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55년 만에 한경협으로 새출발…“싱크탱크형 경제단체 지향”

입력 2023.08.22 (17: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전국경제인연합회, 55년 만에 '한국경제인협회'로 명칭 변경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55년 만에 명칭을 변경하기로 했습니다.

오늘(22일) 임시총회를 열어 산하 연구기관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 흡수 통합과 명칭 변경 등이 포함된 정관 개정안을 의결한 것인데요.

새 명칭은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입니다.

한경협은 1961년 삼성그룹 故 이병철 회장을 비롯한 1세대 기업인 13명이 주축이 돼 만든 경제 단체입니다.

이후 회원사가 늘면서 1968년 전국경제인연합회, 전경련으로 명칭을 변경했는데요.

그런 전경련이 다시 한경협으로 명칭을 바꾸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정경유착' 꼬리표 떼기…"초심 회복 의지 담았다"

전경련은 앞서 2015~2016년 청와대 요구로 설립된 미르·K스포츠재단에 기업들이 774억 원을 출연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했습니다.

2016년 9월 '국정농단' 사태가 터지고 이후 국회 국정조사 청문회, 특별검사 수사 등이 이어지면서 전경련은 '정경유착의 고리'라는 비판을 받아 왔습니다.

이후 삼성과 SK, 현대차, LG 등 4대 그룹이 잇따라 탈퇴하면서, 경제 5단체 중 '맏형'으로서의 위상도 내려놓아야 했습니다.

따라서 전경련이 한경협으로 다시 돌아가기로 한 것은, 정경유착 꼬리표를 떼고 재계 대표 단체 위상을 회복하기 위한 고민의 산물입니다.

무엇보다 '국가과 국민을 위해 기업을 운영한다'는 최초 설립 당시 초심으로 돌아가겠다는 의지를 담았다는 게 전경련의 설명입니다.


■ '싱크탱크형 경제 단체' 지향…"한국의 CSIS 되겠다"

전경련은 명칭 변경과 함께 여러 혁신 방안도 내놨습니다.

먼저, 과거 경제 단체와는 다른 '싱크탱크형 경제 단체'가 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는데요.

신임 회장이 된 류진 풍산그룹 회장은 취임사에서 "지금 세계가 대전환의 시기를 맞고 있다"며 "우리 경제의 글로벌 도약을 성취하는 길에서 한국경제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실천적 대안을 만들겠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미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 Center for Strategic & International Studies)같은 기구로 발전시키고 싶다는 생각을 밝혔습니다.

CSIS는 국방, 안보 정책을 중심으로 국내외 문제 및 공공정책·금융·통신·환경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는 미국의 대표적 싱크탱크입니다.

제가 CSIS 이사를 맡고 있습니다. CSIS는 중립적이고 모든 분야의 이슈, 특히 북한 관계도 (연구도) 많이 하고 우리나라에 필요한 정보 많이 줄 수 있지 않을까 . 아웃소싱하고 사람 고용하고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문제가 무엇이냐 그런 걸 연구하기 때문에 CSIS 쪽을 중심으로 할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류진 회장 기자간담회 中)

류 회장은 미국과 일본에 풍부한 네트워크를 가진 경영자로도 알려져 있는데요.

미국과 일본에 진출하는 기업들이 필요할 경우 창구 역할을 하겠다는 뜻도 밝혔습니다.


■ 혁신의 핵심은 '윤리경영위원회'…회비 구조는 공평하게

전경련 혁신의 또 다른 축은 향후 설치될 윤리위원회입니다.

윤리위원회는 위원장 포함 5명의 위원으로 구성될 예정인데, 이미 위원장은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구체적인 운영 방안이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윤리경영을 실천하고 투명한 기업 문화가 경제계 전반에 뿌리내리도록 솔선수범하겠다는 게 류 회장의 설명입니다.

"누구나 수긍할 수 있는 분을 위원장과 위원으로 모시겠습니다. 단순한 준법감시의 차원을 넘어 높아진 우리의 국격과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엄격한 윤리의 기준을 세우고 실천할 것입니다" (류진 회장 취임사 中)

회원사들이 내는 회비 구조도 바꿀 예정인데요.

과거 전경련은 전체 회비 수익 400여억 원 가운데 삼성과 SK, 현대차, LG 등 4대 그룹의 비중이 약 70%에 달했습니다.

회비를 많이 내는 만큼 4대 그룹이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밖에 없었는데요.

