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김정은-푸틴 친서, 무기 협상”…러 “북한과 다양한 수준 접촉”

입력 2023.08.31 (21:38) 수정 2023.08.31 (22: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한편, 북한과 러시아가 정상 사이 친서까지 교환하며 무기 거래 협상을 하고 있다고 미 백악관이 진단했습니다.

북한이 무기를 지원하고 그 대가로 러시아가 핵 관련 기술을 공유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워싱턴 김기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협상이 본격화된 계기는 지난달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 방북이라는 게 미국 측 분석입니다.

이후, 별도 러시아 대표단이 비밀리에 북한을 찾아 무기 거래 가능성을 타진했고, 이 과정에서 '협력 강화'를 약속하는 내용의 북러 정상 간 친서가 오갔다는 겁니다.

[존 커비/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전략소통조정관 : "협상은 비밀리에 진행 중입니다. 그래서 북-러 정상 간 서한은 (협상을) 격려하고 특정 수준의 지지를 유도하는 표면적 내용에 가까웠습니다."]

탄약은 물론 러시아 방위 산업 지원까지 광범위한 군사 협력 확대가 논의 중이란 설명입니다.

앞으로 몇 달간 고위급 협상이 계속될 거란 관측 속에 한미일 3국 유엔 대사들은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며 즉각 '중단'을 촉구했습니다.

특히, 북한의 무기 지원 대가로 러시아가 핵 관련 기술을 공유할 가능성에 심각한 우려를 표했습니다.

[린다 토머스 그린필드/주유엔 미국 대사 : "핵 확산을 노리는 나라들에게 '러시아에 무기를 팔면 러시아가 방어해 줄 것이며, 심지어 핵 개발을 지원할 것'이라는 잘못된 메시지를 보내고 있습니다."]

러시아는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이 "관계 발전을 위해 북한과 다양한 수준에서 접촉 중"이라는 원론적 반응을 내놨습니다.

미 백악관은 북-러 협상을 면밀히 살피면서 진전 상황은 지속적으로 공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러시아가 비밀리에 무기를 확보할 수 없다는 걸 분명히 하는 동시에 불법 거래 폭로를 견제 수단으로 삼겠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기현입니다.

촬영기자:오범석/영상편집:이태희/자료조사:이세영 조영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김정은-푸틴 친서, 무기 협상”…러 “북한과 다양한 수준 접촉”
    • 입력 2023-08-31 21:38:18
    • 수정2023-08-31 22:12:50
    뉴스 9
[앵커]

한편, 북한과 러시아가 정상 사이 친서까지 교환하며 무기 거래 협상을 하고 있다고 미 백악관이 진단했습니다.

북한이 무기를 지원하고 그 대가로 러시아가 핵 관련 기술을 공유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워싱턴 김기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협상이 본격화된 계기는 지난달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 방북이라는 게 미국 측 분석입니다.

이후, 별도 러시아 대표단이 비밀리에 북한을 찾아 무기 거래 가능성을 타진했고, 이 과정에서 '협력 강화'를 약속하는 내용의 북러 정상 간 친서가 오갔다는 겁니다.

[존 커비/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전략소통조정관 : "협상은 비밀리에 진행 중입니다. 그래서 북-러 정상 간 서한은 (협상을) 격려하고 특정 수준의 지지를 유도하는 표면적 내용에 가까웠습니다."]

탄약은 물론 러시아 방위 산업 지원까지 광범위한 군사 협력 확대가 논의 중이란 설명입니다.

앞으로 몇 달간 고위급 협상이 계속될 거란 관측 속에 한미일 3국 유엔 대사들은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며 즉각 '중단'을 촉구했습니다.

특히, 북한의 무기 지원 대가로 러시아가 핵 관련 기술을 공유할 가능성에 심각한 우려를 표했습니다.

[린다 토머스 그린필드/주유엔 미국 대사 : "핵 확산을 노리는 나라들에게 '러시아에 무기를 팔면 러시아가 방어해 줄 것이며, 심지어 핵 개발을 지원할 것'이라는 잘못된 메시지를 보내고 있습니다."]

러시아는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이 "관계 발전을 위해 북한과 다양한 수준에서 접촉 중"이라는 원론적 반응을 내놨습니다.

미 백악관은 북-러 협상을 면밀히 살피면서 진전 상황은 지속적으로 공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러시아가 비밀리에 무기를 확보할 수 없다는 걸 분명히 하는 동시에 불법 거래 폭로를 견제 수단으로 삼겠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기현입니다.

촬영기자:오범석/영상편집:이태희/자료조사:이세영 조영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