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사건 신고 돕는다…경찰 ‘수어 교육’

입력 2023.08.29 (19:53) 수정 2023.08.29 (20: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청각·언어 장애인들은 의사소통이 쉽지 않아 범죄 피해를 신고해도 수사가 늦어지는 등 피해를 겪고 있는데요,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고 부산시자치경찰위원회가 경찰관에게 수어를 가르치기로 했지만, 근본적으론 수어 통역사를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보도에 강예슬 기자입니다.

[리포트]

2017년, 청각장애인 오백여 명이 백억 원에 가까운 투자 사기 피해를 본 이른바 '행복팀 사건'.

피해가 7년 가까이 이어졌지만, 수사가 늦어진 건 초기 신고 과정에서 경찰관과 의사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장애인들은 피해 사실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했고, 수사관들은 사건을 단순 채무 관계로 오인했습니다.

수사가 시작된 후에도 어려움은 계속됐습니다.

수어 통역사를 구하기 어려워 수사관이 A4 용지 수십 장에 글로 써가며, 하루 10시간 넘게 조사를 해야 했습니다.

[김대규/경남경찰청 마약수사대장/당시 수사 지휘 : "통역사 숫자가 한계가 있다 보니까 시간도 많이 들고, 피해자한테 이렇게 열람시키고 그 다음에 다시 또다시 반복적으로 확인하고 하는 절차가 조사에 많은 시간이 주로 걸렸고요."]

실제 경찰 신고나 수사 과정에서 이런 어려움을 겪었다는 장애인들의 진정은 지난해 인권위에 접수된 것만 4백여 건에 달합니다.

[김경대/부산농아인협회 협회장/수어 : "통역 소통이 안 돼서 경찰서에 오라고 할 때 가면 힘들어합니다.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고, 행동으로만 이렇게 (의사소통을) 해서 하다 보니…."]

이런 피해를 막기 위해 부산시자치경찰위원회가 한국농아인협회와 업무협약을 맺었습니다.

농아인협회가 강사를 파견해 일선 경찰관들을 대상으로 기본적인 수어 교육을 합니다.

또 협회는 경찰서에서 수어 통역을 요청할 경우 통역사를 곧바로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정용환/부산자치경찰위원회 위원장 : "경찰관들이 수어를 배워서 지구대나 교통이나 이런 근무할 때에 지원이 가능하다는 팻말을 붙이고…. 결과가 좋으면 내년부터 좀 더 확대할 그런 계획이 있습니다."]

2020년 기준, 전국 지역 수화통역센터 소속 수화 통역사는 9백여 명.

장애인 범죄 피해를 제대로 수사하기 위해서는 수어 통역사 수를 늘리는 정책이 앞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BS 뉴스 강예슬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영상편집:백혜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장애인 사건 신고 돕는다…경찰 ‘수어 교육’
    • 입력 2023-08-29 19:53:55
    • 수정2023-08-29 20:10:11
    뉴스7(부산)
[앵커]

청각·언어 장애인들은 의사소통이 쉽지 않아 범죄 피해를 신고해도 수사가 늦어지는 등 피해를 겪고 있는데요,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고 부산시자치경찰위원회가 경찰관에게 수어를 가르치기로 했지만, 근본적으론 수어 통역사를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보도에 강예슬 기자입니다.

[리포트]

2017년, 청각장애인 오백여 명이 백억 원에 가까운 투자 사기 피해를 본 이른바 '행복팀 사건'.

피해가 7년 가까이 이어졌지만, 수사가 늦어진 건 초기 신고 과정에서 경찰관과 의사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장애인들은 피해 사실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했고, 수사관들은 사건을 단순 채무 관계로 오인했습니다.

수사가 시작된 후에도 어려움은 계속됐습니다.

수어 통역사를 구하기 어려워 수사관이 A4 용지 수십 장에 글로 써가며, 하루 10시간 넘게 조사를 해야 했습니다.

[김대규/경남경찰청 마약수사대장/당시 수사 지휘 : "통역사 숫자가 한계가 있다 보니까 시간도 많이 들고, 피해자한테 이렇게 열람시키고 그 다음에 다시 또다시 반복적으로 확인하고 하는 절차가 조사에 많은 시간이 주로 걸렸고요."]

실제 경찰 신고나 수사 과정에서 이런 어려움을 겪었다는 장애인들의 진정은 지난해 인권위에 접수된 것만 4백여 건에 달합니다.

[김경대/부산농아인협회 협회장/수어 : "통역 소통이 안 돼서 경찰서에 오라고 할 때 가면 힘들어합니다.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고, 행동으로만 이렇게 (의사소통을) 해서 하다 보니…."]

이런 피해를 막기 위해 부산시자치경찰위원회가 한국농아인협회와 업무협약을 맺었습니다.

농아인협회가 강사를 파견해 일선 경찰관들을 대상으로 기본적인 수어 교육을 합니다.

또 협회는 경찰서에서 수어 통역을 요청할 경우 통역사를 곧바로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정용환/부산자치경찰위원회 위원장 : "경찰관들이 수어를 배워서 지구대나 교통이나 이런 근무할 때에 지원이 가능하다는 팻말을 붙이고…. 결과가 좋으면 내년부터 좀 더 확대할 그런 계획이 있습니다."]

2020년 기준, 전국 지역 수화통역센터 소속 수화 통역사는 9백여 명.

장애인 범죄 피해를 제대로 수사하기 위해서는 수어 통역사 수를 늘리는 정책이 앞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BS 뉴스 강예슬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영상편집:백혜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