비용을 보다 공평하게 부담하도록 해 보다 민주적인 조직을 만들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회비 시스템은 과거 너무 큰 기업 위주였다. 물론 큰 기업이 조금 더 내야겠지만 공평하게,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내도록 해) 재벌 만을 위한 게 아니라 회원 모두를 위한 조직이구나 이런 시스템 만들려고 합니다." (류진 회장 기자간담회 中)


■ 4대 그룹 복귀…국정농단 사태 이후 6년여 만

사실 한경협 출범과 관련해 세간의 관심은 삼성과 SK, 현대차, LG 등 4대 그룹의 복귀 여부였습니다.

4대 그룹은 2016년 12월부터 2017년 2월 사이 전경련을 잇달아 탈퇴했지만, 일부 계열사가 전경련 산하 연구기관 한국경제연구원 회원사 자격을 유지하고 있었는데요.

그래서 전경련이 한경연을 흡수 통합할 경우 4대 그룹이 전경련에 재가입하는 효과가 생기게 된 겁니다.

하지만 전경련 복귀에 대한 부정적 여론을 의식하듯 4대 그룹의 입장은 매우 신중했습니다.

국정농단 사태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징역 2년 6개월의 실형을 선고받았던 삼성은 준법감시위원회와 이사회 논의를 거쳐, 전자와 SDI, 생명과 화재, 증권 등 한경연 5개 회원사 가운데 증권을 제외한 4개사가 한경협에 합류하기로 의견을 모았습니다.

삼성 준감위는 ▲ 한경협이 싱크탱크로서 역할에 충실할 것 ▲ 회비 납부 시 사전 승인을 받을 것 ▲ 매년 연간 활동 내용을 보고할 것 등의 조건을 단 것으로 알려졌는데, 삼성증권은 준감위 협약사가 아닌 만큼 한경협에 참여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의견을 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SK와 현대차, LG도 내부 검토 절차를 거쳤는데요.

SK는 (주)SK와 이노베이션, 텔레콤, 네트워크 등 각사가 사외이사에 설명하고, 추후 회비 납부를 비롯한 한경협 활동을 본격화할 경우 이사회에 보고하기로 했고, 현대차그룹은 현대차·기아 등 한경연 회원사 5개사가 이사회 산하 지속가능경영위원회에 설명했다고 밝혔습니다.

LG그룹 역시 (주)LG와 LG전자가 ESG위원회를 열어 재가입 문제를 논의했는데, 위원들은 내년 2월 정기총회까지 한경협이 글로벌 싱크탱크로의 전환이라는 혁신안을 실행하는지 면밀히 살펴보고 필요한 부분은 회사가 요청할 것을 주문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 "전경련 해산해야"…시민단체 비판 잇따라

하지만, 전경련의 새 출발에 대한 시선이 곱지만은 않습니다.

시민단체인 참여연대와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등은 임시총회가 열린 전경련 회관 앞에서 한경협 출범을 비판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는데요.

이들은 전경련과 한경현의 즉각 해산과 함께 4대 그룹 총수의 대국민 사과 등을 요구했습니다.

"한경협으로의 개명은 최소한의 반성도 없는 간판갈이다. 4대 재벌 대기업의 전경련 재가입은 재벌공화국으로의 회귀를 공식화한 것이자 반성없이 국정농단 이전으로 돌아가겠다는 선언이다" (김은정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도 "4대 그룹이 전경련에 다시 가입할 어떠한 명분도 없다"며 "전경련이 자발적으로 해산해 새로운 시대에 맞는 미래지향적인 단체로 재설립돼야 한다"는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 '한일미래파트너십기금' 등 현안 산적…'싱크탱크형 경제단체' 미래는?

시민단체의 비판에도 전경련은 새 출발의 첫 발을 뗐습니다.

주무 관청인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9월 중 정관 개정안을 승인하면 법적 절차는 모두 마무리됩니다.

4대 그룹의 복귀 역시 확정됩니다.

남은 건 산적한 현안들을 어떻게 풀어나가느냐입니다.

당장 지난 5월 전경련이 일본 재계 단체 게이단렌과 각각 10억 원, 1억 엔을 출연해 만든 '한일 미래 파트너십 기금' 문제가 있습니다.

양국 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전제로 출범했는데, 아직까지 기금에 참여한 우리 기업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재계 안팎에서는 이번에 복귀하는 4대 그룹이 첫 단추를 끼울 것이라는 관측이 적지 않은데, 4대 그룹은 이같은 시선을 부담스러워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정경유착의 꼬리표를 떼고 싱크탱크형 경제단체로 바로 서겠다는 전경련이 과연 어떤 해법을 내놓을지 관심이 모아집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경련, 55년 만에 한경협으로 새출발…“싱크탱크형 경제단체 지향”
    • 입력 2023-08-22 17:23:40
    심층K

■ 전국경제인연합회, 55년 만에 '한국경제인협회'로 명칭 변경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55년 만에 명칭을 변경하기로 했습니다.

