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 새 랜드마크가 쓰레기 소각장?…주민 반발 과제로

입력 2023.08.31 (15:08) 수정 2023.08.31 (15: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진 제공: 서울시사진 제공: 서울시

쇼핑 복합시설과 산책로, 전망대까지 있는 이 곳.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 들어설 새 쓰레기 소각장 조감도입니다.

서울시는 '제19차 광역자원회수시설 입지선정위원회'에서 신규 광역자원회수시설(생활폐기물 소각장) 입지로 마포구 상암동을 최종 선정했다고 오늘(31일) 밝혔습니다.

새로운 입지는 현재 마포자원회수시설 부지 옆 상암동 481-6 등 2개 필지, 총 2만 1천 제곱미터 규모입니다.

새로운 시설이 들어서면서, 현재의 마포자원회수시설은 2035년까지 폐쇄하기로 했습니다.

신규 소각장 설치는 환경부가 종량제 봉투에 담긴 생활폐기물을 소각이나 분리배출하지 않고 바로 땅에 묻는 행위를 2026년부터 금지하겠다고 공포하며 결정됐습니다.

■ 지하화·자동화 통해 새로운 랜드마크로

서울시는 새로운 자원회수시설을 기존의 '혐오시설'이 아닌 '새로운 랜드마크'로 만들겠다는 입장입니다.

우선, 서울시는 신규 시설의 청소차 전용도로·폐기물 저장소 등 주요 시설을 지하화하고, 출입하는 청소차는 친환경 차량으로 전환해 환경 피해를 최소화하기로 했습니다.

폐기물 투입을 위한 크레인 운전과 소각재 배출 등의 위험 설비 운용은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등으로 자동화해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하겠다는 방침도 밝혔습니다.

시설 지하화를 통해 확보한 지상부는 주변 공원과 수변 공간에 어울리는 문화시설과 전망대·놀이기구·스카이워크 등을 설치해 랜드마크로 조성한다는 계획입니다.

아울러 서울시는 상암동 주민을 위한 1천 억원 규모의 편익시설로 수영장·헬스장·독서실·사우나·골프연습장 등을 제공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 서울시 "평가·절차 상 문제 없어…주민과 소통할 것"

서울시는 이번 최종 선정 결과를 발표하면서 "인근 5km 내 기상, 대기질, 위생·공중보건, 악취에 대한 현장조사와 전략환경평가를 실시한 결과 신규시설로 인한 주변 환경영향은 경미할 것으로 평가됐다"고 말했습니다.

서울시는 이 결과를 환경부와도 협의 완료했으며, 그럼에도 제기될 수 있는 주변 자연·생활환경 악화 우려는 지역 주민들과 소통을 통해 별도의 대책을 세우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밖에도 서울시는 주민들의 우려를 고려해 주변영향지역을 확대해 '주민건강 영향조사'도 실시하는 등 지원 방안을 철저히 추진하겠다고도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서울시는 마포구민들이 지난 3월 청구한 감사원 공익감사도 지난달 최종 기각돼 입지 후보지 선정 과정에서 법령을 위반하거나 공익을 저해한 사실이 없음이 확인됐다며, 절차 상 문제도 없음을 강조했습니다.

■ 마포구 "꾸준한 반대에도 최종 선정 유감"

서울시는 지난해 8월 상암동 일대를 최적 입지 후보로 선정하면서, 마포구와 꾸준히 갈등을 빚어왔습니다.

마포구는 오늘 서울시 발표에 입장문을 내고 " 소각장 추가 건립에 대한 마포구의 입장은 지난해 8월 서울시 발표 이후 변함없다"며 유감을 표했습니다.

그러면서 "마포구는 소각장 건립의 대안으로 각 자치구의 '소각제로가게' 설치 및 생활쓰레기 전처리 시설 설치·운영 등의 정책을 서울시에 지속적으로 제시해왔다"고 강조했습니다.


지난해 9월 마포구민들이 모여 구성한 '마포소각장 추가 백지화 투쟁본부'도 오늘 입장문을 발표해 "서울시장은 주민과의 소통을 원활히 하지 않았으며, 일방적으로 절차를 진행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새로운 소각장이 필요하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동쪽에서 서쪽으로 한곳으로만 집중되는 서울시의 쓰레기 정책에는 어떠한 원칙도 없었다"고 지적했습니다.

