒷면을 찍은 사진을 이렇게 공개하기도 했죠.

달의 뒷면은 지구에서 볼 수 없어 인류에겐 늘 신비로운 곳이기도 합니다.

그래서일까요?

달을 향한 인류의 도전.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러시아는 지난 11일 달 탐사선 '루나 25호'를 쏘아 올렸습니다.

16일 궤도 진입에 성공했고, 어제죠, 21일 '인류 최초'로 달 남극에 착륙하는 게 목표였는데요.

[유리 보리소프/러시아 연방우주공사 사장/지난 11일 : "러시아가 인류 최초가 되면 좋겠습니다. 달 남극에서 물이 발견되면 매우 중요한 일이 생길지 모릅니다. 달 기지 건설 가능성입니다."]

하지만 예정일 하루 앞두고, 착륙에 실패했습니다.

러시아 연방우주공사 공식 발표에 따르면, 탐사선 루나 25호가 운석과 충돌한 게 원인이었습니다.

러시아의 달 탐사, 옛 소련 시절인 1976년 이후 47년 만입니다.

탐사선 '루나'라는 이름도 냉전 시절 미국의 '아폴로 계획'과 경쟁했던 소련의 '루나 계획'을 계승한거죠.

하지만 실패했죠.

다음 타자, 인돕니다.

인도의 '찬드라얀 3호'.

지난달 발사해 내일 달 남극에 착륙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다른 경로로 접근해 인류 최초 타이틀을 거머쥐겠다는 목푭니다.

중국도 내년에 달 남극 탐사선 '창어 6호와 7호'를 발사할 예정이고요.

60년 전 인류 최초로 달에 착륙했던 나라가 미국이죠.

달 남극에 탐사선이 아닌 아예 우주비행사 두 명을 보내 직접 탐사한다는 계획입니다.

글로벌 경기 위축에도, 주요 국가들이 달 선점에 경쟁적으로 애를 쓰고 있는 겁니다.

2008년 인도의 달 궤도 탐사선 '찬드라얀 1호'가 보낸 사진에서, 무한한 가능성을 본 뒤부텁니다.

이번에 러시아가 실패한 '루나 25호'가 착륙하려던 곳은 달 남극 표면의 보구슬라우스키라는 분화구 북쪽입니다.

1년 동안 물을 포함한 달의 자원을 탐사하는 게 주요 임무였죠.

달 남극 주변 물과 얼음의 양이 38억 리터라는 추산도 나옵니다.

얼음을 녹여 식수를 얻고, 또 물을 분해해 사람 호흡에 필요한 산소를 만든다면, 장기 체류가 가능해 지는 거죠.

달에는 대기가 없어 통상 일교차가 300도에 달하지만, 달의 남극은 일교차가 10도가량에 불과하다는 점도 큰 장점입니다.

우주비행사나 우주선, 기지들이 극한의 기온에 노출되지 않는 거죠.

경제적인 이득도 노릴 수 있습니다.

핵융합 원료인 헬륨-3, 희토류, 우라늄, 백금과 수은 등 희귀 자원 역시 풍부합니다.

스마트폰 만들 때 쓰이는 원자재로 요즈음 미·중 간 경쟁이 치열하죠.

이뿐만이 아닙니다.

달의 중력은 지구의 6분의 1.

그만큼 로켓 발사에 드는 비용도 대폭 줄일 수 있습니다.

로켓 연료로 쓸 수 있는 수소도 달 남극의 물을 분해해 얻는다면, 화성을 비롯한 심우주 진출을 위한 중간 기지가 될 수 있는 거죠.

인간이 살 기지, 자원의 보고, 심우주 탐사 교두보, 달 남극이 가진 가치입니다.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기 위한 우주 강국들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우리나라도 뒤 쳐질 순 없겠죠?

KBS 뉴스 오승목입니다.

영상편집:신선미/그래픽:민세홍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