오늘(22일) 임시총회를 열어 산하 연구기관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 흡수 통합과 명칭 변경 등이 포함된 정관 개정안을 의결한 것인데요.

새 명칭은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입니다.

한경협은 1961년 삼성그룹 故 이병철 회장을 비롯한 1세대 기업인 13명이 주축이 돼 만든 경제 단체입니다.

이후 회원사가 늘면서 1968년 전국경제인연합회, 전경련으로 명칭을 변경했는데요.

그런 전경련이 다시 한경협으로 명칭을 바꾸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정경유착' 꼬리표 떼기…"초심 회복 의지 담았다"

전경련은 앞서 2015~2016년 청와대 요구로 설립된 미르·K스포츠재단에 기업들이 774억 원을 출연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했습니다.

2016년 9월 '국정농단' 사태가 터지고 이후 국회 국정조사 청문회, 특별검사 수사 등이 이어지면서 전경련은 '정경유착의 고리'라는 비판을 받아 왔습니다.

이후 삼성과 SK, 현대차, LG 등 4대 그룹이 잇따라 탈퇴하면서, 경제 5단체 중 '맏형'으로서의 위상도 내려놓아야 했습니다.

따라서 전경련이 한경협으로 다시 돌아가기로 한 것은, 정경유착 꼬리표를 떼고 재계 대표 단체 위상을 회복하기 위한 고민의 산물입니다.

무엇보다 '국가과 국민을 위해 기업을 운영한다'는 최초 설립 당시 초심으로 돌아가겠다는 의지를 담았다는 게 전경련의 설명입니다.


■ '싱크탱크형 경제 단체' 지향…"한국의 CSIS 되겠다"

전경련은 명칭 변경과 함께 여러 혁신 방안도 내놨습니다.

먼저, 과거 경제 단체와는 다른 '싱크탱크형 경제 단체'가 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는데요.

신임 회장이 된 류진 풍산그룹 회장은 취임사에서 "지금 세계가 대전환의 시기를 맞고 있다"며 "우리 경제의 글로벌 도약을 성취하는 길에서 한국경제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실천적 대안을 만들겠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미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 Center for Strategic & International Studies)같은 기구로 발전시키고 싶다는 생각을 밝혔습니다.

CSIS는 국방, 안보 정책을 중심으로 국내외 문제 및 공공정책·금융·통신·환경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는 미국의 대표적 싱크탱크입니다.

제가 CSIS 이사를 맡고 있습니다. CSIS는 중립적이고 모든 분야의 이슈, 특히 북한 관계도 (연구도) 많이 하고 우리나라에 필요한 정보 많이 줄 수 있지 않을까 . 아웃소싱하고 사람 고용하고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문제가 무엇이냐 그런 걸 연구하기 때문에 CSIS 쪽을 중심으로 할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류진 회장 기자간담회 中)

류 회장은 미국과 일본에 풍부한 네트워크를 가진 경영자로도 알려져 있는데요.

미국과 일본에 진출하는 기업들이 필요할 경우 창구 역할을 하겠다는 뜻도 밝혔습니다.


■ 혁신의 핵심은 '윤리경영위원회'…회비 구조는 공평하게

전경련 혁신의 또 다른 축은 향후 설치될 윤리위원회입니다.

윤리위원회는 위원장 포함 5명의 위원으로 구성될 예정인데, 이미 위원장은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구체적인 운영 방안이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윤리경영을 실천하고 투명한 기업 문화가 경제계 전반에 뿌리내리도록 솔선수범하겠다는 게 류 회장의 설명입니다.

"누구나 수긍할 수 있는 분을 위원장과 위원으로 모시겠습니다. 단순한 준법감시의 차원을 넘어 높아진 우리의 국격과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엄격한 윤리의 기준을 세우고 실천할 것입니다" (류진 회장 취임사 中)

회원사들이 내는 회비 구조도 바꿀 예정인데요.

과거 전경련은 전체 회비 수익 400여억 원 가운데 삼성과 SK, 현대차, LG 등 4대 그룹의 비중이 약 70%에 달했습니다.

회비를 많이 내는 만큼 4대 그룹이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밖에 없었는데요.