서울시는 환경영향평가 등 남은 절차 동안 갈등이 해소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주민과의 소통을 지속하면서, 2026년 새 소각장을 완공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마포 새 랜드마크가 쓰레기 소각장?…주민 반발 과제로
    • 입력 2023-08-31 15:08:51
    • 수정2023-08-31 15:12:39
    심층K
사진 제공: 서울시
쇼핑 복합시설과 산책로, 전망대까지 있는 이 곳.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 들어설 새 쓰레기 소각장 조감도입니다.

서울시는 '제19차 광역자원회수시설 입지선정위원회'에서 신규 광역자원회수시설(생활폐기물 소각장) 입지로 마포구 상암동을 최종 선정했다고 오늘(31일) 밝혔습니다.

새로운 입지는 현재 마포자원회수시설 부지 옆 상암동 481-6 등 2개 필지, 총 2만 1천 제곱미터 규모입니다.

새로운 시설이 들어서면서, 현재의 마포자원회수시설은 2035년까지 폐쇄하기로 했습니다.

신규 소각장 설치는 환경부가 종량제 봉투에 담긴 생활폐기물을 소각이나 분리배출하지 않고 바로 땅에 묻는 행위를 2026년부터 금지하겠다고 공포하며 결정됐습니다.

■ 지하화·자동화 통해 새로운 랜드마크로

서울시는 새로운 자원회수시설을 기존의 '혐오시설'이 아닌 '새로운 랜드마크'로 만들겠다는 입장입니다.

우선, 서울시는 신규 시설의 청소차 전용도로·폐기물 저장소 등 주요 시설을 지하화하고, 출입하는 청소차는 친환경 차량으로 전환해 환경 피해를 최소화하기로 했습니다.

폐기물 투입을 위한 크레인 운전과 소각재 배출 등의 위험 설비 운용은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등으로 자동화해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하겠다는 방침도 밝혔습니다.

시설 지하화를 통해 확보한 지상부는 주변 공원과 수변 공간에 어울리는 문화시설과 전망대·놀이기구·스카이워크 등을 설치해 랜드마크로 조성한다는 계획입니다.

아울러 서울시는 상암동 주민을 위한 1천 억원 규모의 편익시설로 수영장·헬스장·독서실·사우나·골프연습장 등을 제공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 서울시 "평가·절차 상 문제 없어…주민과 소통할 것"

서울시는 이번 최종 선정 결과를 발표하면서 "인근 5km 내 기상, 대기질, 위생·공중보건, 악취에 대한 현장조사와 전략환경평가를 실시한 결과 신규시설로 인한 주변 환경영향은 경미할 것으로 평가됐다"고 말했습니다.

서울시는 이 결과를 환경부와도 협의 완료했으며, 그럼에도 제기될 수 있는 주변 자연·생활환경 악화 우려는 지역 주민들과 소통을 통해 별도의 대책을 세우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밖에도 서울시는 주민들의 우려를 고려해 주변영향지역을 확대해 '주민건강 영향조사'도 실시하는 등 지원 방안을 철저히 추진하겠다고도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서울시는 마포구민들이 지난 3월 청구한 감사원 공익감사도 지난달 최종 기각돼 입지 후보지 선정 과정에서 법령을 위반하거나 공익을 저해한 사실이 없음이 확인됐다며, 절차 상 문제도 없음을 강조했습니다.

■ 마포구 "꾸준한 반대에도 최종 선정 유감"

서울시는 지난해 8월 상암동 일대를 최적 입지 후보로 선정하면서, 마포구와 꾸준히 갈등을 빚어왔습니다.

마포구는 오늘 서울시 발표에 입장문을 내고 " 소각장 추가 건립에 대한 마포구의 입장은 지난해 8월 서울시 발표 이후 변함없다"며 유감을 표했습니다.

그러면서 "마포구는 소각장 건립의 대안으로 각 자치구의 '소각제로가게' 설치 및 생활쓰레기 전처리 시설 설치·운영 등의 정책을 서울시에 지속적으로 제시해왔다"고 강조했습니다.


지난해 9월 마포구민들이 모여 구성한 '마포소각장 추가 백지화 투쟁본부'도 오늘 입장문을 발표해 "서울시장은 주민과의 소통을 원활히 하지 않았으며, 일방적으로 절차를 진행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새로운 소각장이 필요하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동쪽에서 서쪽으로 한곳으로만 집중되는 서울시의 쓰레기 정책에는 어떠한 원칙도 없었다"고 지적했습니다.

서울시는 환경영향평가 등 남은 절차 동안 갈등이 해소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주민과의 소통을 지속하면서, 2026년 새 소각장을 완공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