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팬데믹 우려로 ‘미지의 바이러스’ 탐색사업 중단
입력 2023.09.08 (15:40)
수정 2023.09.08 (15: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우발적인 감염사태를 불러올 위험이 있다는 비판을 받아온 외래 병원체 추적 및 분류 연구프로그램 ‘딥 비전(DEEP VZN)’에 대한 자금지원을 중단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7일(현지 시간) 보도했습니다.
미국 국제개발처(USAID)는 지난 7월에 ‘딥 비전’ 사업자인 워싱턴주립대학 연구팀에 프로그램 종료 계획을 통보했습니다.
지난 2021년 시작된 ‘딥 비전’은 연방 정부의 지원 아래 언젠가 유행할 수 있는 미지의 외래 바이러스를 찾아내기 위한 사업으로 오는 2026년까지 총연구비 1억 2천500만 달러(한화 약 1천666억 원)가 투입될 예정이었습니다.
야생에서 약 50만 개의 생물학적 표본을 수집해 추가 연구용으로 사용할 만 2천 개의 새로운 바이러스를 분류할 예정이었습니다.
이 연구사업은 언젠가 인체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는 야생 병원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미지의 바이러스를 찾는 과정에서 우발적인 감염과 대유행(팬데믹)을 불러올 위험이 있다는 지적이 저명한 과학자와 공중보건 전문가들 사이에서 제기되면서 제동이 걸렸습니다.
USAID 대변인은 딥 비전 연구사업은 종료되지만, 새로운 백신 개발 능력 배양을 비롯해 전 세계 50여 개국에서 새롭게 발생하는 질병에 대한 신속 대응 사업은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질병관리본부 제공]
미국 국제개발처(USAID)는 지난 7월에 ‘딥 비전’ 사업자인 워싱턴주립대학 연구팀에 프로그램 종료 계획을 통보했습니다.
지난 2021년 시작된 ‘딥 비전’은 연방 정부의 지원 아래 언젠가 유행할 수 있는 미지의 외래 바이러스를 찾아내기 위한 사업으로 오는 2026년까지 총연구비 1억 2천500만 달러(한화 약 1천666억 원)가 투입될 예정이었습니다.
야생에서 약 50만 개의 생물학적 표본을 수집해 추가 연구용으로 사용할 만 2천 개의 새로운 바이러스를 분류할 예정이었습니다.
이 연구사업은 언젠가 인체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는 야생 병원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미지의 바이러스를 찾는 과정에서 우발적인 감염과 대유행(팬데믹)을 불러올 위험이 있다는 지적이 저명한 과학자와 공중보건 전문가들 사이에서 제기되면서 제동이 걸렸습니다.
USAID 대변인은 딥 비전 연구사업은 종료되지만, 새로운 백신 개발 능력 배양을 비롯해 전 세계 50여 개국에서 새롭게 발생하는 질병에 대한 신속 대응 사업은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질병관리본부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 팬데믹 우려로 ‘미지의 바이러스’ 탐색사업 중단
-
- 입력 2023-09-08 15:40:47
- 수정2023-09-08 15:47:00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우발적인 감염사태를 불러올 위험이 있다는 비판을 받아온 외래 병원체 추적 및 분류 연구프로그램 ‘딥 비전(DEEP VZN)’에 대한 자금지원을 중단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7일(현지 시간) 보도했습니다.
미국 국제개발처(USAID)는 지난 7월에 ‘딥 비전’ 사업자인 워싱턴주립대학 연구팀에 프로그램 종료 계획을 통보했습니다.
지난 2021년 시작된 ‘딥 비전’은 연방 정부의 지원 아래 언젠가 유행할 수 있는 미지의 외래 바이러스를 찾아내기 위한 사업으로 오는 2026년까지 총연구비 1억 2천500만 달러(한화 약 1천666억 원)가 투입될 예정이었습니다.
야생에서 약 50만 개의 생물학적 표본을 수집해 추가 연구용으로 사용할 만 2천 개의 새로운 바이러스를 분류할 예정이었습니다.
이 연구사업은 언젠가 인체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는 야생 병원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미지의 바이러스를 찾는 과정에서 우발적인 감염과 대유행(팬데믹)을 불러올 위험이 있다는 지적이 저명한 과학자와 공중보건 전문가들 사이에서 제기되면서 제동이 걸렸습니다.
USAID 대변인은 딥 비전 연구사업은 종료되지만, 새로운 백신 개발 능력 배양을 비롯해 전 세계 50여 개국에서 새롭게 발생하는 질병에 대한 신속 대응 사업은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질병관리본부 제공]
미국 국제개발처(USAID)는 지난 7월에 ‘딥 비전’ 사업자인 워싱턴주립대학 연구팀에 프로그램 종료 계획을 통보했습니다.
지난 2021년 시작된 ‘딥 비전’은 연방 정부의 지원 아래 언젠가 유행할 수 있는 미지의 외래 바이러스를 찾아내기 위한 사업으로 오는 2026년까지 총연구비 1억 2천500만 달러(한화 약 1천666억 원)가 투입될 예정이었습니다.
야생에서 약 50만 개의 생물학적 표본을 수집해 추가 연구용으로 사용할 만 2천 개의 새로운 바이러스를 분류할 예정이었습니다.
이 연구사업은 언젠가 인체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는 야생 병원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미지의 바이러스를 찾는 과정에서 우발적인 감염과 대유행(팬데믹)을 불러올 위험이 있다는 지적이 저명한 과학자와 공중보건 전문가들 사이에서 제기되면서 제동이 걸렸습니다.
USAID 대변인은 딥 비전 연구사업은 종료되지만, 새로운 백신 개발 능력 배양을 비롯해 전 세계 50여 개국에서 새롭게 발생하는 질병에 대한 신속 대응 사업은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질병관리본부 제공]
-
-
공웅조 기자 salt@kbs.co.kr
공웅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