비용을 보다 공평하게 부담하도록 해 보다 민주적인 조직을 만들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회비 시스템은 과거 너무 큰 기업 위주였다. 물론 큰 기업이 조금 더 내야겠지만 공평하게,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내도록 해) 재벌 만을 위한 게 아니라 회원 모두를 위한 조직이구나 이런 시스템 만들려고 합니다." (류진 회장 기자간담회 中)


■ 4대 그룹 복귀…국정농단 사태 이후 6년여 만

사실 한경협 출범과 관련해 세간의 관심은 삼성과 SK, 현대차, LG 등 4대 그룹의 복귀 여부였습니다.

4대 그룹은 2016년 12월부터 2017년 2월 사이 전경련을 잇달아 탈퇴했지만, 일부 계열사가 전경련 산하 연구기관 한국경제연구원 회원사 자격을 유지하고 있었는데요.

그래서 전경련이 한경연을 흡수 통합할 경우 4대 그룹이 전경련에 재가입하는 효과가 생기게 된 겁니다.

하지만 전경련 복귀에 대한 부정적 여론을 의식하듯 4대 그룹의 입장은 매우 신중했습니다.

국정농단 사태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징역 2년 6개월의 실형을 선고받았던 삼성은 준법감시위원회와 이사회 논의를 거쳐, 전자와 SDI, 생명과 화재, 증권 등 한경연 5개 회원사 가운데 증권을 제외한 4개사가 한경협에 합류하기로 의견을 모았습니다.

삼성 준감위는 ▲ 한경협이 싱크탱크로서 역할에 충실할 것 ▲ 회비 납부 시 사전 승인을 받을 것 ▲ 매년 연간 활동 내용을 보고할 것 등의 조건을 단 것으로 알려졌는데, 삼성증권은 준감위 협약사가 아닌 만큼 한경협에 참여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의견을 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SK와 현대차, LG도 내부 검토 절차를 거쳤는데요.

SK는 (주)SK와 이노베이션, 텔레콤, 네트워크 등 각사가 사외이사에 설명하고, 추후 회비 납부를 비롯한 한경협 활동을 본격화할 경우 이사회에 보고하기로 했고, 현대차그룹은 현대차·기아 등 한경연 회원사 5개사가 이사회 산하 지속가능경영위원회에 설명했다고 밝혔습니다.

LG그룹 역시 (주)LG와 LG전자가 ESG위원회를 열어 재가입 문제를 논의했는데, 위원들은 내년 2월 정기총회까지 한경협이 글로벌 싱크탱크로의 전환이라는 혁신안을 실행하는지 면밀히 살펴보고 필요한 부분은 회사가 요청할 것을 주문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 "전경련 해산해야"…시민단체 비판 잇따라

하지만, 전경련의 새 출발에 대한 시선이 곱지만은 않습니다.

시민단체인 참여연대와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등은 임시총회가 열린 전경련 회관 앞에서 한경협 출범을 비판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는데요.

이들은 전경련과 한경현의 즉각 해산과 함께 4대 그룹 총수의 대국민 사과 등을 요구했습니다.

"한경협으로의 개명은 최소한의 반성도 없는 간판갈이다. 4대 재벌 대기업의 전경련 재가입은 재벌공화국으로의 회귀를 공식화한 것이자 반성없이 국정농단 이전으로 돌아가겠다는 선언이다" (김은정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도 "4대 그룹이 전경련에 다시 가입할 어떠한 명분도 없다"며 "전경련이 자발적으로 해산해 새로운 시대에 맞는 미래지향적인 단체로 재설립돼야 한다"는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 '한일미래파트너십기금' 등 현안 산적…'싱크탱크형 경제단체' 미래는?

시민단체의 비판에도 전경련은 새 출발의 첫 발을 뗐습니다.

주무 관청인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9월 중 정관 개정안을 승인하면 법적 절차는 모두 마무리됩니다.

4대 그룹의 복귀 역시 확정됩니다.

남은 건 산적한 현안들을 어떻게 풀어나가느냐입니다.

당장 지난 5월 전경련이 일본 재계 단체 게이단렌과 각각 10억 원, 1억 엔을 출연해 만든 '한일 미래 파트너십 기금' 문제가 있습니다.

양국 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전제로 출범했는데, 아직까지 기금에 참여한 우리 기업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재계 안팎에서는 이번에 복귀하는 4대 그룹이 첫 단추를 끼울 것이라는 관측이 적지 않은데, 4대 그룹은 이같은 시선을 부담스러워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정경유착의 꼬리표를 떼고 싱크탱크형 경제단체로 바로 서겠다는 전경련이 과연 어떤 해법을 내놓을지 관심이 모아집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