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수도권 아파트 ‘가격 상승 거래’ 비중 감소

입력 2023.09.03 (10:41) 수정 2023.09.03 (10: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반기 들어 수도권 아파트 매매 시장에 직전 거래가 대비 상승 거래 비중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초 급매물 소진 이후 가격이 많이 오르면서, 추가 상승 동력이 다소 약해진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옵니다.

부동산R114와 연합뉴스는 오늘(3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신고된 수도권 아파트 거래가를 분석한 결과를 제시했습니다.

그 결과 2분기(4∼6월)와 7∼8월에 동일 아파트, 동일 면적에서 1건 이상 거래가 체결된 총 8,700건 중에서 2분기 대비 7∼8월에 거래가가 오른 상승 거래는 전체의 55%(4,764건)로 집계됐습니다.

같은 조건에서 1분기 대비 2분기의 상승 거래 비중이 65%였던 것에 비해 10%포인트 감소한 수치입니다.

상반기에 인기 단지를 중심으로 급매물이 소진되고 실거래가가 급격하게 오르면서, 하반기 들어 상승 거래가 다소 주춤해진 걸로 보입니다.

이에 비해 7∼8월 하락 거래는 39%로, 2분기의 30%에 비해 9%포인트가량 증가했습니다.

보합 거래는 2분기 5%에서 7∼8월 6%로 늘었습니다.

먼저, 서울의 경우 상승 거래 비중이 2분기 72%에서 7∼8월에는 62%로 감소했습니다.

상승 거래 비중이 여전히 높은 편이지만, 7∼8월 하락 거래도 32%를 기록하며 2분기(24%)보다 증가했습니다.

구별로 보면 2분기에 상승 거래 비중이 84.9%에 달하며 서울 아파트값 상승을 이끌었던 강동구는 7∼8월 상승 거래 비중이 61.8%로 23.1%포인트나 급감했습니다.

2분기에 상승 거래가 88.1%에 달했던 송파구도 7∼8월 66.7%로 21.5%포인트 감소했습니다.

이에 비해 2분기에 상승 거래 비중이 58.8%에 그쳤던 강북구는 상승 거래 비중이 69.0%로 10%포인트 이상 증가했습니다.

은평구는 상승 거래 비중이 67.1%에서 69.3%로 2.2%포인트 확대됐습니다.

부동산R114 여경희 수석연구원은 “상반기에 가격 회복 속도가 가팔랐던 곳은 매수자들이 오른 가격을 부담스러워하면서 하반기 들어 상승 거래가 줄어든 반면, 상반기에 상승 거래가 상대적으로 작았던 곳은 하반기에 접어들면서 실거래가가 오른 곳이 늘었다”고 말했습니다.

경기와 인천도 3분기로 접어들면서 전체적으로 상승 거래가 주춤했습니다.

경기도의 상승 거래는 2분기 64%에서 7∼8월 54%로 줄었고, 2분기에 59%의 거래가격이 올랐던 인천은 7∼8월 상승 거래 비중이 49%를 기록했습니다.

이 같은 분위기는 거래량 감소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7월 서울 아파트 거래 건수는 총 3,589건으로 6월 3,849건보다 소폭 감소했습니다.

여름 휴가, 장마 등 계절적 요인 외에도 상반기 가격 상승에 대한 피로감으로 인해 거래량이 줄어든 것으로 보입니다.

상반기 아파트값 상승 폭이 컸던 송파구의 경우 지난 5월 거래량 294건에서 6월 286건, 7월에는 266건으로 두 달 연속 감소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하반기 수도권 아파트 ‘가격 상승 거래’ 비중 감소
    • 입력 2023-09-03 10:41:35
    • 수정2023-09-03 10:44:49
    경제
하반기 들어 수도권 아파트 매매 시장에 직전 거래가 대비 상승 거래 비중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초 급매물 소진 이후 가격이 많이 오르면서, 추가 상승 동력이 다소 약해진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옵니다.

부동산R114와 연합뉴스는 오늘(3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신고된 수도권 아파트 거래가를 분석한 결과를 제시했습니다.

그 결과 2분기(4∼6월)와 7∼8월에 동일 아파트, 동일 면적에서 1건 이상 거래가 체결된 총 8,700건 중에서 2분기 대비 7∼8월에 거래가가 오른 상승 거래는 전체의 55%(4,764건)로 집계됐습니다.

같은 조건에서 1분기 대비 2분기의 상승 거래 비중이 65%였던 것에 비해 10%포인트 감소한 수치입니다.

상반기에 인기 단지를 중심으로 급매물이 소진되고 실거래가가 급격하게 오르면서, 하반기 들어 상승 거래가 다소 주춤해진 걸로 보입니다.

이에 비해 7∼8월 하락 거래는 39%로, 2분기의 30%에 비해 9%포인트가량 증가했습니다.

보합 거래는 2분기 5%에서 7∼8월 6%로 늘었습니다.

먼저, 서울의 경우 상승 거래 비중이 2분기 72%에서 7∼8월에는 62%로 감소했습니다.

상승 거래 비중이 여전히 높은 편이지만, 7∼8월 하락 거래도 32%를 기록하며 2분기(24%)보다 증가했습니다.

구별로 보면 2분기에 상승 거래 비중이 84.9%에 달하며 서울 아파트값 상승을 이끌었던 강동구는 7∼8월 상승 거래 비중이 61.8%로 23.1%포인트나 급감했습니다.

2분기에 상승 거래가 88.1%에 달했던 송파구도 7∼8월 66.7%로 21.5%포인트 감소했습니다.

이에 비해 2분기에 상승 거래 비중이 58.8%에 그쳤던 강북구는 상승 거래 비중이 69.0%로 10%포인트 이상 증가했습니다.

은평구는 상승 거래 비중이 67.1%에서 69.3%로 2.2%포인트 확대됐습니다.

부동산R114 여경희 수석연구원은 “상반기에 가격 회복 속도가 가팔랐던 곳은 매수자들이 오른 가격을 부담스러워하면서 하반기 들어 상승 거래가 줄어든 반면, 상반기에 상승 거래가 상대적으로 작았던 곳은 하반기에 접어들면서 실거래가가 오른 곳이 늘었다”고 말했습니다.

경기와 인천도 3분기로 접어들면서 전체적으로 상승 거래가 주춤했습니다.

경기도의 상승 거래는 2분기 64%에서 7∼8월 54%로 줄었고, 2분기에 59%의 거래가격이 올랐던 인천은 7∼8월 상승 거래 비중이 49%를 기록했습니다.

이 같은 분위기는 거래량 감소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7월 서울 아파트 거래 건수는 총 3,589건으로 6월 3,849건보다 소폭 감소했습니다.

여름 휴가, 장마 등 계절적 요인 외에도 상반기 가격 상승에 대한 피로감으로 인해 거래량이 줄어든 것으로 보입니다.

상반기 아파트값 상승 폭이 컸던 송파구의 경우 지난 5월 거래량 294건에서 6월 286건, 7월에는 266건으로 두 달 연속 감소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