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율 0.7명대도 위험하다…결혼도 출산도 안해

입력 2023.08.31 (07:28) 수정 2023.08.31 (09: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역대 최저치인 0.78명이었습니다.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의 수가 1명이 채 안 된다는 뜻으로, 전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우리나라 저출생 현실을 나타내는데요.

그런데 이 수치가 올해도 계속 떨어지고 있습니다.

김용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도심의 한 공터, 건물 철거 뒤 울타리가 둘러쳐 있습니다.

불과 1년 전만 해도 대형 예식장이 있던 곳입니다.

전국의 예식장은 지난 2018년 이후 20% 넘게 급감했습니다.

코로나 탓도 있지만 근본적으로 결혼하는 청년 숫자가 줄어든 탓입니다.

[김선진/한국예식업중앙회 사무국장 : "서울 시내 예식장이 한 30%가 감소했습니다. 인구가 줄기 때문에 이 시장은 줄어들 수밖에 없고 예식장이 문을 닫을 수밖에 없는 그런 구조입니다."]

결혼이 줄면서 출산율 수치는 더 악화됐습니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자녀의 수인 합계출산율은 올해 2분기 0.7명으로 1년 전보다 0.05명 더 줄었습니다.

지난해 4분기 기록했던 역대 최저치가 또다시 등장한 겁니다.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 지난해 0.78명이던 연간 합계출산율이 올해에는 0.73명대로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최슬기/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 "연말로 가면 출생아 수가 줄어드는 경향이 월별로 보면 있기 때문에 (좋지 않습니다.) 사실은 더 떨어진다는 것을 상상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출산율이) 이미 많이 낮춰져 있거든요."]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은 더 빨리 변하고 있습니다.

통계청 조사결과 지난해 청년 3명 중 1명 만이 결혼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했고, 2명 중 1명 이상은 결혼하더라도 자녀를 가질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연경/경기 군포시 : "결혼해서 집도 대부분 하나를 사려고 하면 대출도 많이 받는데 거기다가 아이까지 낳게 되면 빚이 더 는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김영상/경기 김포시 : "혼자 살아도 괜찮다는 (사람이) 많죠. (저출산 대책을 말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딱히 나아진다는 게 체감되지는 않아요."]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가운데 유일하게 1명대 이하입니다.

KBS 뉴스 김용덕입니다.

촬영기자:김한빈/영상편집:최찬종/그래픽:고석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출산율 0.7명대도 위험하다…결혼도 출산도 안해
    • 입력 2023-08-31 07:28:19
    • 수정2023-08-31 09:09:39
    뉴스광장
[앵커]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역대 최저치인 0.78명이었습니다.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의 수가 1명이 채 안 된다는 뜻으로, 전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우리나라 저출생 현실을 나타내는데요.

그런데 이 수치가 올해도 계속 떨어지고 있습니다.

김용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도심의 한 공터, 건물 철거 뒤 울타리가 둘러쳐 있습니다.

불과 1년 전만 해도 대형 예식장이 있던 곳입니다.

전국의 예식장은 지난 2018년 이후 20% 넘게 급감했습니다.

코로나 탓도 있지만 근본적으로 결혼하는 청년 숫자가 줄어든 탓입니다.

[김선진/한국예식업중앙회 사무국장 : "서울 시내 예식장이 한 30%가 감소했습니다. 인구가 줄기 때문에 이 시장은 줄어들 수밖에 없고 예식장이 문을 닫을 수밖에 없는 그런 구조입니다."]

결혼이 줄면서 출산율 수치는 더 악화됐습니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자녀의 수인 합계출산율은 올해 2분기 0.7명으로 1년 전보다 0.05명 더 줄었습니다.

지난해 4분기 기록했던 역대 최저치가 또다시 등장한 겁니다.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 지난해 0.78명이던 연간 합계출산율이 올해에는 0.73명대로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최슬기/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 "연말로 가면 출생아 수가 줄어드는 경향이 월별로 보면 있기 때문에 (좋지 않습니다.) 사실은 더 떨어진다는 것을 상상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출산율이) 이미 많이 낮춰져 있거든요."]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은 더 빨리 변하고 있습니다.

통계청 조사결과 지난해 청년 3명 중 1명 만이 결혼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했고, 2명 중 1명 이상은 결혼하더라도 자녀를 가질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연경/경기 군포시 : "결혼해서 집도 대부분 하나를 사려고 하면 대출도 많이 받는데 거기다가 아이까지 낳게 되면 빚이 더 는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김영상/경기 김포시 : "혼자 살아도 괜찮다는 (사람이) 많죠. (저출산 대책을 말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딱히 나아진다는 게 체감되지는 않아요."]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가운데 유일하게 1명대 이하입니다.

KBS 뉴스 김용덕입니다.

촬영기자:김한빈/영상편집:최찬종/그래픽:고석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