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 심고 누런 콧물…‘임플란트 축농증’ 주의보

입력 2023.09.10 (21:31) 수정 2023.09.11 (08: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인공 치아를 심는 임플란트 시술을 받고 두통이나 누런 콧물 등의 증상이 생기진 않았는지, 잘 살펴보셔야겠습니다.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부작용, '임플란트 축농증'에 관한 국내 첫 연구 보고서가 나왔는데요.

박광식 의학전문기자가 자세히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2년 전 오른쪽 위쪽 어금니 임플란트 시술을 받은 50대 남성입니다.

시술 후 극심한 두통과 함께 코막힘 증상이 생겼습니다.

이 남성의 얼굴 CT 촬영 사진입니다.

검게 보여야 정상인 코 주변 빈 공간, 부비동이 뿌옇습니다.

고름으로 가득 찬 겁니다.

임플란트가 잇몸뼈를 뚫고 부비동 안쪽 깊숙이 박히면서 심한 축농증이 생겼습니다.

[김OO/임플란트성 축농증 환자 : "(처음에는) 불편함을 느끼지는 않았어요. 그런데 어느 날 참을 수 없을 정도로 두통이 심해서 응급실에 갔었죠. 부비동 안에 농이 가득 차 있다."]

위쪽 잇몸에 임플란트를 심다 잇몸뼈를 뚫으면, 부비동을 오염시킬 수 있습니다.

서울아산병원 분석 결과, '상악 임플란트'가 잇몸뼈의 끝단인 '뼈 막'을 4mm 이상 뚫은 경우, 축농증 발생 위험이 27배 높았습니다.

또, 임플란트 주변에 염증이 동반된 경우는 12배, 이식한 인공 뼈 조각이 뼈 막을 망가뜨린 경우는 축농증 위험이 34배까지 치솟았습니다.

[유명상/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 "돌출된 임플란트가 점막들의 손상이라든가 부분적으로 파열을 유발할 수 있게 되고요. 틈을 통해서 구강에 있는 여러 가지 세균들이 상악동(부비동)으로 전파가 되는 통로가 될 수 있겠습니다."]

이런 경우 수술로 염증을 제거하거나 심하면 임플란트를 아예 제거해야 합니다.

예방을 위해선 치과에서 임플란트 계획을 세울 때 환자의 잇몸뼈 상태를 잘 따져 세심하게 시술해야 합니다.

임플란트 시술 뒤 축농증 증상이 생기면 반드시 엑스레이나 CT 등으로 이상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한해 임플란트 시술을 받는 사람은 55만여 명, 상악 임플란트의 약 5%에서 급만성 축농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KBS 뉴스 박광식입니다.

촬영기자:정현석/영상편집:김근환/그래픽:여현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임플란트 심고 누런 콧물…‘임플란트 축농증’ 주의보
    • 입력 2023-09-10 21:31:37
    • 수정2023-09-11 08:09:03
    뉴스 9
[앵커]

인공 치아를 심는 임플란트 시술을 받고 두통이나 누런 콧물 등의 증상이 생기진 않았는지, 잘 살펴보셔야겠습니다.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부작용, '임플란트 축농증'에 관한 국내 첫 연구 보고서가 나왔는데요.

박광식 의학전문기자가 자세히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2년 전 오른쪽 위쪽 어금니 임플란트 시술을 받은 50대 남성입니다.

시술 후 극심한 두통과 함께 코막힘 증상이 생겼습니다.

이 남성의 얼굴 CT 촬영 사진입니다.

검게 보여야 정상인 코 주변 빈 공간, 부비동이 뿌옇습니다.

고름으로 가득 찬 겁니다.

임플란트가 잇몸뼈를 뚫고 부비동 안쪽 깊숙이 박히면서 심한 축농증이 생겼습니다.

[김OO/임플란트성 축농증 환자 : "(처음에는) 불편함을 느끼지는 않았어요. 그런데 어느 날 참을 수 없을 정도로 두통이 심해서 응급실에 갔었죠. 부비동 안에 농이 가득 차 있다."]

위쪽 잇몸에 임플란트를 심다 잇몸뼈를 뚫으면, 부비동을 오염시킬 수 있습니다.

서울아산병원 분석 결과, '상악 임플란트'가 잇몸뼈의 끝단인 '뼈 막'을 4mm 이상 뚫은 경우, 축농증 발생 위험이 27배 높았습니다.

또, 임플란트 주변에 염증이 동반된 경우는 12배, 이식한 인공 뼈 조각이 뼈 막을 망가뜨린 경우는 축농증 위험이 34배까지 치솟았습니다.

[유명상/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 "돌출된 임플란트가 점막들의 손상이라든가 부분적으로 파열을 유발할 수 있게 되고요. 틈을 통해서 구강에 있는 여러 가지 세균들이 상악동(부비동)으로 전파가 되는 통로가 될 수 있겠습니다."]

이런 경우 수술로 염증을 제거하거나 심하면 임플란트를 아예 제거해야 합니다.

예방을 위해선 치과에서 임플란트 계획을 세울 때 환자의 잇몸뼈 상태를 잘 따져 세심하게 시술해야 합니다.

임플란트 시술 뒤 축농증 증상이 생기면 반드시 엑스레이나 CT 등으로 이상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한해 임플란트 시술을 받는 사람은 55만여 명, 상악 임플란트의 약 5%에서 급만성 축농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KBS 뉴스 박광식입니다.

촬영기자:정현석/영상편집:김근환/그래픽:여현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